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도성(丸都城) 불타다

 

 

고국원제12년{AD342}임인,

 

2월, <재봉(再逢)>에게 명하여 환도성의 지붕을 고쳐 잇게 하였다.

 

추8월, 환도성으로 천도하였다. 서진하려는 뜻이 있었다.

 

<황>은 동진하고자 하였고, 상은 서진하고자 하였으니,

이들의 세력은 충돌할 것이었고, 그리 되었다.

 

10월, <황(皝)>이 용성(龍城)으로 천도하였다.

스스로 고구리를 먼저 평정한 이후에

우문을 멸하고서야 중원을 도모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한(翰)>이 말하길;

 

“<고구리>를 치는 데는 두 길이 있습니다.

북쪽 길은 평탄하고 남쪽 길은 험하니, 저들은 필시 북쪽을 지킬 것입니다.

폐하께서는 의당 남쪽으로 가시어 불의에 나아가시면

환도(丸都)를 취할 수 있을 것입니다.”라 하였다.

 

<황>은 그렇겠다고 여기고는 <왕우王寓>에게 일만 여의 군병을 이끌고

북로로 나가서 대군을 끌고 온 듯이 하게 하였고,

자신은 강군 4만을 이끌고 남쪽 길로 들어왔다.

 

왕은 <황>의 대군이 북쪽에 있는 것으로 듣고,

동생 <무>에게 정병 5만을 데리고 나아가서 막게 하였으며,

자신은 늙고 약한 군병으로 도읍을 지켜 남로 침입을 대비하였다.

 

11월에 적들이 사천(蛇川)니하(泥河)로 다가왔고 대군이 꼬리를 물고 밀려오니,

아단(阿旦)안평(安平)성 등이 모두 함락되었다.

 

右龍장군 <아불화阿佛和>가 힘을 다하여 황산(黃山)에서 싸우다 죽었다.

 

적은 수가 많고 우리는 수가 적으니 지켜낼 수 없었다.

 

상은 그때서야 적의 대군은 남쪽에 있으며, 저들의 술수에 빠졌음을 알았다.

 

상은 흩어진 군사를 모아서 평양(平壤){今 요양}으로 가려하다가,

적 <한수韓壽> 등이 그곳으로 매우 급하게 다가왔기에,

산림 속으로 숨으려 하던 차에,

<해발觧發>이 군사를 이끌고 단웅곡(断熊谷)에 이르렀다.

 

이미 환도성(丸都城)이 함락되고 태후가 잡혔다는 소식에 통곡하였다.

 

이에 좌우의 사람들이 위로하며 아뢰길;

 

“북쪽으로 간 군대가 <왕우王寓>를 깨고 우리를 구하러 오고 있으니,

적들은 편안하지 않을 것입니다.

폐하께서는 응당 느긋하게 계시면서 사직을 살피십시오.”라 하였다.

 

적들이 단웅곡(断熊谷)을 포위하자,

<우신于莘>이 계곡 속에 깔아놓았던 복병으로 이들을 깼다.

 

상은 <해발觧發> 등을 데리고 몰래 고개를 넘어 평양(平壤)으로 다가갔으나,

<황皝>과 <고孤>의 군대가 이미 깊숙이 들어와 있어서, 어쩔 수가 없어,

심히 걱정하다가 동생 <민玟>과 <고희高喜> 및 <해현觧玄> 등을

평양(平壤)으로 들여보내어 서로 만나자고 청하였더니, 모두가 갇히고 말았다.

 

이에 총선(緫船)장군 <면강免江>에게 명하여 수군 3만으로

강구(江口)를 차지하여 지키게 하였더니 <황>의 군대를 여러 차례 깼다.

 

왕의 동생 <무武>의 대군이 곧 도착하게 되었더니,

<황皝>은 화가 치밀어서 미천릉을 파헤쳤다.

 

애초에 상은 <주周>태후가 만수를 누리신 연후에

미천릉에 합장하려고 {<미천릉>의} 큰 문을 봉하지 않았었다.

 

때문에 적들은 손쉽게 재궁{梓宮, 제왕의 시신}을 탈취하였으며,

궁실을 불 지르고 도성을 훼손하였으며, 남녀 백성 1만을 몰아가고,

모든 재물과 보물도 거두어 돌아갔다.

 

아군은 퇴로를 막으려 하였으나,

<황皝>이 <周>태후의 조서로써 아군과 백성들의 항거를 막았다.

 

상 또한 잡혀있는 모친인 태후와 모든 후들 및 왕자들의 안위 때문에

감히 추격할 수도 없었다.

 

이리하여 적들은 아무 탈 없이 돌아갔다.

