흠명천황 2년(A.D 541년)

 

여름 4월, 안라(安羅){함안}의 차한기(次旱岐) <이탄해夷呑奚>,

<대불손大不孫> <구취유리久取柔利> 등과

가라(加羅)의 상수위(上首位) <고전해古殿奚>와

솔마(率麻)의 한기(旱岐)와 산반해(散半奚)의 한기(旱岐)의 아들과

다라(多羅)의 하한기(下旱岐) <이타夷他>와,

사이기(斯二岐)의 한기(旱岐)의 아들,

자타(子他)의 한기(旱岐) 등이

임나일본부 <길비신吉備臣>과 백제에 가서 같이 칙서를 들었다.

 

백제의 성명왕(聖明王)이 임나{대마도}의 한기(旱岐)들에게

 

"일본의 천황이 조(詔)한 바는 오르지 임나{대마도}를 재건하라는 것이다.

지금 어떤 계책으로 임나를 재건할 것인가.

각기 충성을 다하여 천황의 마음을 펼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라고 말하였다.

 

임나의 한기 등이

 

"먼저 재삼 신라와 의논하였으나 대답이 없었습니다.

의도한 바를 다시 신라에 이른다 하여도 보고할 것이 없을 것입니다.

지금 사람을 보내어 천황께 주하십시오.

임나를 재건하는 것은 대왕의 마음에 달려 있습니다.

교지를 받들려고 하는데 누가 감히 사이에 말을 넣겠습니까.

임나의 경계가 신라와 접해 있어서 탁순 등이 해를 입을까 두렵습니다."

고 말하였다.

 

성명왕이

 

"옛적에 우리 선조 속고왕(速古王), 귀수왕(貴首王)의 치세(治世) 때

안라(安羅), 가라(加羅), 탁순(卓淳)의 한기(旱岐) 등이

처음 사신을 보내고 상통하여 친밀하게 친교(親交)를 맺었다.

 

자제(子弟)의 나라가 되어 더불어 융성하기를 바랐다.

 

그런데 지금 신라에 속임을 받고 천황의 노여움을 사서

임나의 원한을 사게 된 것은 과인의 잘못이다.

 

나는 깊이 뉘우쳐 하부 중좌평 <마로>, 성방 <갑배매노> 등을 보내어

신라에 가서 임나 일본부에 모여 맹세를 하게 하였다.

 

이후 다른 일에 얽매였으나, 임나를 재건하는 것을 조석으로 잊은 적이 없다.

 

지금 천황이 詔하여 '속히 임나를 재건하라'고 말씀하셨다.

 

이에 따라 그대들과 계책을 세워 임나 등의 나라를 수립하려고 한다.

 

잘 생각하라. 또 임나의 경계에서 신라를 불러들일 것인가 아닌가 묻겠다.

 

같이 사신을 보내어 천황께 주상하고 교시하여 달라고 하자

 

만일 사자가 돌아오지 않았을 때 신라가 틈을 엿보아 임나를 침공해 오면

나는 마땅히 가서 구원을 할 것이다. 근심할 바가 아니다.

 

그러나 잘 방비하고 경계하기를 잊지 말라.

 

그대들의 말대로 탁순 등의 화를 입을 것을 두려워함은

신라가 스스로 강하기 때문이 아니다.

 

훼기탄은 신라와 가라의 경계선에 있어 해마다의 침공으로 패배하였다.

 

임나도 구원할 수가 없었다. 이 때문에 망한 것이다.

 

남가라는 땅이 협소하여 졸지에 방비할 길이 없고 의탁할 곳이 없었다.

 

이로 인하여 망하였다.

 

탁순은 상하 둘로 갈라져 있었다.

 

군주는 스스로 복종하리라는 생각이 있어 신라에 내응하였다.

 

이 때문에 망한 것이다.

 

자세히 보니 삼국의 패망은 다 까닭이 있다.

 

옛적에 신라가 고구려에 구원을 청하여 임나와 백제를 쳤으나

그래도 이기지 못하였다.

