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리영 공격 사건

 

동천대제14년{AD240}경신,

 

3월 대방 사람 <궁준弓遵>이 魏의 태수를 자칭하며,

변방을 침략하고, 신라 및 왜와 소통하여, 근심거리가 많아졌다.

 

<어관於灌>에게 명을 내려,

韓의 신지(臣智) 등을 이끌고 나가서 이를 쳐 죽이게 하였다.

<고구려사초>

 

 

 

景初中 明帝密遣帶方太守劉昕 樂浪太守鮮嗣越海定二郡 諸韓國臣智加賜邑君印綬

其次與邑長 其俗好衣幘 下戶詣郡朝謁 皆仮衣幘 自服印綬衣幘千有餘人

部從事吳林以樂浪本統韓國 分割辰韓八國以與樂浪 吏譯轉有異同 臣智激韓忿

攻帶方郡崎離營 時太守弓遵 樂浪太守劉茂 興兵伐之 遵戰死 二郡遂滅韓.

<三國志 魏志 韓傳>

 

경초중(AD 237-239年)에

명제(明帝)는 비밀리에 대방태수 <유흔劉昕>과 낙랑태수 <선우사鮮嗣>를 파견하여

한국(韓國)의 여러 신지들에게 읍군 인수를 주고 그 아래에는 읍장 인수를 주었다.

 

그들의 풍속은 의책(衣幘)을 매우 좋아해서

하호까지 가짜 인수, 의책을 가지고 있었고, 1,000여 인이 郡으로 찾아와 조알하였다.

 

부종사 <오림吳林>이 한국(韓國)은 본래 낙랑군이 통치하였으므로

진한(辰韓) 8국을 분할해서 낙랑군으로 한다고 하니 통역이 잘못되어

韓의 신지들이 격분하여 대방군 기리영(崎離營)을 공격하였다.

 

대방태수 <궁준弓遵>과 낙랑태수 <유무劉茂>가 군사를 동원하여

이들을 정벌하다가 <궁준弓遵>이 전사하였다.

 

2郡은 마침내 韓을 멸망시켰다.

 

 

237년 3월에 魏는 비밀리에 <유흔>을 대방태수로, <선어사>를 낙랑태수로,

<오림>을 부종사로 임명하여 대방군과 낙랑군의 중국의 유민에게

중국과의 교역을 인정하는 인수를 주어

<공손연>을 견제토록 하였으나 공손연은 이들과 안팕으로 회동하여

더욱 교만해져 연왕을 칭하게 되고,

이듬해에 15만 대군으로 중원을 공격하려고 하니 이에 魏燕전쟁이 발발하게 된다.

 

魏燕전쟁의 결과 <공손연>의 燕國은 멸망하고 (曺)魏가 낙랑과 대방을 차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때는 중원이 삼국(위,초,오)으로 패권을 다투던 시기로

<사마의>가 <공손연>의 중원 침입을 막기 위하여 <공손연>을 멸하였으나

낙랑과 대방은 漢인과 맥인(고구려인)이 혼거하였다.

 

전쟁이 끝난 후 240년 3월에 대방태수 <궁준>과 낙랑태수 <유무>가

대방군과 낙랑군에 있는 신지의 인수를 거두고

직접 韓의 8국과 倭와의 무역을 하고자 하였다.

 

韓의 신지(읍군장)와 고구려 장수 <어관>이 240년에 대방태수 <궁준>을 죽이니

246년 魏는 <관구검>으로 하여금 고구려를 침공케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대방의 기리영 공격>

 

 

* 참고 <대방(帶方)>

 

 

- 대방군은 북경 동쪽의 대방산에서 유래

 

대방군의 위치를 <한서지리지>와 <산해경>에 주를 단 <곽박郭璞>은

대개 낙랑군 안에 있는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대방군의 위치를 구체적으로 알 수 있는 것은 <수서지리지>의 다음 한 구절이다.

