稼 : 심을 가

嘉 : 아름다울가, 嘉遯(아름다운 은둔)

      已日革之 行有嘉也(澤火革 九二 象辭)

      (때가 이미 정한 날에 개혁을 한다는 것은 행함에 아름다움이 있다)

桷 : 서까래 각

干 : 방패 간

簡 : 대쪽 간, 간편할 간, 易簡之道

艮 : 어긋날 간, 그칠 간, 멈출 간, 中山艮

衎 : 즐길 간

艱 : 어려울 간, 艱難

墹 : 간 간

葛 : 칡 갈

      困于葛蕌(곤우갈류) 于臲卼(우얼올) 曰動悔(왈동회) 有悔 征吉(澤水困 上六 爻辭)

      (칡 덩굴과 위태함에 곤함이니 움직이면 후회한다고 하며

       뉘우침이 있으면 나아가서 길하다)

曷 : 어찌 갈, 曷之用(어찌 함부로 쓰리오)

敢 : 감히 감

坎 : 구덩이 감, 中水坎

甲 : 첫째천간 갑, 甲托

岬 :곶 갑

彊 : 굳셀 강, 自不息

疆 : 지경 강, 无

殭 : 굳어질 강

剛 : 굳셀 강, 剛健

介 : 끼일 개, 클 개,  절개 개,

      介福(큰 복), 憂悔吝者 存乎介, 介于石(절개가 돌과 같다)

垲 : 높은땅 개

蓋 : 덮을 개, 대개 개

      蓋取諸小過(개취저소과)

      (대개 모두 소과괘에서 취하였다) 

乾 : 하늘 건, 마를 간, 강건할 건, 重天乾

      君子 終日乾乾 夕惕若 厲 无咎(重天乾 九三 爻辭)

      (군자는 종일 굳세고 굳세어서 저녁에 삼가면 위태로우나 허물이 없다)

愆 : 허물 건

健 : 튼튼할 건

蹇 : 절 건,  水山

黔 : 검을 검

擊 : 부딪칠 격

假 : 거짖 가, 이를 격

      王假有家(왕격유가) 勿恤 吉(風火家人 九五 爻辭)

      (왕이 집에 이르렀음이니 근심하지 않아도 길하다)

牽 : 끌 견

      牽復在中 亦不自失也

      (이끌고 돌아온다는 것은 중도에 있음이라 또한 스스로 잃지 아니함이다)

見 : 볼 견(자각), 나타날 현, 見龍在田(현룡재전)

決 : 터질 결

經 : 날 경

徑 : 지름길 경

庚 : 일곱째천간 경

稽 : 상고할 계

      於稽其類 其衰世之意耶

      (그 종류를 살펴보건대 쇠퇴한 세상(은말주초)의 뜻이 아니겠는가)

階 : 섬돌 계, 升階(섬돌에 올라감, 임금자리에 올라감)

係 : 이을 계, 맬 계

      係用徽纆(계용휘묵) 寘于叢棘(치우총극) (重水坎 上六)

      (동아줄에 묶어서 가시덤불(소인지도) 속에 두다)

繫 : 맬 계

告 : 고할 고, 정곡(正鵠) 곡, 아뢸 곡,

      瀆則不告(독즉불곡) 利貞

      (모독한 즉 알려주지 않는다고 하니 바르면 길하다)

考 : 상고할 고, 이룰 고

      敦復无悔 中以自考也

誥 : 고할 고, 가르칠 고,

      施命誥四方(명을 내려 사방의 백성을 가르친다)

 : 살찔 고, 기름 고, 베풀 고

      鼎耳 革 其行 塞(색) 雉膏不食(치고불식) 方雨 虧悔 終吉(火風鼎 九三 爻辭)

      (솥귀가 바뀌어 그 행함이 막혀 궝기름을 먹지 못하니

       바야흐로 비(하늘의 은택)가 내려서 후회함이 없어지고 끝내 길하리라)

      屯其膏 小貞 吉 大貞 凶(水雷屯 九五 爻辭)

      (그 은택을 베풀기가 어려우니 작은 일에는 바르게 하면 길하고

       큰 일에는 곧아도 흉하다)

槁 : 마를 고

枯 : 마를 고

刳 : 가를 고

      刳木爲舟(고목위주) 剡木爲楫(염목위즙)

      (나무를 따개어 배를 만들고 나무를 깎아 노를 만들어)

罟 : 그물 고

      作結繩而爲網罟(노끈을 매어 그물을 만들어서)

蠱 : 독 고, 벌레 고    山風 

股 : 넓적다리 고, 샃 고, 咸其

固 : 굳을 고, 진실할 고,

      益用凶事 固有之也

     (흉사(탐욕에 빠져있음)에 씀을 보탠다는 것은 진실함이 있을 때 행함이다)

牿 : 우리 곡,

      童牛之牿 元吉 山天大畜 六四爻

      (송아지(初九)의 빗장을 걸으니 크게 길하다) 

糓 : 곡식 곡

曲 : 굽을 곡, 곡진할 곡,

      曲成萬物而不遺(만물을 곡진히 이루어 빠뜨리지 않으며)

梏 : 쇠고랑 곡 

困 : 괴로울 곤, 澤水

坤 : 땅 곤,  重地坤

鞏 : 묶을 공

      鞏用黃牛之革(澤火革 初九 爻辭)

      (누런 쇠가죽으로써 굳세게 묶음이다)

恐 : 두려워할 공, 恐懼修身 恐致福也

垮 : 무너질 과

關 : 빗장 관

盥 : 대야 관

貫 : 꿸 관,  貫魚

筐 : 광주리 광

洭 : 땅이름 광

卦 : 점괴 괘, 걸 괘

掛 : 걸 괘

乖 : 어그러질 괴

肱 : 팔뚝 굉

郊 : 성밖 교    城 - 郭 - 郊 - 野

驕 : 교만할 교

姤 : 만날 구, 天風

媾 : 화친할 구, 婚

鉤 : 갈고랑이 구

衢 : 네거리 구

      何天之衢 亨 (山天大畜 上九 爻辭)

      (저 하늘의 네거리(도통의 경지)이니 형통하다)

溝 : 봇도랑 구

構 : 얽을 구

臼 : 절구 구

苟 : 진실로 구

咎 : 허물 구,

      无咎者 善補過也(허물이 없다는 것은 지나침(잘못)을 잘 보완하는 것이다.)

驅 : 몰이꾼 구

懼 : 두려워할 구  獨立不懼 遯世无悶

仇 : 원수 구, 짝 구, 我仇有疾(나의 짝이 병이 있으니)

屨 : 신 구, 屨校 滅趾(구교는 발을 멸함이니)

疚 : 오랜 병 구

      剛中正 履帝位 而不疚 光明也(天澤履 九五 象辭)

      (剛이 中正으로 제왕의 자리에 올라서 마음에 거리낌이 없으면 광명하다)

屈 : 굽을 굴

掘 : 팔 굴

躬 : 몸 궁

窮 : 다할 궁(긍정), 궁핍할 궁(부정)

      所尙 乃窮也(숭상하는 바가 마침내 다함이요)

倦 : 게으를 권

權 : 권세 권, 저울추 권

      巽以行權(巽으로서 저울질하면서 은미하게 행한다)

勸 : 권할 권, 勞民勸相(백성을 위로하고 서로 돕는 것을 권장한다, 향약의 실천 덕목)

厥 : 그 궐  

      厥宗噬膚(궐종서부) 往有慶也(왕유경야)(火澤睽 六五 象辭)

      (그 종족이 살갗을 씹어(성인지도를 자각하여)

       나아가면 성인지도를 실천하는 공이 있다)

      厥孚交如 威如 吉(火天大有 六五 爻辭)

      (그 믿음으로 서로 사귀니 위엄이 있으면 길하다)  

闕 : 대궐 궐

饋 : 먹일 궤

      无攸遂 在中饋 貞吉 (風火家人 六二 爻辭)