 

신라가 어찌 혼자서 임나를 멸망시키겠는가?

 

지금 과인은 그대들과 힘을 합하고 마음을 같이하여

천황의 힘을 빌면 임나는 반드시 일어날 것이다."

라고 말하였다.

 

그리고 물건을 주었는데, 각각 차가 있었다.

 

다 기뻐서 돌아갔다.

 

 

 

흠명천황 2년 가을 7월

 

백제는 안라일본부가 신라와 더불어 통모한다는 말을 듣고

전부 나솔 <비리막고>, 나솔 <선문>, 중부 나솔 <목리매순>,

기신 나솔 <미마사> 등을 보내어 안라에 가서

신라에 온 임나의 집사를 소환하여 임나를 세울 것을 도모하게 하였다.

 

따로 안라일본부의 하내직이 신라와 내통한 것을 심하게 꾸짖었다.

 

왕은 임나에게

 

"옛적에 우리 선조 속고왕, 귀수왕이 당시의 한기 등과 처음으로 화친을 맺고서

형제가 되었다.

 

이에 나는 그대를 자제로 알고 그대는 나를 부형으로 알았다.

 

같이 천황을 섬겨 강적에게 항거하였다.

 

나라를 평안하게 하고 집안을 온전히 하여 오늘에 이르렀다.

 

나는 선조가 전의 한기와 화친할 때 한 말을 생각하면 해와 같이 밝은 바 있다.

 

이후 이웃과 화친을 닦아서 이웃나라에 후하게 하였다.

 

은혜가 골육을 넘어섰다.

 

처음을 착하게 하고 끝도 좋아야 한다는 것은 내가 항상 원하는 바이다.

 

모르겠다. 어째서 쉽게 헛소리를 듣고 몇 해 사이에 근심하고 뜻을 잃었는가.

 

옛말에 '후회막급이라' 한 것은 이를 두고 한 말인가.

 

위는 창공에 다다르고 아래는 지하에 이르기까지 맹세코 허물을 고칠 것이다.

 

하나도 숨김없이 할 바를 밝히겠다.

 

정성이 신에 통하고 깊이 자기를 책하는 것은 역시 취할 바가 있다.

 

듣건데 선대의 뒤를 잇는 자는 선조의 가던 길을 그대로 가고

부조의 업을 이어받아 공훈을 이루는 것을 귀하게 여긴다.

 

지금 선세의 화친한 호의를 생각하고 천황의 조칙의 말에 따라

신라에게 빼앗긴 남가라, 훼기탄을 빼앗아

그 전대로 임나에 옮기고 길이 부형의 나라가 되어 일본을 섬길 것이다.

 

이는 과인이 먹어도 맛이 없고 자도 자리가 불안한 바이다.

 

지난 일을 후회하고 금후를 경계하여 조심스럽게 행할 것이다.

 

신라가 감언으로 속이는 것은 천하가 다 아는 바이다.

 

그대들은 맹신하여 이미 타인의 모략에 빠졌다.

 

지금 임나의 경계는 신라와 접하고 있다. 항상 방비를 하여야 한다.

 

어찌 경계를 게을리 할 것인가.

 

간계에 빠져 버리면 나라를 잃고 집을 망하게 하고 사람에 사로잡힐 것을 두려워한다.

 

과인이 이를 생각하고 걱정하여 안심하지 못한다.

 

임나와 신라가 계략을 꾸미는 자리에도

벌과 뱀의 흉칙한 본성을 드러냈다는 것을 들었다.

 

또한 여러 사람들이 아는 바이다.

 

재앙의 전조는 행동을 경계하기 위해 나타난다.

 

이변은 사람에게 그 깨달을 바를 알린다.

 

이는 곧 하늘의 경계이고 선조의 영혼의 징표다.

 

화가 온 다음에 후회하고, 멸망한 다음에 일어서겠다고 생각하여도 어림없는 일이다.

 

그대는 나를 따라 천황의 칙을 들어 임나를 일으켜라.

 

어찌 성공하지 못할 것을 걱정하는가.

