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당서(新唐書)는 북송 인종이 구당서(舊唐書)의 내용이 왜곡된 것이 많고

너무 부실하다고 하여 <구양수>등에게 명하여

1046-1060년에 걸쳐 완성한 당나라의 역사를 서술한 24()중 하나다.

 

그 신당서에 돌궐을 평정하여 2(), ()를 평정하여 9() 1(),

거란(契丹)을 평정하여 17() 1(), 말갈(靺鞨)을 평정하여 3() 3(),

강호(降胡)를 평정하여 1(), 고구려(髙麗)가 항복하여 14()9()

기미주(羈縻州)와 도독부(都督府)를 하북도에 설치하였다고 하였다.

 

당 태종 이세민은 전국을 10로 나누었는데 하북도는 지금의 하북성과 하남성 일부,

산동성 일부를 포함하는 지역이다.

 

 

 

이 기미주(羈縻州)와 도독부(都督府)는 신설된 곳으로

본래는 당의 강역이 아니었다는 것이다.

 

 

당 태종이 639년에 전국을 3581,551현으로 설정하고

관할지역내의 호구수에 따라 상,,하의 주와 현을 두었다.

 

3만호 이상을 上州, 3만호 이하 2만호 이상을 中州,

2만호 이하 1만호 이상을 下州로 하고,

도 역시 상,, 하로 구분하여 지방행정을 정비하였다.

 

현재의 중국의 지구급안에 작은 가 속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10이상을 관할하는 지방관청을 대도독부(大都督府),

10미만을 관할하는 지방관청을 도독부(都督府)라 하고

이민족을 통치하기 위하여 둔 지방관청을 도호부(都護府)라 하였다.

 

하북도의 치소는 魏州(한단시 위현魏縣)이다.

 

 

<당 태종이 설치한 10道>

 

 

 

- 돌궐(突厥) 2()

 

順州順義郡. 貞觀四年平突厥, 以其部落置 順 佑 化 長 四州 都督府 于 幽 靈 之境,

又置 北開 北寧 北撫 北安 等 四州 都督府.

六年, 順州僑治營州南之五桞戍., 又分 思農部 置 燕然縣, 僑治陽曲.,

分思結部置懐化縣, 僑治秀容隷順州, 後皆省.

祐 化 長 及 北開 等 四州 亦廢, 而順州僑治幽州城中. 歳貢麝香. 縣一賓義.

 

瑞州. 本威州. 貞觀十年以烏突汗逹干部落置, 在營州之境. 咸亨中更名,

後僑治良鄉之廣陽城. 縣一, 来逺.

 

右初隷營州都督府, 及李盡忠陷營州, 以順州隷幽州都督府, 徙瑞州于宋州之境.

神龍初北還, 亦隷幽州都督府.

 

 

순주(順州) 순의군(順義郡).

 

정관(貞觀) 4(630)에 돌궐을 평정하고 그 부락으로

순주(順州)와 우주(佑州)와 화주(化州)와 장주(長州) 4개 주를 설치하고

도독부(都督府)를 유주(幽州)와 령주(靈州)의 지경에 두었다.

 

 

유주(幽州)는 지금의 보정시 당현 인근이고,

령주(靈州)는 령산(靈山)이 있는 지금의 북경과 울현사이에 있다. 

 

 

또한 북개주(北開州)와 북녕주(北寧州)와 북무주(北撫州)와 북안주(北安州)

4개 주를 설치하고 도독부(都督府)를 두었다.

 

6년에 순주(順州)를 영주(營州)의 남쪽에 있는 오류수(五柳戍)에서 교치하였고

또한 사농부(思農部)를 나누어 연연현(燕然縣)을 설치하여

양곡(陽曲)에서 교치하였다.

 

사결부(思結部)를 나누어 회화현(懐化縣)을 설치하고 수용(秀容)에서 교치하고

순주(順州)에 예속시켰다. 후에 모두 없앴다.

 

우주(祐州)와 화주(化州)와 장주(長州)와 북개주(北開州) 4개 주도 역시 폐하였다.

그리고 순주(順州)를 유주(幽州)의 성 안에 교치하였다.

 

한 해에 조공은 사향(麝香)이 있다. 현은 1개로 빈의현(賓義)이다.