      (아무것도 이루는 바가 없음이나 성인지도를 알맞게 먹이고 있으니

       바르고 길하다, 无成有終이 군자의 도)

簋 : 제기이름 궤

      樽酒簋貳(준주궤이) 用缶(용부) 納約自牖(납약자유) 終无咎 (重水坎 六四 爻辭)

      (한 통의 술과 제기 두 개의 음식을 질그릇에 담아

       벽창으로 부터 간략하게 드리면 마침내 허물이 없다)

      (군주와 대신의 사심없는 만남) 

机 : 책상 궤

刲 : 찌를 규

睽 : 사팔눈 규, 어긋날 규, 火澤

頄 : 광대뼈 규

      壯于頄 有凶 獨行遇雨 君子夬夬 若濡有慍 无咎(澤天夬 九三 爻辭)

      (광대뼈가 씩씩함이니(화가 나니) 흉함이 있고

       홀로가다가 비(하늘의 은택)를 만남이니 군자는 결단함(上六과 응효)이라

       만약에 上六에 젖어서 노여움이 있으면(뇌화부동하지 않으면) 허물이 없다)

圭 : 홀 규, 신표 규, 주역에서는 믿음을 말한다.

揆 : 헤아릴 규

      初率其辭而揆其方 旣有典常

      (처음에 그 말을 따라 방법을 헤아려 보건데 법칙과 항상됨이 있다) 

窺 : 엿볼 규

闚 : 문틈으로 엿볼 규

壑 : 귀머거리 규

繘 : 두레박줄 귤(율)

克 : 이길 극, 다스릴 극, 克家(집안을 다스림)

亟 : 빠를 극

棘 : 멧대추나무 극, 가시나무 극

謹 : 삼가할 근

禽 : 날짐승 금, 새 금,  田无禽(밭(군자의 터전)에 새(하늘의 천사, 천도)가 없음이다)

汲 : 물 길을 급

及 : 미칠 급, 信及豚魚也(믿음이 돼지와 물고기까지 미친다)

箕 : 키 기

忌 : 꺼릴 기,

      施祿及下(시록급하) 居德則忌(거덕칙기)

      (록봉을 베풀어 아래에 미치게하며 덕에 머물며 법으로 금한다)

祇 : 토지의신 기, 마침 지

幾 : 기미 기

杞 : 구기자나무 기, 버들 기

      以杞包瓜(이기포과) 含章(함장) 有隕自天(유운자천)(天風姤 九五 爻辭)

      (버들 잎으로 외(소인)를 쌈이니(어려움이니)

       빛나는 것을 품었다면 하늘로부터 떨어짐(도움)이 있다) 

岐 : 갈림길 기

愭 : 공손할 기

掎 : 끌 기

 

 

 

筤 : 바구니 낭(랑)

囊 : 주머니 낭

      括囊 无咎 无譽(괄낭 무구 무예)(重地坤 六四 爻辭)

      (주머니를 묶듯이 하면 허물이 없으며 명예도 없다)

惗 : 사랑할 념

寧 : 편안할 녕, 어찌 녕(영)

      寧用終日(영용종일)(어찌 하루를 마치겠는가)

搙 : 비들 녹

耒 : 쟁기 뇌(뢰)

雷 : 우뢰 뇌(뢰)

耨 : 김맬 누, 호미 누

屢 : 창 누(루)

扐 : 손가락사아 늑(륵)

柅 : 말뚝 니,

      繫于金柅 貞 吉 有攸往 見凶 羸豕孚蹢躅(이시부척촉)(天風姤 初六 爻辭)

      (쇠 말뚝(乾道)에 매면 바름이라 길하고 내 마음대로 갈 데가 있으면 흉함을 보니

       여윈 돼지(소인)가 힘을 믿고 날뛰고 날뛰는 것이다)

泥 : 진흙 니, 빠질 니, 井泥不食, 震遂泥(천둥이 드디어 빠짐(가라앉음)

 

 

 

 

嗲 : 아양떨 다

彖 : 돼지어금니 단, 彖者 言乎象者也

窞 : 작은 구덩이 담, 坎

: 울 도  同人 先號咷而後笑

宖 : 울 도

擣 : 찧을 도

塗 : 진흙 도(소인지도)

覩 : 볼 도,

      聖人作而萬物覩(성인이 일어나옴에 만물이 우러러 본다)

瀆 : 도랑 독, 모독할 독 下交不瀆(아래와 사귀되 모독하지 않으니)

篤 : 도타울 독, 篤實(山의 德性)

敦 : 도타울 돈

豚 : 돼지 돈

遯 : 달아날 돈(둔)  天山

突 : 부딪칠 돌, 갑자기 돌, 突如其來如(돌연히 그것이 오는 것이니)

棟 : 용마루 동

憧 : 그리워할 동 

屯 : 진칠 둔, 어려울 둔,  水雷屯

臀 : 볼기 둔

      臀无膚(둔무부) 其行次且(기행자저) 牽羊悔亡(견양회망) 聞言不信(문언불신)

      (澤天夬 九四 爻辭)

      (볼기에 살이 없으며 그 가는 것이 머뭇거리니

       양(羊, 순종)을 끌고 가면 후회함이 없으련만 성인의 말을 들어도 믿지 않음이다)

滕 : 물솟을 등

 

 

 

 

 

爛 : 문드러질 란

婪 : 탐할 람

麗 : 고을 려, 자리잡을 리

厲 : 두려워할 려, 위태로울 여, 갈 려

廬 : 오두막집 려,

      碩果不食 君子得輿 小人剝廬 (山地剝 괘 上九)

      (큰 과일은 먹지 않으니 군자는 수레를 얻고 소인은 오두막집을 허문다)

䉫 : 가시덤불 려, 據于蒺䉫(소인) 入于其宮 不見其妻(군자) 匈 (澤水困 괘 六三)

歷 : 지낼 력, 治歷明時

曆 : 책력 력

鹵 : 소금 로

壠 : 언덕 롱

漏 : 샐 루

屢 : 창루 루

樏 : 찬합 류

藟 : 칡덩굴 류

綸 : 낚시줄 륜, 짤 륜(윤), 經

陵 : 언덕 릉, 업신여길 능, 永貞之吉 終莫之陵也(마침내 업신여기지 못한다)

娌 : 동서 리

羸 : 여윌 리, 상할 리(이)

斴 : 물소리 린

 

 

 

 

 

莫 : 없을막, 저물 모, 고요할 맥,

      莫益之(막익지) 或擊之(혹격지) 立心勿恒 凶(風雷益 上九 爻辭)

      (더해주지 않음이라, 유익함만 구하지 말라.

       보태려만 하면 혹 하늘이 치리니 마음을 세우고 항상됨이 없으면 흉하리라)

      惕號莫夜(척호모야) 有戎(유융) 勿恤(물휼)(澤天夬 九二 爻辭)

      (두려워서 부르짖음이니 밤이 저물도록 싸움이 있더러도 절대로 근심하지 말라)

妄 : 망령스러울 망,  天雷无妄,  无妄之心 天命也

罔 : 그물 망, 없을 망, 罔孚(믿음이 없음)

莽 : 우그질 망, 伏戎于莽(군사를 숲속에 매복시켜 놓고)     

妹 : 누이 매, 雷澤歸

脢 : 등심 매, 咸其

冪 : 덮을 멱

      井收勿冪 有孚 元吉(水風井 上六 爻辭)

      (우물물을 길러내고 절대 덮지 아니함이 믿음이 있으니 크게 길하다) 

蔑 : 업신여길 멸

冥 : 어두울 명, 冥升(地風升 上六)(어둡게 올라감)

袂 : 소매 몌

茅 : 띠풀 모

      苟錯諸地(구조저지)而可矣 藉之用茅 何咎之有 愼之至也(계사 상편 8장)

      (진실로 저 땅에 두더라도 괜찮거늘 띠풀을 까는데 쓰니 삼가함의 지극함이라)