 

길이 본토를 보존하고 구민을 다스리고 싶다면 그 계략이 여기에 있다.

 

신중하지 않겠는가."

라고 말하였다.

 

성명왕이 또 임나의 일본부에

 

"천황이 조하여 '만일 임나가 멸망하면 그대는 거점이 없어질 것이다.

 

만일 임나가 흥하면 그대는 구원을 얻을 것이다.

 

지금 임나를 재건하여 옛날과 같게 하여

그대를 도우며 백성을 어루만지고 기르게 하라'고 하였다.

 

삼가 조칙을 받들어 송구한 마음이 가슴에 찼다.

 

정성을 다 할 것을 맹세하고, 임나를 융성하게 할 것을 기원하였다.

 

옛날처럼 오래 천황을 섬길 것이다.

 

장래를 염려한 연후에 안락할 것이다.

 

지금 일본부는 조한 바와 같이 임나를 구조하면,

이는 천황이 반드시 칭송할 것이고, 그대의 몸도 포상을 받을 것이다.

 

또 일본의 경 등은 오래 임나의 나라에 머물러서 가까이 신라의 경계와 접하고 있다.

 

신라의 정상은 이미 아는 바와 같다.

 

임나를 해하고 일본에 반항하려고 한다.

 

그 유래는 길다. 올해부터가 아니다.

 

그래도 감히 움직이지 않는 것은 가깝게는 백제를 경계하고

멀리는 천황을 두려워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을 섬기는 척하며 거짓 임나와 화해했다.

 

임나의 일본부를 기쁘게 한 것은 아직 임나를 빼앗기 전이니까

거짓 복종하는 모습을 보이기 위해서다.

 

원컨데 그 틈을 엿보고, 그 불비를 보고서, 한번 군사를 일으켜 공략할 것이다.

 

천황이 조칙으로 남가라, 훼기탄을 세우라고 권한 것은 수십년의 일만은 아니다.

 

그런 것을 신라가 하나같이 명을 듣지 않는 것은 경 등이 아는 바이다.

 

천황의 조칙을 믿고 임나를 세우려고 하는 것이 어찌 이와 같이 하여도 될 것인가.

경 등은 쉽게 감언을 믿고, 경솔하게 거짓말을 믿어,

임나국을 멸하고 천황을 욕되게 하는 것을 나는 두려워한다.

 

경은 경계하여 타인에게 속지 말 것이다"

라고 말하였다.

 

 

 

 

서기 541년 4월 안라(安羅)의 차한기(次早岐) <이탄해夷呑奚>,

<대불손大不孫>, <구취유리久取柔利>,

가라(加羅)의 상수위(上首位) <고전해古殿奚>,

솔마(率麻)의 한기(旱岐), 산반해(散半奚)의 한기(旱岐)의 아들,

다라(多羅)의 하한기(下旱岐) <이타夷他>,

사이기(斯二岐)의 한기(旱岐)의 아들, 자타(子他)의 한기(旱岐)와

임나(任那) 일본부의 <길비신吉備臣>이 백제에 가서 함께

조서(詔書, 야마토의 흠명 천황의 조서)를 받았다.

 

그리고 성명왕이 참석자들에게 하는 말 가운데 이런 내용이 나온다.

 

<옛적에 나의 선조이신 근초고왕과 근구수왕 시대

안라(安羅), 가라(加羅), 탁순(卓淳)의 旱岐들이 처음으로 사자를 보내

두터운 친교를 맺었다.

 

형제와 같이 함께 번영하기를 바랐다.

 

그러나 신라에게 속아 천황의 노여움을 사고

임나(任那)로 부터 원망을 듣게 된 것은 나의 잘못이었다.

 

스스로 깊이 뉘우치고 있으며 하부중좌평(下部中佐平) 마로(麻鹵),

성방(城方) <갑배매노甲背眛奴>를 가라(加羅)에 보내

"임나일본부(任那日本府)"와 만나 맹약을 교환하였다.>

 

일본서기에 임나일본부란 말이 최초로 등장하는 장면이다.

