玄黙困敦,順沃交戦,靑河助順,沸流助沃,
相勝相負持久不决, 献粟不至京都困甚,
帝開倉廪公卿自殺. 芳后生女鷄黍不備,
帝飮粱酒束手無策, 群盜蜂起自稱天子,
天厄如此鳳凰何至 <추모경>
현묵곤돈{壬子,BC69}년에 <순노順奴>와 <옥저沃沮>가 맞붙어 싸우매,
<청하靑河>가 <순노>를 돕고 <비류沸流>가 <옥저>를 도와서,
서로가 이겼다 졌다 하면서 오래도록 결판이 나지 않으매,
바쳐오는 곡식이 다다르지 못하여 경도京都의 곤궁함이 심하였다.
이에 모수제께서 창고와 곳간들을 여셨더니 공경들이 자살하였으며,
<방芳>후가 딸을 낳았어도 산후에 산모를 먹일 닭 국물과 밥이 없었고,
천제께서도 좁쌀 술을 드실 뿐 속수무책이셨으며,
도적들이 벌떼 같이 일어나서 천자天子를 자칭하였다.
하늘의 재앙災殃이 이러하였으니, 봉황鳳凰이 어찌 오겠는가?
{☞諸侯國들 間의 同類意識 瓦解 시작}
昭陽赤奮又是旱證.
黃龍助順伐沸, 滸口荇人救沸伐龍,
河上六國交戦其血玄黃, 帝命禾相乃伐荇人,
天下大乱災異時見.
桓那卒本之軍會于汗濱, 盖馬肅愼之軍集于梁貊,
牛畜殆盡馬驢亦稀.
好人生葦, 羊后登壼.
壺衍病没, 虗閭棄嫂. 鳳凰啄蝗, 忠光藏輝.
金蛙献粟, 楽浪受尺.
佗利平盜, 卑離拒妻,
汗濱大戦, 五侯零落, 雖不至死被創中矢.
沃沮北遷北鞨南下, 順奴之國太半折减. <추모경>
소양적분{癸丑,BCE68}년, 또 한발이 들었더니,
<황룡黃龍>이 <순노順奴>를 도와서 <비류沸流>를 치고,
<호구滸口>땅의 <행인荇人>은 <비류>를 구원하며 <황룡>을 쳐서,
河上6 國이 뒤엉켜 싸우게 되었고 그 피가 하늘과 땅을 적셨다.
이에 제께서 <화상禾相>에게 명하시어 <행인>을 치게 하셨더니,
천하가 크게 어지럽고 천재와 이변이 때때로 나타났다.
<환나桓那>와 <졸본卒本>의 군대들이 <한빈汗濱>으로 모여들고
<개마盖馬>와 <숙신肅愼>의 군대들이 <양맥梁貊>으로 모여들었더니
소와 가축들이 거진 사라지고 말과 나귀도 드물어졌다.
<호인好人>이 <위화葦花>를 낳고, <양羊>후가 곤위壼位{坤位,后妃位}에 올랐다.
<호연제壺衍鞮{狐鹿姑之子}>가 병으로 죽고
<허려권거虛閭權渠{壺衍鞮之弟}>가 형수{전거연지}를 버렸더니,
봉황들이 벌레를 쪼고 충성의 빛이 광채를 감추었다.
<금와金蛙{東夫余}>가 곡식을 바쳐오고,
<락랑국浪國>이 금척을 받았으며 {沃沮를 대신하여 樂浪이 舟運을 도왔다},
<타리佗利(禾相의 사위)>가 도적을 평정하였고, <비리卑離>가 처와 겨루고{?},
<한빈汗濱>에서 큰 싸움이 일어났더니, 다섯 제후들의 위세가 시들하여졌다.
비록 죽지는 않았어도 창을 맞고 살을 맞았다.
<옥저沃沮>가 북방으로 옮겨가고
{樂浪이 舟運을 대신하며 金尺과 沃沮땅을 받았기에},
<북부여의 제후국>
'고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33. 熊心山 優渤水가에서 두 龍이 交合하다 (0) | 2014.07.20 |
---|---|
32. 佗利와 旺弗의 亂 및 羊吉의 폭정 (0) | 2014.07.20 |
30. 慕漱帝의 玄兎城 공격과 기상이변 (1) | 2014.07.19 |
29. 慕漱帝 <고두막>의 등극 (0) | 2014.07.19 |
28. 漢과 胡와 烏桓의 전투 (0) | 2014.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