蒙 : 어릴 몽, 몽매할 몽, 무릅쓸 몽, 입을 몽, 山水蒙,

      以蒙大難(큰 어려움을 무릅쓰니)

眇 : 애꾸눈 묘

      眇能視(묘능시) 跛能履(파능리)

      (애꾸눈이 능히 볼 수 있고 절뚝발이가 능히 걸을 수 있음이라) 

茂 : 무성할 무,

      茂對時 育萬物(시의를 마주하여 무성하게 만물을 기른다)

无 : 없을 무

拇 : 엄지손가락 무, 엄지발가락 무, 咸其

纆 : 노 묵, 두곱실 묵,

彌 : 두루 미, 짤 미, 能彌綸天地之道

亹 : 힘쓸 미

      成天下之亹者 莫大乎蓍龜(막대호시귀)

      (천하의 힘쓰야 할 일을 이룸은 蓍龜(하도, 낙서=천지지도)보다 더 큼이 없다)  

靡 : 쓰러질 미, 함께할 미

      我有好爵(아유호작) 吾與爾靡之(오여이미지)

      (내가 좋은 벼슬(중도에 대한 믿음)이 있어 너와 더불어 함께함이니)

迷 : 미혹할 미, 迷復

悶 : 번민할 민

密 : 빽빽할 밀, 사려깊을 밀, 愼密而不出也(삼가하고 사려깊어 나가지 않는다)

 

 

 

 

 

駁 : 얼룩말 박

剝 : 벗길 박, 깎을 박,  山地剝

薄 : 엷을 박

磐 : 너럭바위 반, 머뭇거릴 반, 桓(머뭇거리고 주저함)

彭 : 성대할 방, 성대할 팽

      匪其彭(비기방) 无咎 明辨晳也(명변제야)(火天大有 九四 象辭)

      (그 성대하지 않음이라야 허물이 없다는 것은

       사물을 분별하는 지혜가 밝은 것이다)

蚌 : 방합 방

芳 : 꽃다울 방, 두루 방,

      芳行而不流 樂天知命

      (두루 행하여도 옆길로 흐르지 아니하여 하늘의 명을 즐겁게 안다)

法 : 본받을 법, 卑 法地

蕃 : 우거질 번

藩 : 덮을 번

伐 : 칠 벌, 자랑할 벌, 勞而不伐(수고하고도 자랑하지 않으며)

闢 : 열 벽, 靜翕動闢(정흡동벽)

辟 : 임금 벽, 피할 벽

      履錯之敬(이착지경) 以辟咎也(이벽구야) (重火離 初九 象辭)

      (착잡한 행동을 삼가고 밝음을 공경하는 것은 허물을 피하려는 것이다)

辨 : 분별할 변, 변두리 변,

      剝牀以辨 未有與也(침상의 변두리를 깎으니 함께하지 못한다)

辯 : 판별할 변, 말 잘할 변, 분별할 변, 辯吉凶者 存乎辭

鱉 : 금계 별

並 : 아우를 병

炳 : 밝을 병, 빛날 병

      大人虎變 其文炳也(澤火革 九五 象辭)

      (대인이 범처럼 변한다(호랑이 털갈이 처럼 개혁의 효과가 선명하게 드러난다)

      는 것은 그 문채가 빛남이다) 

柄 : 자루 병

甁 : 병 병, 두레박 병

輔 : 덧방나무 보, 도울 보, 광대뼈 보,

      咸其輔頰舌(함기보협설) 騰口說也(등구열야)(澤山咸 上六 象辭)

      (그 위 턱과 뺨과 혀에 감응함이라 기쁨을 입에 올리는 것이다.

      진리와 내가 하나됨을 말한다)

輹 : 바퀴살 복

腹 : 배 복

服 : 옷 복, 복종할 복,

復 : 돌아올 복, 다시 부,  地雷復, 反復其道 七日來復 天行也

伏 : 엎드릴 복

僕 : 종 복

鮒 : 붕어 부

      井谷(정곡) 射鮒(석부) 甕敝漏(옹폐루)(水風井 九二 爻辭)

      (우물 속 골짜기라 붕어(백성)를 쏘움이오, 독이 깨어져서 물이 새는 것이다)  

蔀 : 빈지문 부

俯 : 구푸릴 부, 仰以觀於天文 俯以察於地理

缶 : 장군 부, 항아리 부, 질그릇 부

      有孚 盈缶 終來 有他吉(믿음이 항아리에 가득차듯이 하면 끝내 다른 길함이 있다)

敷 : 펼 부

孚 : 미쁠 부,  孚= 信+誠+敬,  風澤中孚

裒 : 덜어낼 부, 모을 부, 裒多益寡(많은 것은 덜어내고 적은 것은 보탠다)

豶 : 불알깐 돼지 분

      豶豕之牙 吉 (山天大畜 六五 爻辭)

      (거세된 돼지의 어금니(온순, 순종)이니 길하다)

忿 : 성낼 분

焚 : 불사를 분,

      突如其來如 焚如 死如 棄如(重火離 六四 爻辭)

      (돌연히 그것이 오는지라 태워 죽여서 버려진다.

       가을에 알곡과 쭉정이를 가려 쭉정이는 태워 죽여 버려진다)

紛 : 어지러워질 분

奔 : 달릴 분

苯 : 풀우거질 불

拂 : 떨 불, 어긋날 불, 頤(어긋난 턱(양육의 道)(山雷頤 괘 六三)

紱 : 인끈 불, 제복치마 불

      困于酒食 朱紱方來 利用亨祀 征凶无咎(澤水困 九二 爻辭)

      (술과 밥(성인지도)에 곤함이라 붉은 제복을 걸친 임금(성인)이 바야흐로 오니

       제사를 지냄(정성을 다함)이 이로우나 그대로 나아가면 흉하니 허물할 곳이 없다)

      朱紱 : 임금, 赤紱 : 신하

弗 : 아닐 불,

      龜弗克違(구불극위)(낙서는 능히 어기지 않는다)

嘣 : 내뱉을 붕

憊 : 고달플 비

腓 : 장딴지 비, 咸其

肥 : 살찔 비, 여유로울 비, 肥遯(여유로운 은둔)

妣 : 죽은 어미 비

匕 : 비수 비, 숱가락 시

比 : 친밀할 비, 도울 비, 견줄 비, 水地比

否 : 막힐 비, 아닐 부, 天地

賁 : 꾸밀 비, 클 분, 山火

匪 : 아닐 비, 아집과 독선, 편견, 고정관념에 사로잡혀 있는 상태

牝 : 암컷 빈, 牝馬

頻 : 자주 빈, 頻復

馮 : 맨발로 건널 빙,

      包荒(포황) 用馮河(용빙하) 不遐遺(불하유) 朋亡 得尙于中行(地天泰 九二 爻辭)

      (거친것을 포용하고 황하를 맨발로 건너는 용기가 있고

       멀리 있는 것을 버리지 않고 붕당이 없으면 숭상함을 얻고 중도를 행하리라)

 

 

 

 

 

祀 : 제사 사

射 : 쏠 사, 쏠 석

斯 : 이 사,

      解而拇 朋至斯孚(雷水解 九四 爻辭)

      (엄지 발가락과 교제하면 벗(天道, 九二)이 이르러서 이를 믿음으로 대하니라)

師 : 스승 사, 무리 사,  地水師

耜 : 보습 사

肆 : 방자할 사, 진열할 사, 펼칠 사

      其言 曲而中 其事肆而隱

      (그 말은 곡진하면서도 모든 사물에 맞으며

       그 일은 진열되어 있으면서도 은미(비유와 상징으로 은미)하니)

俟 : 기다릴 사

      不俟終日(하루가 마치기를 기다리지 않는다)

揸 : 짐을 사

摣 : 잡을 사

舍 : 집 사, 버릴 사, 그칠 사, 쉴 사   

      舍爾靈龜(너의 신령스러운 거북을 버리고)