 

 

백제 성명왕이 주로 등장하는 흠명(欽明)기에 기록된 임나일본부란

실체가 실제 존재하였는지, 누가, 왜 만들었으며 역할이 무었인지 밝혀진 바 없다.

 

일본에서는 임나일본부를 조선총독부와 비슷하게 이해하고 싶어한다.

 

서기 541년 임나를 다스리는 일본의 총독부가 안라(安羅, 현 함안군)에 있었다.

 

그리고 1910년 한일합방을 합리화하는 논리로 사용된다.

 

옛부터 조선은 일본의 통치를 받은 적이 있으므로

1910년 다시 일본의 통치를 받는 것은 역사의 반복에 불과하다고 주장하였다.

 

이런 이슈와 만나면 양국 국민들은 예외없이 네셔널리즘에 빠져

자기만 옳다고 주장하기 때문에 결국 삿대질로 끝난다.

 

그러나 필요한 것은 그 무렵 일본서기가 기록한 내용을 면밀히 살펴

역사의 실상을 제대로 파악하는 일이다. 

 

우리가 가장 빠지기 쉬운 함정은 5세기 열도에 살던 인간들도

현대의 한국과 일본이라는 개념으로 살았을거라는 믿음이다. 

 

일본인들이 열도를 단일국가로 인식한 것은 메이지 유신 이후의 일이다.

 

5세기의 인간들은 가문과 부족을 위해 살았고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국가라는 개념은 존재하지 않았다.

 

그럼 임나일본부를 누가 왜 언제 만들었을까?

 

과연 그 시대 일본정부라고 불릴 만한 주체가 있기나 하였을까?

 

혹시 열도에 있던 어떤 가문이 사적으로 만든 현지 법인같은 건 아닐까?

 

 

일본서기를 아무리 살펴도 서기 479년부터 531년까지

임나를 경영할 수 있는 강력한 왕권은 열도에서 발견되지 않는다.  

 

당시의 천황들은 실권이 없었고 대반(大伴) 가문이

두 차례의 정변을 거쳐 권력을 장악하고 친 고구려 정책을 폈다.

 

서기 485년의 정변이후 안라(安羅)에 고구려 접선거점을 마련한 대반(大伴) 가문은

몇 세대에 걸쳐 이를 운영하면서 고구려 커넥션을 추구하였다.

 

서기 487년 미림(爾林)에서 전사한 좌로(左魯)와 나기타갑배(那奇他甲背)의 후손들이 서기 548년까지 안라(安羅)에서 고구려와 내통하고 있었다.

 

열도의 대반(大伴)가문은 안라(安羅)에 주재원을 상주시켜

좌로(左魯)와 나기타갑배(那奇他甲背)의 후손들과 협력하였다.

 

그들은 비밀리에 고구려를 접촉하여 백제를 정벌할 것을 요청하였고

서기 548년 정월 고구려가 6천의 군사를 보내

백제의 독산성(마진성, 충남 예산)을 공격하였다.  

 

서기 720년 저작된 일본서기는 대반(大伴)가문이 안라에 설치한 고구려 접선거점을  

<임나일본부>라고  기록함으로써 뭔가 거대한 것이 있었던 것처럼 역사를 호도하였고 후세는 그 장단에 맞춰 춤을 추어 왔다.

 

성명왕과 흠명왕이 말하는 임나는 대마도를 말하며

안라는 지금의 함안으로 임나일본부는 안라에 설치한 왜신관(倭臣館)을 말한다.

 

위의 기사는 541년 안라{함안]의 차한기(次早岐)가

안라의 왜신관에 있던 <길비신吉備臣>과 대마도의 한기(早岐)등을 대동하여

백제 성왕과 함께 금관가야의 신라복속 후 임나{대마도} 및 안라{함안}의 안전을 위한

후속 조치를 논의하는 장면이다.  

 

 

 

- 일본은 왜 역사를 왜곡하나

 

 

 

 

Posted by 띨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