帝, 諱<解憂>, <大武神帝>之子也. 母, 曰<烏>太后, <烏伊>子<婁>之女也.  容皃美麗,

而能騎射, 善諧謣阿諛, 故<武帝>愛之, 以爲正胤. 旣得志, 多亂後宮, 而性頗殘忍.  

<武帝>, 臨崩, 命<閔中>令行<太甲>故事, 待其改過而傳位, 又令<烏>后事<閔中>.  

而完其事未幾, <閔中>見其改過之跡, 而欲讓位. <烏>后力止之, 而未得. 常謂左右曰;

“吾, 以后故未副兄志.” 夜不能寢, 疾作而崩. 以遺命立帝.  <烏>后謂帝曰;

“汝父欲立汝, 吾力止之者, 猶有未信故也. 今, 以遺命, 立汝. 汝, 其體汝二父之心,

而無失天子之德.”  帝, 素有孝行故唯. 唯而卽位.

제의 휘는 <해우>이고, <대무신제>의 아들이다.

 

모친은 <오>태후로 <오이>의 아들인 <오루>의 딸이었다.  

 

용모가 미려하고 말 탄 채 활쏘기를 잘 하고, 허튼소리와 빌붙기도 잘하니,

<무제>가 그{<모본>}를 귀여워하여 정윤{동궁이 될 수 있는 친자식}으로 삼았더니,

의기양양하여 후궁들과 어지러이 놀아났고, 성품도 치우침이 있고 잔인하였다.  

 

<무제{<대무신제>}>는 죽음을 앞두고서,

<태갑>의 옛일{『이주지사』}을 <민중>에게 시키면서,

{<해우>가} 개관천선하기를 기다렸다가

{<민중>이 <해우>에게} 전위하여 주라고 하였다.

 

또한 <오>후에게는 <민중>을 받들라고 하였다.  

 

<해우>가 온전히 개과천선하기도 이전에,

<민중>이 <해우>가 개과한 흔적을 보이는 것으로 알고 양위하려고 하자,

<오>후가 이를 힘껏 말려서 그럴 수 없었다.

 

{이리하여 <민중>은} 오히려 좌우에게

 

 “나는 후{<오>황후} 때문에 형{<대무신제>}의 뜻{<해우>에게 보위를 물려주는 것}

을 이룰 수 없다.”고 하더니만, 밤잠도 제대로 이루지 못하다가 병이 들어 죽었다.

 

유명에 따라 {<해우>가} 제위에 섰다.  

 

<오>후가 제{<모본>}에게 이르길;

 

“네 아버지께서는 너를 보위에 세우려 하셨고,

나는 너를 믿을 수 없었기 때문에 그것을 말렸다.

 

이제 유명에 따라 너를 보위에 세운다. 너는,

네 두 아버님{<대무신제>와 <민중제>}의 뜻을 깨달아,

천자가 갖추어야 할 덕을 잃지 말아야 할 것이다.”라 하였다.  

 

제{<모본>}는 평소에 효행을 {하는 체} 하였고,

오직 효행을 {하는 체} 하였다는 까닭만으로 즉위하였다. 

 

대무신제의 正妃 烏氏(15~94)는 오랫동안 이이를 낳지 못했다.

 

새로 입궐한 후궁은 갈사왕 해루의 손녀 갈사후(20-96)였는데 입궐한지 얼마 안되어

아들을 낳으니 대무신제는 득남한 기쁨으로 이름을 <호동好童 33-60)이라 지었다.

 

제1황후 烏가 아들을 낳았는데

대무신제는 그 아들 이름을 <해우解憂 40-73>라 지었다.

 

황후 오씨의 모함으로 자결한 호동의 뒤를 이어

AD68년 5월 드디어 해우가 천제의 자리에 올랐다.

 

고구려 5대 모본제慕本帝(AD40-73 재위 68-72)이다.

 

모본이 즉위하자 갈사후와 모본간에 치열한 권력투쟁이 시작된다.

 

갈사후는 <두로杜魯>를 이용하여 모본제를 살해하고 마침내 두로를 제거하여 

그녀의 아들 <재사再思(48~121)>가 73년에 즉위하게 된다. 

 

 

Posted by 띨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