      見龍在田 時舍也(현룡재전은 시의성에 머물며 쉼이다)

赦 : 용서할 사, 赦過宥罪(허물을 용서하고 벌을 가볍게 한다) 

索 : 새끼 꼴 삭, 두려워할 삭

      震 索(삭삭) 視矍矍(시확확) 征凶 (重雷震 上六 爻辭)

      (천둥이 칠 때 두려워서 눈을 두리번거리니 나아가면 흉하다)

愬 : 두려워할 삭 

      履虎尾 愬 終吉(天澤履 九四 爻辭)

      (호랑이 꼬리를 밟으니 두려워하고 조심하면 마침내 길하다)  

牀 : 평상 상,  剝牀以足 以滅下也 

翔 : 빙빙돌아날 상

祥 : 상서로울 상, 자세할 상

䫙 : 이마 상

桑 : 뽕나무 상

尙 : 숭상할 상, 오히려 상

      藩決不羸 尙往也(울타리가 열려 상하지 않음이니 오히여 나아감이다)

商 : 헤아릴 상

塞 : 변방 새

索 : 찾을 색, 동아줄 삭

嗇 : 아낄 색

賾 : 깊숙할 색

      聖人 有以見天下之賾(유이견천하지색) 而擬諸其形容(이의저기형용)

      (성인이 천하의 그윽하고 지극한 이치를 보고서 그 형용하는 모습에 비기고)

眚 : 눈에백태낄 생, 사람이 주는 재앙

牲 : 희생 생, 소 생, 用大牲(큰 소(순종)를 씀)

暑 : 더울 서

筮 : 점대 서

鼠 : 쥐 서

噬 : 씹을 서  火雷噬嗑

昔 : 옛 석

錫 : 주석 석, 줄 석

      晋 康侯 用錫馬蕃庶 晝日三接(火地晋 卦辭)

      (나아가 밝고 성대해진다는 것은 나라를 편안하게 한 제후에게

       군주가 여러가지 많은 말(馬, 乾道)을 하사하고 하루에 세번 접한다)

鼫 : 다람쥐 석,

      晋如鼫鼠(나아가는 다람쥐, 나아가는데 다람쥐 처럼 눈치를 본다)

鮮 : 고울 선, 드물 선

      君子之道 鮮矣(군자의 도는 아는 사람이 드물다)

旋 : 되돌아볼 선

      視履(시리) 考祥(고상) 其旋(기선) 元吉(天澤履 上九 爻辭)

      (지나온 자취를 보고 상서로움을 살피고 되돌아보면 크게 길하다)

渫 : 칠 설, 깨끗이 할 설,

      井渫不食 爲我心惻

      (우물을 깨끗이 하여도 먹지 않으니 내 마음이 슬프다)

揲 : 셀 설

說 : 말씀 설, 베풀 설, 기뻐할 열, 벗어날 탈  

      天地說位而易行乎其中矣 (하늘과 땅이 자리를 베풀면 역이 그 가운데서 행해진다)

      輿說輻(여탈복)(수레의 바퀴통이 벗겨짐)

      用說桎梏(용탈질곡)(질곡을 벗기는데 사용함)

剡 : 땅이름 섬, 날카로울 염

渉 : 건널 섭

性 : 성품 성, 天命之謂性,

      成性存存 道義之門(이루어진 본성을 보존하고 보존하는 것의 도의의 문이다)

洗 : 씻을 세

蘇 : 참조기 소, 까무러칠 소, 깨어날 소

      震 蘇蘇 震行 无眚 (重雷震 六三 爻辭)

      (천둥에 까무려쳤다가 깨어남이니 우뢰가 지나가면 재앙이 없다)

喿 : 울 소

昭 : 부를 소, 밝을 소, 自昭明德(스스로 밝은 덕을 밝히는 것이다) 

屬 : 엮을 속, 이을 촉

續 : 이을 속

餗 : 죽 속

      鼎 折足(절족) 覆公餗(복공속) 其形渥(기형악) 凶 (火風鼎 九四 爻辭)

      (솥의 다리가 부러져 公의 죽을 엎어 뒤집어쓰니 그 형상이 악착같은 지라 흉하다)

束 : 묶을 속

速 : 빠를 속, 부를 속

      有不速之客三人(水天需 上六爻辭)

      (불청객 세 사람이 있으니) 

巽 : 손괘 손, 겸손할 손, 들(入)손, 中風巽,

      以木巽火 亨飪也 (火風鼎 卦, 나무(風)를 들여서 불을 피워 삶아서 익히다)

訟 : 송사할 송, 天水訟

瑣 : 자질구레할 쇄

需 : 기다릴 수, 구할 수, 水天 

隨 : 따를 수, 澤雷

雖 : 비록 수

須 : 모름지기 수, 턱수염 수,

      賁其須 與上(九三)興也(山火賁 六二 爻辭)

酬 : 갚을 수

殊 : 죽일 수

脩 : 포 수, 닦을 수,  恐懼脩省(공구수성) 

岫 : 산굴 수

繻 : 고운명주 수

狩 : 사냥할 수,

      明夷于南狩 得其大首 不可疾貞(地火明夷 九三 爻辭)

      (밝음을 감추고 있었으나 남쪽(離, 밝음, 진리)으로 사냥하여

       그 건도를 얻었으나 가히 빨리 바르게 할 수 없음이다)

數 : 셀 수, 헤아릴 수, 極數知來之謂占

殊 : 뛰어날 수, 다를 수

      天下 同歸而殊塗(천하가 돌아감은 같으나 길은 다르다)

羞 : 바칠 수, 부끄러워할 수, 包羞(부끄러워 하는 마음을 품고있다)

孰 : 누구 숙, 其孰能與於此哉(그 누가 이와 더불어 하겠는가)

夙 : 일찍 숙, 夙吉(빨라야 길하다)

旬 : 열흘 순

醇 : 진한술 순

馴 : 길들일 순

      馴致其道 至堅氷也(그 도를 따르면 얼음이 얼 계절에 이른다)

習 : 익힐 습, 거듭할 습, 習坎 重險也

繩 : 줄 승

升 : 오를 승, 地風

蓍 : 시초 시

息 : 숨실 식, 살아날 식, 쉴 식, 盈虛消息 天行也, 不可息也(가히 쉬지 않았다) 

薪 : 섶나무 신

悉 : 다 실

 

 

 

 

 

 

牙 : 어금니 아

啞 : 벙어리 아, 낄낄거리며 웃을 액

垭 : 작은방죽 아

握 : 쥘 악  

      一握爲笑(하나같이 웃게 된다)

      손을 쥐면 낙서(五, 地道) 손을 펴면 하도(十, 天道)이니 一握은 天地之道의 의미 

渥 : 두터울 악, 악착같을 악

惡 : 악할 악, 미워할 오

嘠 : 새소리 알

遏 : 막을 알

      遏惡揚善(알악양선) 順天休命

      (악을 막고 선을 드러내어 하늘의 명을 아름답게 따른다)

岇 : 산높은모양 앙

冶 : 불릴 야

禴 : 여름 종묘제사이름 약

      引 吉 无咎 孚乃利用禴(澤地萃 六二 爻辭)

      (九五가 이끌어 주면 길하고 허물이 없다.