 

<황皝>이 <운雲>의 아비 <□>를 아껴, 그 집안을 청산(靑山)으로 옮겨서 살게 하였다

 

 

 

고구려 역사에 큰 치욕이었던 모용황과의 전쟁은

<삼국사기>에도 다소 길게 기록되어있다.

 

하지만 도성이 파괴되고 태후가 잡혀간 그런 비참한 패전은

그 기록보다 더욱 더 참담하였을 것이다.

 

그 참담한 기록이 박창화 필사본 <국강상왕기>에 기록되어있다.

  

  

十一月 皝與其兄翰及苐(其四子) 從玄菟出木底城

右龍將軍阿弗和力戰死之

左龍將軍烏杰,驃騎將軍高穗等軍與翰覇遇戰皆潰

覇年十七而英勇無雙

王聞之嘆嗟曰 奴得時矣

王親率羽林軍 與于衡,椹等 欲禦翰軍 諸軍皆敗退告急

王倉皇不得還逕奔平壤

敵將韓壽伍成輕騎追之羽林卽將馬欠力戰死之

王驚避弓矢欲下馬匿於林中

有二壯士扶王開路而走曰臣等解發之臣 將德門平也

解發引軍而至王請無憂遂從 問道出龍道

解發與馬將軍于莘合兵迎王而奔平壤

皝入都流言王死於流矢 城中遑遑哭聲震天

- 박창화 필사본 <국강상왕기>

  

 

고국원제12년(AD342)

 

11월, (모용)황이 그 형 <모용한>과 넷째아들 <모용慕容覇>를 데리고

현토로부터 목저성(木底城)을 나왔다.

 

우룡장군 <아불화阿弗和>가 힘을 다해 싸웠으나 죽었다.

 

좌룡장군 <오걸烏杰>, 표기장군 <고수高穗> 등이 이끄는 군사가

 (모용)한과 (모용)패를 만나 싸웠으나 모두 무너졌다.

 

(모용)패는 17세로 영특하고 용감하기가 비길 데가 없었다.

 

왕이 이를 듣고 한탄하여 말하길

 

“놈이 때를 만났구나!” 라고 하였다.

 

왕이 직접 우림군을 이끌고 <우형于衡>, <심椹> 등과 함께

<모용한慕容翰> 군을 막으려하였으나

제군이 모두 패퇴하여 다급함을 아뢰었다.

 

왕이 당황하여 이루지 못하고 돌아와 곧바로 평양으로 달아났다.

 

적장 <한수韓壽>와 <오성伍成>이 날쌘 기병으로 그를 추격하였다.

 

우림즉장羽林卽將 <마흠馬欠>이 힘을 다해 싸우다 죽었다.

 

왕이 놀라 화살을 피하여 말에서 내리고 숲속으로 숨고자 하였다.

 

두 장수가 나와 왕을 도와 길을 만들어 달아나며 말하기를

 

“신 등은 <해발解發>의 신하인 <장덕將德>과 <문평門平>이라 합니다.”

 

<해발>이 군을 이끌고 도착하여 왕에게 걱정하지 마시며 따라오시기를 청하고는

길을 물어 언덕길을 빠져나왔다.

 

<해발>이 마장군(馬將軍) <우신于莘>과 병력을 합하여

왕을 맞이하여 평양으로 달아났다.

 

(모용)황이 도성으로 들어와 유언비어로 왕이 날아드는 화살을 맞고 죽었다고 하니

성안이 허둥지둥하였으며 우는 소리가 하늘을 진동하였다.

 

 

※ 참고

 

 

慕容 : 모용패는 모용수가 이름을 바꾸기 전의 이름이다.

            그는 모용황의 다섯째 아들이라 알려졌는데 여기서는 넷째로 기록하고 있다.

  

阿弗和 : 아불화는 취불아불화(毳芾阿佛和)라 하는데

            뒤에 나오는 부승의 처인 우씨(牛氏)의 아들로 부승의 양아들이다.

            이십여 년을 성 쌓는일만 하던 아불화를 부승이 우씨가 주 태후의

            고모(姑母)임을 이용하여 우룡장군(右龍將軍)의 자리에 앉혔다.

 

 

 

太傅芙昇 率百僚迎皝于天龍宮 獻璽宝神器

左輔高喜與解玄陪周太后解小后而欲從王慕輿泥等追及之

皝遂淫太后及小后 而縱其諸將亂九宮王女

開府庫収珍寶 大掠城中婦女之美者 盡爲軍鷄¹

昇妻藍姬亦爲慕輿珍之所汚拘其營

- 박창화 필사본 <국강상왕기>

                                    

 

태부 <부승芙昇>이 백료(백관)를 이끌고 <모용황>을 천룡궁(天龍宮)에서 맞이하고

새보璽宝(옥새)와 신기神器(제기)를 바쳤다.