 

遼西郡, 有帶方山, 禿黎山 鷄鳴山 松山

<수서 지리지 중 요서군>

 

요서군은 원래 낙랑조선의 영토였다.

 

위만조선이 멸망한 뒤에 그 땅이 낙랑, 요서의 두 군으로 분할되었다.

 

 

청대의 <고조우顧祖禹>가 편찬한 <독사방여기요讀史方輿紀要>는

 

“북경의 동쪽에 대방산이 있다.

그 산의 중턱에 암석이 띠 모양으로 되어 있어서 이름을 대방산이라고 하였다”

고 기록하였다.

 

방산은 곽박이 말한 바와 같이 열수(列水), 즉 영하(寧河)의 유역에 있었다.

 

즉 낙랑군의 열구현(列口縣) 내에 있었던 것이다.

 

공손씨 시대에 낙랑궁 둔유현 이남의 황무지를 대방이라 하였다.

 

 

 

 

조위(曺魏) 시대의 대방군은 고대 일본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조위(曺魏)와 고대일본의 관계가 처음으로 나타난 것은

[삼국지]<위서> 동이전의 다음 구절이다.

 

景初二年六月, 倭女王遣大夫難升米等詣郡, 求詣天子朝獻....

帶方太守劉夏遣使送汝大夫難升米....·

今以汝爲親魏倭王. 假金印紫綬. 裝封付帶方太守假授汝.

 

경초 2년(238) 6월, 왜 여왕이 대부 <난승미難升米> 등을 보내니

우리 군에 이르러 천자에게 조헌하기를 구하였다...

 

대방태수 <유하劉夏>가 사신 <난승미難升米>를 나에게 보내왔다...

 

이제 (비미호) 너를 친위왜왕으로 삼는다.

 

금빛자빛 인수를 임시로 만들어 보내니 대방태수가 너에게 수여할 것이다.

 <[삼국지]<위서> 동이전 왜인>

 

 

이 기록에 의하면 왜의 여왕 <비미호>는 위(魏)에 조공하기 위하여

<난승미> 등을 사신으로 파견하였다.

 

<난승미>는 위의 동쪽 관문인 대방군에 나아가

대방태수 <유하>에게 중개를 요청하였다.

 

대방태수 <유하>가 관리를 보내어 왜의 사신을 그 수도 장안에 안내하여

명제(明帝)에게 조공케 하였다.

 

 

 

 

고대 일본과 조위의 관계가 두 번째로 나타나는 것은 다음의 기사이다.

 

倭人在帶方東南大海之中... 從郡至倭循海岸水行,

歷韓國, 乍南乍東, 到其北岸狗邪韓國七千餘里.

 

왜인은 대방의 동남쪽 큰 바다 가운데에 있다...

군(郡)에서 왜로 가려면 해안을 따라 물길로 가는데 한국(韓國)을 거치고

남으로 동으로 가면 구사한국(狗邪韓國)의 북안에 닿는데 그 거리가 칠천여리이다.

<[삼국지]<위서> 동이전 왜인>

 

 

이 기사는 <비미호>의 조공을 받은 위(魏) 황제가

그 답례사로서 <장정張政>을 보냈으므로

<장정>이 대방군을 출발하여 왜국으로 가는 경로를 기록한 것이다.

 

이 기록은 ‘왜는 대방의 동남쪽 대해 중에 위치하고 있다.

거기에 가기 위해서는 배를 타고 해안선을 따라 한국을 거쳐

거기에서 남동쪽을 향하여 항행하면 북구주의 구사한국에 도달한다’

하였다.

 

 

<대방(帶方)>

 

'고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9. 沸水大戦  (0) 2014.09.08
218. 安平大戰  (0) 2014.09.08
216. 帶方人 3,000명이 이주해 오다  (0) 2014.09.08
215. 肖古의 동생 소(沼)가 帶方王이 되다  (0) 2014.09.07
214. 魏燕戰爭 (司馬懿 vs 公孫淵)  (0) 2014.09.07
Posted by 띨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