       정성(믿음)으로 여름 제사(간소한 제사, 二簋)를 올리듯이 제사를 지내도 이롭다)

揚 : 드날릴 양, 揚于王庭 孚號有厲 告自邑 不利卽戎 利有攸往

楊 : 버들 양

禦 : 막을 어

      夫易(부역) 廣矣大矣(광의대의) 以言乎遠則不御(이언호원즉불어)

      (무릇 역은 넓고 큼이라, 먼 것으로 말하면 다함(막힘)이 없다)

      利用禦寇(도둑을 막는 것이 이로움은) 

億 : 헤아릴 억

臲 : 위태로울 얼

掩 : 가릴 엄,

      困 剛掩也(困은 剛이 가려짐이다. 澤水困의 九二와 九四, 九五가 음에 가려짐이다)

旅 : 군사 여(려), 火山

畲 : 새밭 여

輿 : 수레 여

廬 : 오두막집 여(려)

茹 : 뿌리 여

      拔茅茹(발모여) 以其彙(이기휘) 征 吉(地天泰 初九 爻辭)

      (띠 뿌리를 뽑으니 서로 엉켜있음이라 그 무리와 함께 가는 것이니 길하다) 

易 : 바꿀 역, 쉬울 이, 易簡之道

衍 : 넘칠 연, 大衍之數

嬊 : 아름다울 연

攣 : 당길 연, 걸릴 연(련)

      有孚 攣如(연여) 富以其隣(부이기린)(風天小畜 九五 爻辭)

      (성실한 믿음이 있음이라. 손을 잡고 당기는 것과 같이하여

       富로써 이웃함이다) 

漣 : 물놀이 연

      乘馬班如 泣血漣如(水雷屯 上六爻辭)

      (말을 탔다가 내려서 돌아옴이니 피눈물이 계속 흘려내리는 듯하다(자기성찰)

洌 : 맑을 열(렬)

      井洌寒泉食(정렬한천식)

厭 : 싫을 염

剡 : 날카로울 염, 깎을 염 

盈 : 찰 영

朠 : 달빛 영

預 : 즐거울 예, 기쁠 예, 미리 예, 雷地

叡 : 밝을 예

曳 : 끌 예

惡 : 악할 악, 미워할 오, 不惡而嚴(미워하지 않고 나 자신을 엄하게 하라) 和而不同

縕 : 헌솜 온, 땅 기운 온, 쌓을 온

      乾坤 其易之縕耶(건과 곤은 역을 쌓아 놓은 것이다)

慍 : 성낼 온

卼 : 위태로울 올

甕 : 독 옹

顒 : 공경할 옹

緩 : 느슨할 완, 解者緩也 緩必有所失 故受之以損

玩 : 희롱할 완, 완미할 완, 所樂而玩者 爻之辭也

往 : 갈 왕

撓 : 어지러울 요

橈 : 꺾일 요. 大過 棟

辱 : 욕되게할 욕

容 : 얼굴 용, 용납할 용

墉 : 담 용

      乘其墉 弗克攻 吉(天火同人 九四 爻辭)

      (담 위에 올랐으나 쳐들어가지 않았으니 길하다)

盱 : 쳐다볼 우

      盱豫(우예)悔 遲(지)有悔(雷地豫 六三 爻辭)

      (바라보는 즐거움이라 뉘우침이 있으면 더딜수록 후회함이 있다) 

遇 : 만날 우,

      遇主于巷 无咎(火澤暌 九二 爻辭)

      (임금을골목에서 만나면 허물이 없다)

虞 : 근심할 우, 헤아릴 우, 몰이꾼 우

      除戎器 戒不虞(병기를 손질하여 변고가 없도록 경계한다)

      卽鹿无虞 惟入于林中 君子 幾 不如舍 往 吝 (水雷屯 六三 爻辭)

      (사슴 사냥을 나갔으나 몰이꾼이 없음이라 오로지 숲속으로 들어갈 뿐이다

       군자는 기미를 보아서 그만두는 것만 같지 못하니 나아가면 인색하다)

尤 : 더욱 우, 허물 우,    終无尤也(마침내 허물이 없다)

佑 : 도울 우, 自天佑之 吉无不利(하늘로 부터 도움이 있어 길하여 이롭지 않음이 없다)

耦 : 짝 우

      陽卦 奇 陰卦

隕 : 떨어질 운

刖 : 벨 월,   劓刖(의월, 코를 베이고 팔꿈치를 베임)

蔚 : 풀이름 울, 성할 위

      君子豹變 其文蔚也(기문위야) 小人革面 順以從君也(澤火革 上六 象辭)

      (군자가 표범처럼 변한다는 것은 그 문채가 빛남이요

       소인이 안색만을 고친다는 것은(面從腹背)

       겉으로만 순종해서 임금을 따른다는 것이다)

違 : 어길 위

葦 : 갈대 위

裕 : 넉넉할 유, 너그러울 유

遺 : 끼칠 유, 남길 유

柔 : 부드러울 유

攸 : 바 유

濡 : 젖을 유,   賁如濡如

淘 : 바퀴테 유

游 : 헤엄칠 유

涑 : 주무를 유

宥 : 용서할 유

廖 : 등나무덩굴 유(류)

唯 : 오직 유

幽 : 그윽할 유

維 : 바 유

牖 : 벽창 유

蹂 : 밟을 유, 卑而不可蹂(몸을 낮추지만 밟고 넘지 못한다)

揉 : 주무를 유, 휠 유

猶 : 오히려 유

      猶未離其類也(오히려 그 무리를 떠나지 못함이다)

渝 : 달라질 투, 변할 유

      不克訟 復卽命 渝 安貞 吉(天水訟 九四 爻辭)

      (송사에 이길 수 없으니 곧 命을 취하여 돌아와 나아가고

       마음을 바꾸고 바르고 편안하면 길하다)    

允 : 진실로 윤,

      衆允悔亡(무리가 진실함이라 후회함이 없다)

      允升(진실하게 올라감)

潤 : 젖을 윤

綸 : 낚싯줄 윤(륜)

昀 : 햇빛 윤

戎 : 군사 융

隆 : 높을 융, 클 융,

      棟隆 吉 有它 吝(대들보가 높아 길하나 다른 뜻이 있으면 인색하다)

峎 : 산이름 은

凝 : 엉길 응, 이를 응, 正位凝命(자리를 바르게 하고 천명을 이르게 하다)

儀 : 거동 의

懿 : 아름다울 의, 懿文德(문덕을 아름답게 한다)

劓 : 코벨 의

擬 : 헤아릴 의

議 : 의논할 의

      擬議 以成其變化(헤아리고 의논한 후에 그 변화를 이룬다)

利 : 이로울 이, 날카로울 이(리),

      其利斷金(그 날카로움이 쇠를 끊는다. 그 이로움이 건도를 자각함이다) 

莅 : 다다를 이(리),

      莅衆(이중) 用晦而明(용회이명)

      (무리에 임하여는 어두운 것을 써서 밝게 하니라.

       어리석한 태도로 백성들에게 다가가 조화를 이룬 후 밝은 데로 이끌어야 한다)

羸 : 여윌 이(리)

邇 : 가까울 이

      震驚百里 驚遠而懼邇(경원이구이)

      (천둥소리가 백리까지 놀라게 하는 것은 먼 데를 놀라게 하고

       가까운 데를 두렵게 함이다)

洟 : 콧물 이

離 : 떼놓을 이(리), 자리잡을 이, 걸릴 이, 重火

爾 : 너 이

泥 : 진흙 이(니)

柅 : 무성할 이(니)

履 : 신 이(리), 밟을 이, 이행할 이, 天澤

      履霜堅氷(서리를 밟으면 굳은 얼음이 이름을 안다)

頤 : 턱 이,  山雷

已 : 이미 이, 그칠 이,  有厲利已(위태로움이 있으니 그치면 이롭다)

夷 : 오랑캐 이, 평평할 이. 큰 활 이, 상할 이, 地火明

貳 : 두 이, 의심할 이

      因貳 以濟民行(이러한 의심으로 인하여 백성의 행함을 구제한다)

弋 : 주살 익

絪 : 하늘 기운 인

      天地 絪縕 萬物 化醇, 男女 構精 萬物 化生 

吝 : 인색할 인(린),

      悔吝者 憂虞之象也(회린자 우우지상야)

      (후회함(뉘우침)과 인색함(부끄러움)은 근심과 헤아림의 象이다.)