 

좌보 <고희高喜>와 <해현解玄>은 주태후와 해 소후를 모시고 왕을 따라가려 나섰고

<모여니慕輿泥> 등이 이들을 뒤쫓아 따라붙었다.

 

<모용황>이 마침내 태후와 소후를 범하였으며

여러 장수들로 하여금 구궁의 왕녀들을 제 멋대로 하게 놓아두었다.

 

창고를 열어 진귀한 보배들을 약탈하고

성 안의 예쁜 부녀자들을 모두 빼앗아 군계(軍鷄)로 삼았다.

 

<부승芙昇>의 처 <남희藍姬> 또한 <모여진慕輿珍>에게 더렵혀져

그 영(營)에 잡혀있었다.

  

 

※ 참고

 

군계(軍鷄) : 군사들을 위한 위안부 즉, 일본군 위안부와 같은 뜻이다.

  

 

 

皝命放皈于昇曰 老而畜少故 致此不祥

昇曰 此非臣妻乃臣女也願獻慕將軍爲妾

皝欲從之 翰諫之曰 賞軍以女色則氣逸 况冢相之妻乎 不可以無信示民

皝慚之 命周太后解小后皆皈本宮 督其諸將進迫斷熊谷

于莘等伏兵于谷中而大破之斬其將伍成

- 박창화 필사본<국강상왕기>

                                         

 

<모용황>이 <부승芙昇>에게 돌려주라 명하며 말하기를

 

“노인네가 어린애를 데리고 있으니 이런 불상사가 생기지 않았는가.”

 

<부승>이 말하기를

 

“그녀는 신의 처가 아니라 신의 딸이옵니다.

원하건대 모장군의 첩으로 바치고자 합니다.”

 

<모용황>이 그리하려하자 <모용한>이 간하여 말하기를

 

“군대에서 여자들을 상으로 주게 되면 사기가 떨어집니다.

하물며 지위 높은 재상의 처는 어떻겠습니까?

백성에게 신뢰가 없음을 보여주게 되니 불가합니다.” 라고 하였다.

  

<모용황>이 이를 뉘우치고 주 태후와 해 소후 모두 그 본궁으로 돌아가라 명하였으며

그 제장들을 독려하여 단웅곡으로 추격하게 하였다.

 

<우신于莘> 등이 계곡에 복병을 숨겨 그들을 대파하였으며,

그 장수 <오성伍成>을 참하였다.

 

 

패전의 결과는 엄청난 것이었다.

 

대 고구려 제국의 황태후와 황후가 적들에게 무참히 짓밟히고

도성의 모든 것이 적들에게 유린당했던 것이다.

  

  

<부승芙昇>은 주화파였다.

자신의 안위를 국가의 안위보다 더 중요하게 생각했던 사람이었다.

 

부씨 일가가 고구려에서 자리 잡게 된 것은 미천대제 시절 그의 첫사랑이었던

초 후로 부터 비롯되었으며 초 후의 어머니가 부 태후가 되면서

본격적으로 고구려 조정에 부씨들이 장악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들 부씨가 고구려 창업공신인 부분노(芙芬奴)의 후손들이라 한다.

  

<모용황>이 고구려를 침공하기 전, 고국원제가 선공을 하려한 적이 있었는데

이 때 <부승>이 적극 말리며 가만히 때를 기다리자한 자이고, 

주태후의 힘을 빌려 자신의 양아들이자 능력이 부족한 <아불화>를

우룡장군(右龍將軍)으로 삼게 하고 자신의 아들 <부룡芙龍>도

동부우대(東部于臺)의 벼슬을 하게한 자이다.

 

<모용황>이 환도를 점령하자 기다렸다는 듯이 옥새를 갖다 바친 인물이기도 하다.

 

 

聲言東部南部兵十萬繼來 皝軍不敢進

皝軍之出北道 皆敗亡 北軍又將南下赴救

孤軍深入 知勢不可久 遣王弟玟及高喜解玄等 脅王速出降 王皆留之不出

緫船將軍免江 引水軍三萬 把守江口累破皝軍 皝大怒發美川陵

王欲葬周太后 不封羡門故 皝聞之曰 高麗重墳墓 可携而去

乃載梓宮於板車而去命燒丸都

時 風雪交下號哭之聲連天

皝择城中美女三千人,壯士二萬人 虜周太后,周皇后,烽山后,解小后 及九宮美夫人三十七人,宗室公卿之妻五十二人,美童子童女五百人 繼以牛羊糧草珍寶之車前後而去

祖文牛成等欲夾擊而絶其皈路

皝封芙昇爲王 發周太后詔命諸將勿戰故祖文等拱手而望之而已

  

동부와 남부의 군사 십만이 이어서 올 것이라 성언하니

<모용황>의 군대가 감히 나아가지 못하였다.