夤 : 조심할 인

隣 : 이웃 인(린)

臨 : 임할 임(림),  地澤臨 

飪 : 익힐 임, 烹飪(삶아서 익힘)

孕 : 아이밸 잉

 

 

 

 

 

 

咨 : 물을 자, 탄식할 자

藉 : 깔개 자,

      藉用白茅 无咎(澤風大過 初六 爻辭)

      (자리를 까는 데 흰 띠풀을 쓰니 허물이 없다) 

玆 : 검을 자, 이 자, 玆介福(이 큰 복)(福, 慶 : 성인지도의 자각)

疵 : 흠 자, 허물 자,  悔吝者 言乎其小疵也

爵 : 잔 작

酌 : 따를 작, 헤아릴 적

簪 : 비녀 잠

      由豫 大有得 勿疑 朋 盍簪(합잠)(雷地豫 九四 爻四)

      (말미암은 기쁨이라 크게 얻음이 있으니 의심치 말면

       벗이 비녀를 합한다(천하가 같이 기뻐할 수 있다.)

壯 : 씩씩할 장, 雷天大

戕 : 죽일 장

壵 : 장할 장

章 : 글 장, 빛날 장, 品物咸章也(만남은 만물이 모두 빛나는 것이다)

齎 : 가져올 재

裁 : 마를 재

斎 : 재계할 재

齎 : 탄식할 재, 슬퍼할 재

      齎咨涕洟(재자체이) 无咎(澤地萃 上六 爻辭)

      (슬퍼서 탄식하며 눈물과 콧물을 흘려야 허물이 없다) 

羝 : 숫양 저

     小人은 用壯이오 君子는 用罔이니 貞이라도 厲하니 羝羊이 觸蕃하야 羸其角이로다

     (소인은 씩씩한 기운을 쓰고 군자는 걸러서 쓰니 곧아도 위태롭다고 하니

      숫양(소인)이 울타리에 걸려 그 뿔이 상함이로다)(雷天大壯 九三 爻辭)

     小人而無忌憚也(소인이무기탄야)

     (소인은 거리낌이 없다. 무식한 사람이 용감하다)

杵 : 공이 저

      斷木爲杵(단목위저) 掘地爲臼(굴지위구)

      (나무를 잘라 공이를 만들고 땅을 파서 절구를 만들어)

著 : 드러날 저

適 : 갈 적

覿 : 볼 적

      臀困于株木(둔곤우주목) 入于幽谷(입우유곡) 三歲不覿(삼세부적)

      (澤水困 初六 爻辭)

      (엉덩이가 나무 그루터기에 걸려 곤함을 당함이라

       깊은 골짜기(소인지도)에 들어가 삼년이라도 (사람을) 보지 못함이다)

逖 : 멀 적

顚 : 꼭대기 전, 이마 전, 엎어질 전 

      鼎 顚趾 利出否(이출비) 得妾 以其子 无咎(火風鼎 初六 爻辭)

      (솥 발꿈치가 엎어지나 비색한 것을 내놓는 것(드러운 것을 비워내는 것)이

       이로우니 첩(아내의 낮춤, 군자)을 얻으면 아들로써 허물이 없다)

佃 : 밭갈 전

戔 : 쌓일 전, 해칠 잔, 모자랄 전

      山火賁괘 六五 束帛箋箋 吝 終吉(비단묶음이 모자라면 인색하나 마침내 길하다)

邅 : 머뭇거릴 전

      屯如邅如(둔여전여) 乘馬班如(승마반여) 匪寇(비구) 婚媾(혼구)

      女子 貞 不字 十年 乃字 (水雷屯 六二 爻辭)

      (어려운 듯 머뭇거리는 것과 같으며 말을 탔으나 나아가지 못하니

       도적이 아니라 혼인을 구하는 것이다. 여자가 곧아서 시집을 허락하지 않다가

       10년(오랜 후에)만에 九五에게 시집을 가는 것이다) 

切 : 끊을 절, 절박할 절

      剝牀以膚 切近災也(침상의 살갗을 깎으니 재앙이 절박하게 가깝다)

折 : 꺾을 절  

      无敢折獄, 折獄致刑

      折首(乾道를 자각 함)

貞 : 곧을 정

霆 : 천둥소리 정

頂 : 정수리 정, 이마 정,

      過涉滅頂 凶 无咎 (澤風大過 上六 爻辭)

      (무리하게 물을 건너다 이마가 빠짐이라 흉하나 (살신성인하여)허물이 없다)

鼎 : 솥 정,  鼎取新也

靜 : 고요할 정

晳 : 지혜 제, 밝을 석

稊 : 싹 제, 枯楊生稊(마른 버드나무에 싹이 트는 것)

齊 : 가지런할 제, 齊小大者 存乎卦 

除 : 덜 제, 마름질할 제

濟 : 가지런할 제, 건널 제, 건질 제, 水火旣濟 火水未濟, 道濟天下

躋 : 오를 제

      震 來厲(래려) 億喪貝(억상패) 于九陵(제우구릉) 勿逐(물축) 七日得

      (重雷震 六二 爻辭)

      (천둥이 올 때 위태로움이라 재물을 잃을 것을 헤아리고 언덕에 오름이니

       쫓지 않아도 7일만에 군자지도를 얻는다) 

熺 : 여동생 제

際 : 사귈 제, 剛柔際也(剛과 柔가 사귐이다)

悌 : 공경할 제, 孝悌忠信

諸 : 다 제, 모두 제. 다 저,

      顯諸仁(현저인) 藏諸用(장저용)

      (仁(씨앗)으로 모두 드러나며 일상의 쓰임 用(열매)속에 모두 감추어져 있다)

      (天地無心而成化 聖人有心而無爲) 

阻 : 험할 조

燥 : 마를 조

躁 : 성급할 조

綜 : 잉아 종

胄 : 맏아들 주

馵 : 발흰말 주

誅 : 벨 주

紂 : 껑거리끈 주

拄 : 버틸 주

疇 : 밭두둑 주, 무리 주

      有命 无咎 疇 離祉(天地否 九四 爻辭)

      (천명이 있으면 허물이 없으니 뜻을 같이 하는 자는 모두가 복을 받을 것이다) 

樽 : 술통 준

浚 : 깊을 준,

      浚恒之凶 始求沈也 (雷風恒 初六 象辭)

      (항상됨을 깊게 함이라 흉하다는 것은 처음부터 깊이 구함이다)

卽 : 곧 즉, 나아갈 즉, 不我能卽(나에게 능히 나아가지 못하게 하면)

崱 : 잇다을 즉

      撰德(선덕) 辨是與非(변시여비) 崱非其中爻 不備

      (덕을 가리고 시비를 분별하는 것은 中爻(2爻와 5爻)가 아니면 갖추지 못한다) 

楫 : 노 즙

隼 : 새 매 준,

      公用射隼(공용석준) 以解悖也(이해패야)(雷水解 上六 象辭)

      (公이 매(하늘의 천사)를 쏘았다는 것은 이로써 어그러진것을 해결함이다) 

拯 : 건질 증, 구원할 증,

      明夷 夷于左股 用拯馬 壯 吉(地火明夷 六二 爻辭)

      (밝은 지혜를 감춤에 왼쪽 넙적다리를 상함이니(가벼운 상처) 

       건장한 말(乾道)로 구원을 받는다면 길하다)

知 : 알 지, 지혜 지, 주관할 지, 乾知大始 坤作成物

祗 : 공경할 지, 토지 신 지, 이를 지,

      不遠復 无祗悔 元吉(地雷復 初九)

     (멀리 가지 않고 돌아오니 후회함에 이르는 일이 없어 크게 길하다)

     坎不盈 祗旣平 无咎(重水坎 九五)

     (구덩이에 물이 차지않음이나 이미 물이 차서 평평하게 이르면 허물이 없다)

旨 : 맛있을 지

趾 : 발 지

遲 : 늦을 지

至 : 이를 지. 지극할 지

祉 : 복 지

      帝乙歸妹 以祉 元吉(地天泰 六五 爻辭)

      (帝乙이 누이동생을 (소박하고 겸손하게) 시집보내는 것이니

       복이 있으며 크게 길하다)

稷 : 기장 직

晋 : 나아갈 진, 火地

振 : 떨칠 진,

      振恒在上 大无功也(雷風恒 上六 象辭)

      (항상됨을 떨침이 위에 있으니 크게 공이 없음이다)

陳 : 늘어놓을 진

震 : 벼락 진, 重雷震, 震動也, 震无咎者 存乎悔

蒺 : 납가새 질, 據于蒺䉫 入于其宮 不見其妻 匈

窒 : 막을 질, 懲忿窒欲(분노를 억누르고 욕심을 막느니라)

耊 : 늙은이 질

迭 : 갈마들 질

疾 : 병 질, 빠를 질

桎 : 차꼬 질

咥 : 깨물 질

      履虎尾 不咥人 亨(호랑이 꼬리를 밟아도 사람을 물지 않으니 형통하다)

執 : 잡을 집, 묶을 집

      執用黃牛 固志也(天山遯 六二 象辭)

      (결박하는데 누른 소가죽을 쓴다는 것은 뜻을 굳게 하는 것이다)

懲 : 혼날 징, 억제할 징

 

 

 

 

 

 

且 : 또 차, 머뭇거릴 저

次 : 버금 차, 머뭇거릴 자  且(자저, 머뭇거리고 머뭇거림)

嗟 : 탄식할 차  萃如嗟如(澤地萃 六三 爻辭)

錯 : 섞일 착, 둘 조

      苟錯諸地(구조저지) 而可矣(이가의)

      (진실로 저 땅에 두더라도 가하거늘)

      錯綜其數(그 수를 섞고 모아서)

斲 : 깎을 착

      斲木爲耜(착목위사) 揉木爲耒(유목위뢰) 耒耨之利(뢰누지리)

      (나무를 깍아 보습을 만들고 나무를 휘어 쟁기를 만들어 쟁기와 호미의 이로움)

撰 : 지을 찬, 가릴 선, 撰德(덕을 가리다)

竄 : 숨을 찬

      歸而逋竄也(귀이포찬야)(물러나 숨는다)

慙 : 부끄러울 참

鬯 : 울창주 창

彰 : 밝을 창, 드러날 창 知微知彰(은미함을 알고 드러남을 안다)

蒼 : 푸를 창

涨 : 넘칠 창

暢 : 화창할 창, 펼칠 창

策 : 채찍 책

惕 : 두려워할 척,  삼가할 척

悐 : 두려워할 척

瘠 : 파리할 척

戚 : 겨레척, 슬퍼할 척

脊 : 등성마루 척

蹢 : 날뛸 척

遄 : 빠를 천,

      已事遄往 尙合志也(山澤損 初九 象寺)

      (일을 그만두고 빨리 간다는 것은 하늘을 숭상함과 뜻이 합쳐짐이다

      성인지도를 숭상하여 깨우침의 길로 들어선다) 

闡 : 열 천

      微顯闡幽(미현천유) 開而當名(개이당명)

      (역은 드러남을 은미하게 하고 그윽함을 밝히며 열어서 이름을 마땅하게 한다) 

洊 : 이를 천, 연거푸 천, 거듭할 천

      水洊至 習坎(물이 계속해 이르는 것이 습감이다)

掇 : 주울 철

      患至掇也(환란을 자초함에 이름이다)

涕 : 눈물 체

      出涕沱若(출체타약) 戚嗟若(척차약) 吉(길) (重火離 六五 爻辭)

      (눈물이 비 오듯하여 슬퍼서 탄식하니 길하다)

逮 : 미칠 체

掣 : 끌 체, 당길 철, 막을 체

      見輿曳(견여예) 其牛掣(기우체) 其人天且劓(기인천차의) 无初有終(무초유종)

      (수레를 끌어 당기고(九二) 그 소를 막으며(九四),

       그 사람이 머리를 깎이고 또 코를 베이니

       正心을 가지면(上九를 만나면) 시작은 없어도 마침은 있다. 火澤睽 六三 爻辭)

酢 : 초 초

招 : 부를 초

草 : 풀 초, 어지러울 초

      天造草昧 宜建侯而不寧

      (천운이 어지럽고 어두울 때에는 마땅히 제후를 세움이요 편안하지 않음이다)

躅 : 머뭇거릴 촉, 날뛸 촉

叢 : 모일 총, 가시나무 총,

揔 : 다 총

寵 : 괼 총

聰 : 귀밝을 총

摧 : 꺾을 최, 머뭇거릴 최, 晋如摧如(나아가고 머뭇거림)

醜 : 추할 추

推 : 옮을 추

萑 : 풀많을 추

樞 : 지도리 추

      言行 君子之樞機

甃 : 벽돌담 추, 수리할 추, 井甃 无咎(우물을 수리하면 허물이 없다)

畜 : 쌓을 축, 기를 축, 붙들 축, 사람기를 휵

      係遯 畜臣妾(휵신첩) 吉(天山遯 九三 爻辭) 

      (소인지도에 매여있는 은둔이니 不可近不可遠이면 길하다)

      風天小畜, 山天大畜

      (풍천소축은 작은 것이 큰 것을 겸손하게 붙드는 것이고

       산천대축은 큰 것을 붙들어 머물게 하는 것이다

       풍천소축의 주인공은 六四(음)이고 산천대축의 주인공은 上九(양)이다

       畜은 天命을 붙들어 길러 쌓는 것이다.)

逐 : 쫓을 축, 良馬逐(좋은 말로 뒤쫓는 것)

斣 : 맞걸릴 축

萃 : 모을 췌(취), 澤地

聚 : 모을 취  萃者聚也

就 : 이룰 취

趣 : 달릴 취

昃 : 기울 측

      日昃之離(일측지이) 不鼓缶而歌(불고부이가) 則大耊之嗟(즉대질지차) 凶(흉)

      (해가 기울어 걸려있으니 질그릇을 두드려 노래하지 않으면

       팔십 먹은 늙은이의 탄식이라 흉하다.(어지러운 末世에 비유) 重火離 六三 爻辭)

惻 : 슬퍼할 측

測 : 잴 측, 가릴 측, 헤아릴 측, 陰陽不測之謂神

寘 : 둘 치

穉 : 어릴 치

雉 : 꿩 치

恥 : 부끄러워할 치

菑 : 묵은 밭 치

褫 : 빼앗을 치

      或錫之鞶帶(혹석지반대) 終朝三褫之(종조삼치지)(天水訟 上九 爻辭)

      (혹 鞶帶를 받더라도 조회가 끝날 때까지 세 번 빼앗길 것이다) 

則 : 법칙 칙, 곧 즉,  終則有始 天行也

飭 : 신칙할 칙

蟄 : 숨을 칩

 

 

 

 

 

 

快 : 쾌할쾌

夬 : 터놓을 쾌, 깍지 결, 결단할 쾌, 澤天

 

 

 

 

 

朶 : 늘어질 타,   頤(턱을 늘어뜨림)

沱 : 물이름 타, 눈물 흘리는 모양 타.