 

이 때 북도를 나온 <모용황>의 군대는 모두 패망하였고

북군이 또 막 구원하기위해 남하하였다.

 

<모용황>은 고립된 소수의 군대가 너무 깊이 들어와 그 기세가 오래가지 않음을 알고

왕제 <민玟>과 <고희高喜>, <해현解玄> 등을 보내 왕(고국원제)을 윽박질러

속히 나와 항복하라하였지만 왕은 모두 머무르게 하며 나가지 않았다.

 

총선장군(緫船將軍) <면강免江>이 수군 3만을 이끌고 강구를 지키며

여러 차례 <모용황>의 군대를 격파하니 <모용황>이 대노하여 미천릉을 파헤쳤다.

  

이전에 왕이 주 태후를 (같이)장례하려고 널문을 닫지 않았는데

<모용황>이 이를 듣고 “고구려가 분묘를 소중히 여기니 가지고 가자.”라고 말하였다.

 

이에 재궁(미천대제의관)을 판거에 실어가며 명하기를 환도를 불태우라 하였다.

 

이때 바람이 불고 눈이 내렸으며 곡하는 소리가 하늘에 닿았다.

 

<모용황>이 성안의 미녀 3천명과 장사 2만인을 골라 뽑고,

주 태후, 주 황후, 봉산 후, 해 소후와 구궁미녀 37인, 종실 공경의 아내 52인,

미동자 동녀 5백인을 포로로 삼아 소와 양 그리고 양초(군량미와 말먹이)와

진보를 실은 수레로 앞뒤를 이어 돌아갔다.

 

<조문祖文>과 <우성牛成> 등이 그 퇴로를 좌우에서 공격하려하였으나

<모용황>이 <부승>을 왕으로 봉하고 주 태후의 조서를 발하여

제장들에게 싸우지 말라하니 <조문> 등이 팔짱을 낀 채 바라볼 수밖에 없었다.

  

 

王出見城破宮燼 龍淚滂沱群臣莫敢迎視

芙昇進璽寶于王臣罪萬死

王曰 卿代朕捿奴有功無罪 何如是乎 遂以昇家爲王宮 而修荒宮

昇以王無妃嬪進其妻藍姬于王

王嘉之封昇爲丸都公賜奴婢七百人 手兵千人 陞藍姬爲小后

時 小后于后匿在平山至是率玄二女以至 王大喜命掌內政

以解發爲右龍將軍于莘爲左龍將軍 解玄爲左衛將軍 命治宮城而招撫散民

時城中無婦女所存者惟老醜而已

王命择民間女進之城中

解玄弟蒙先命而择平山美女三十九人 進於宮中曰 暖禮使

王嘉之命封蒙爲暖禮大夫行平山太守事

  

 

왕이 나와 성을 보니 궁이 다 파괴되어있는지라 하염없이 눈물만 흘리니,

군신들이 감히 마주하지 못하였다.

 

<부승>이 나와 새보를 왕에게 전하며

자신이 만 번 죽어 마땅한 죄를 지었노라고 하였다.

 

왕이 말하기를 

 

“경은 짐을 대신하여 노예로 살았으니 공이 있지 죄는 없는데 무슨 말인고” 

 

하며 <부승>의 집을 왕궁으로 삼고(지내며) 황폐한 궁을 수리하였다.

 

 

<부승>이 왕에게 비빈이 없다하여 그 처 <남희藍姬>를 왕에게 바쳤다.

 

 

왕이 기뻐하여 부승을 환도공(丸都公)으로 삼고 노비 7백인과 수병 천명을 주었다.

 

 

<남희藍姬>는 승진시켜 소후小后로 삼았다.

 

 

이때에 <우于> 소후가 평산(平山)에 숨어있었는데

지금에 이르러 <해현>의 두 딸을 데리고 도달하니

왕이 크게 기뻐 명하기를 내정을 맡으라 하였다.

 

 

<해발>을 우룡장군으로 <우신>을 좌룡장군으로 해현을 좌위장군으로 삼고

명하여 궁성을 고치고 흩어진 백성들을 초무하라 하였다.

 

이때 성중에 부녀자라고는 없고 오직 늙어 추한 이들 뿐이었다.

 

왕이 민간의 여자들을 택하여 성 안으로 들어오게 하자

<해현>의 동생 <몽蒙>이 먼저 평산의 미녀 39인을 뽑기를 명하고는

궁중에 보내어 말하기를 난례사(暖禮使)라 하였다.

 

왕이 이를 기뻐하여 <몽蒙>을 난례대부(暖禮大夫)로 봉하고

평산 태수의 일을 맡게 하였다.

 

 

<高燕戰爭시 모용황 침공로>

 

 

Posted by 띨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