它 : 다를 타, 뱀 사

柝 : 열 탁, 목탁 탁

坼 : 터질 탁

坦 : 평평할 탄

奪 : 빼앗을 탈

探 : 찾을 탐

耽 : 즐길 탐

湯 : 넘어질 탕

盪 : 씻을 탕, 움직일 탕, 섞일 탕, 剛柔相摩 八卦相 

泰 : 클 태, 태평할 태, 地天泰

殆 : 위태할 태

兌 : 바꿀 태, 기뻐할 태, 重澤

澤 : 못 택

隤 : 무너뜨릴 퇴, 순할 퇴

      夫乾 確然(확연) 示人易矣(시인이의) 夫坤 隤然(퇴연) 示人簡矣(시인간의)

      (무릇 乾은 굳세니 사람에게 쉬움으로 보여주고

       무릇 坤은 순하니 사람에게 간략함을 보여준다)

忒 : 변할 특, 어긋날 특, 日月不過  四時不忒

 

 

 

 

 

跛 : 절뚝발이 파

罷 : 방면할 파

皤 : 머리센 흰머리 파, 賁如皤如

悖 : 어그러질 패

沛 : 늪 패

篇 : 책 편

偏 : 치우칠 편

翩 : 빨리날 편

      翩翩 不富以其隣 不戒以孚(地天泰 六四 爻辭)

      (새가 펄펄나는듯이 富하지 않아도 이웃하며 경계하지 않아도 서로 믿음이로다)

怦 : 곧을 평

幤 : 화폐 폐

 : 해질 폐

飽 : 물릴 포

包 : 쌀 포, 꾸러미 포, 포용할 포,

      包有魚 无咎 不利賓(天風姤 九二 爻辭)

      (꾸러미에 생선(소인,初六)이 있으면(친비) 허물이 없으나

       손님(九三~上九)에게는 이롭지 못하다)

      包蒙(몽매한 자를 포용하다)

苞 : 그령 포, 넝쿨 포

      繫于苞桑(뽕나무 넝쿨에 매어놓듯 튼튼하다)

暴 : 사나울 포

逋 : 달아날 포, 숨을 포,

豹 : 표범 표

豊 : 풍년 풍, 넉넉할 풍, 雷火

彼 : 저 피

陂 : 비탈 피

      无平不陂 无往不復 艱貞(간정) 无咎 勿恤其孚 于食有福(地天泰 九三 爻辭)

      (평탄하기만 하고 기울어지지 않는 것이 없으며 돌아오지 않는 것이 없으니

       어려울수록 바르게 해야 허물이 없으니 그 믿음으로 근심하지 아니하면

       먹는데 복(성인지도를 실천하는 복)이 있다) 

哔 : 울 필

 

 

 

 

 

 

遐 : 멀 하 

嗃 : 엄할 학, 꾸짖을 학

      家人 嗃 悔厲 吉 婦子 嘻嘻 終吝(風火家人 九三 爻辭)

      (가인이 엄하게 꾸짖으니 지나친 것을 뉘우치고 근심함이니 길하고

       부녀자가 희희덕거리며 웃으면 마침내 인색하다) 

閑 : 막을 한, 한가할 한, 익힐 한

      閑有家 悔亡 (風火家人 初九 爻辭)

      (家道를 익히고 있으면 후회함이 없다)

     日閑輿衛(날마다 수레 몰기와 호위함을 익히는 것)

翰 : 날개 한, 賁如皤如 白馬翰如(희게 꾸미는 것이 백마의 날개와 같다)

熯 : 말랄 한, 공경할 연, 사를 선

陷 : 빠질 함

咸 : 다 함, 함께할 함, 澤山

含 : 머금을 함

闔 : 문짝 합

嗑 : 말많을 합

盍 : 합할 합, 덮을 합

亢 : 목 항, 亢龍有悔

巷 : 거리 항

恒 : 항상 항, 雷風恒

蟹 : 게 해

偕 : 함께 해, 與時偕行(시의성과 더불어 함께 행하는 것이다)

享 : 누릴 향, 제사바칠 향

嚮 : 향할 향, 메아리 향, 其受命也 如嚮(그 명을 받음이 메아리와 같다)

虩 : 두려워하는 모양 혁

      震來虩(진래혁혁) 笑言啞啞(소언액액) 震驚百里(진경백리) 不喪匕鬯(불상시창)

      (천둥이 칠 때 두려워서 놀라며 (그친 다음에) 웃는 소리가 액액거리니

       천둥소리가 백리까지 놀라게 함에

       (제사 지내는) 수저와 술(울창주)을 잃지 않아야 한다

      (제사권, 장자권을 잃지 말라)

革 : 가죽 혁, 고칠 혁  革去故也

莧 : 비름 현, 패모 한

      莧陸夬夬(현륙쾌쾌) 中行 无咎(澤天夬 九五 爻辭)

      (쇠비름(소인)을 단호하게 결단함이라 중도로 행함이니 허물이 없다)

顯 : 나타날 현

縣 : 매달 현

鉉 : 솥귀 현

      鼎黃耳金鉉 利貞 (火風鼎 六五 爻辭)

      (솥의 누른 귀(乾道)에 금으로 만든 고리(乾道)이니 바르면 이롭다)

絜 : 헤아릴 현

弦 : 활시의 현, 휠 현

      弦木爲弧(현목위호) 剡木爲矢(염목위시)

      (나무를 휘어 활을 만들고 나무를 깎아 화살을 만들어)

頰 : 뺨 협

亨 : 형통할 형, 제사지낼 향, 삶을 팽, 亨飪(팽(烹)임, 삶아서 익힘)

戶 : 지게 호, 不出戶庭 无咎(뜰 문밖을 나가지 않으면 허물이 없다) 

箚 : 문지기 혼

画 : 그림 화

確 : 굳을 확, 굳셀 확,

雘 : 진사 확

矍 : 두리번거릴 확

穫 : 벼 벨 확, 

      不耕穫 不菑畬(밭을 갈지 않고도 거두며 묵은 받이 아닌데도 새밭처럼 기름지다)

渙 : 흩어질 환, 風水

圜 : 두를 환

桓 : 푯말 환, 머뭇거릴 환

      磐桓(머뭇거리고 주저함)

崲 : 늪이름 황

隍 : 모퉁이 황, 해자 황

      城復于隍 勿用師 自邑告命 貞 吝(地天泰 上六 爻辭)

      (성의 한 모퉁이가 무너짐이라 무리를 쓰지 말 것이오

       고을(나 자신)로 부터 명령이 나오는 것이니 곧아도 인색하다) 

悔 : 후회할 회, 뉘우칠 회

誨 : 가르칠 회, 부를 회

      盜 思伐之矣 慢藏誨盜 治容誨淫

      (도적이 칠 것을 생각하니 곳집 감춤을 게을리함은 도적을 부르는 것이며

       얼굴을 다듬는 것은 음탕함을 부르는 것이다) 

晦 : 그믐 회

會 : 모을 회, 막힘 회, 會通(막히고 통함)

爻 : 효 효

效 : 본 받을 효, 崇 效天

侯 : 제후 후

后 : 임금 후, 제후 후, 后不省方(제후가 사방을 순찰하지 않는다)

厚 : 두터울 후  

薰 : 향풀 훈

烜 : 마를 훤

晅 : 기운 훤

毁 : 헐 훼

喙 : 부리 훼

暉 : 빛 휘

徽 : 아름다울 휘, 세곱실 휘

彙 : 무리 휘

撝 : 휘날릴 휘, 撝謙(겸손을 발휘함)

虧 : 이지러질 휴

休 : 쉴 휴, 아름다울 휴,

      休復之吉 以下仁也 (地雷復 괘 六二 彖辭)

      (아름답게 돌아와 仁으로서 몸을 낮추는 것이다)

恤 : 근신할 휼, 구휼할 휼, 勿恤(근심하지 말라)

汔 : 거의 흘

      井 改邑 不改井 无喪无得 往來井井

      汔至(흘지) 亦未繘井(역미율정) 羸其甁(이기병) 凶 (水風井 卦辭)

      (우물은 고을을 고치되 우물을 고치지 못하니 잃는 것도 없고 얻는 것도 없으며

       오고 가며 우물을 먹는다 하니 두레박이 거의 이르러도

       또한 우물에 끈을 드리우지 못함이니 두레박을 깨뜨리면 흉함이다.)

翕 : 합할 흡

嘻 : 웃을 희, 희희덕거릴 희

噫 : 탄식할 희

 

 

 

 

 

  

'한자교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문의 문장 형식과 虛辭와 實辭  (0) 2017.11.13
한자의 意味素  (0) 2017.06.21
갑골문자  (1) 2017.05.23
천자문(千字文)  (0) 2017.05.23
부수(部首)  (0) 2017.05.15
Posted by 띨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