 

교치(僑治)는 유민을 다른 지역으로 이주시켜 다스리는 것을 말한다.

 

 

서주(瑞州).

 

본래 위주(威州)이다.

 

정관(貞觀) 10년에 오돌한달간(烏突汗逹干)부락으로 설치하였고

영주(營州)의 지경에 있다.

 

함형(咸亨) 연간에 이름을 고쳤고

후에 량향현(良鄉)의 광양성(廣陽城)에서 교치하였다.

 

현은 1개이며 래원현(来逺)이다.

 

 

위의 것들은 처음에 영주도독부(營州都督府)에 예속되었다가

이내 이진충(李盡忠)이 영주(營州)를 함락하자

순주(順州)를 유주도독부(幽州都督府)에 예속시켰고

서주(瑞州)를 송주(宋州)의 지경으로 옮겼다.

 

신룡(神龍) 초기에 북쪽으로 다시 돌아와서

역시 유주도독부(幽州都督府)에 예속시켰다.

 

하북성 순주(順州) 빈의(賓義)현과 서주(瑞州) 래원(来逺)현을

돌궐을 평정하여 신설하여 영주에 예속하였다가

이진충에게 영주가 함락당하여 유주에 예속시켰다는 것이다.

 

영주(營州)의 치소는 지금의 하북성 보정시 서수구 동부산촌에 있었고

유주(幽州)의 치소는 지금의 하북성 보정시 당(唐)현 인근에 있었다.

 

 

 

 

 

 

- 해() 9() 1()

 

鮮州. 武德五年, 析饒樂都督府置. 僑治潞之古縣城. 縣一, 賓從.

崇州. 武德五年, 析饒樂都督府之可汗部落置. 貞觀三年更名北黎州, 治營州之廢陽師鎮.

八年復故名. 後與鮮州同僑治潞之古縣城. 縣一昌黎.

順化州. 縣一懐逺.

歸義州 歸德郡. 總章中以新羅戸置, 僑治良鄉之廣陽城. 縣一, 歸義. 後廢.

開元中, 信安王 禕 降 契丹李詩部落五千帳, 以其衆復置.

奉誠都督府. 本饒樂都督府, 唐初置, 後廢. 貞觀二十二年, 以内屬 奚 可度者 部落 更置, 并以别帥五部置弱水等五州. 開元二十三年更名. 領州五. 弱水州. 以阿㑹部置. 祁黎州. 以處和部置. 洛瓌州. 以奥失部置. 太魯州. 以度稽部置. 渇野州. 以元俟析部置.

 

 

선주(鮮州).

 

무덕(武德) 5년에 요락도독부(饒樂都督府)를 쪼개서 설치하였고,

로현()의 옛 현성에서 교치(僑治)하였다.

 

현은 1개로 빈종현(賓從)이다.

 

 

숭주(崇州).

 

무덕(武德) 5년에 요락도독부(饒樂都督府)의 가한(可汗) 부락(部落)을 쪼개서

설치하였다.

 

정관(貞觀) 3년에 이름을 북려주(北黎州)로 바꾸었으며

영주(營州)에 있던 폐한 양사진(陽師鎮)에서 다스렸다.

 

8년에 다시 이름을 옛날의 것으로 되돌렸으며

후에 선주(鮮州)와 더불어 로현()의 옛 현의 성에서 교치(僑治)하였다.

 

현은 1개로 창려현(昌黎)이다.

 

 

순화주(順化州).

 

현은 1개로 회원현(懐逺)이다.

 

 

귀의주 귀덕군(歸義州歸德郡).

 

총장(總章) 연간에 신라(新羅)의 민호를 이용하여 설치하였는데

량향(良鄉)의 광양성(廣陽城)에서 교치하였다.

현은 1개로 귀의현(歸義)이다. 후에 폐하였다.

 

개원(開元) 연간에 신안왕(信安王) ()가 거란(契丹) 리시(李詩) 부락(部落)

5000 (, 유목민의 집)의 항복을 받아 그 무리로 다시 설치하였다.

 

 

봉성도독부(奉誠都督府).

 

원래 요락도독부(饒樂都督府)이며 당국(唐國) 초기에 설치하였다가 후에 폐하였다.

 

정관(貞觀) 22년에 내속한 해족()의 가도자(可度者) 부락(部落)으로

이름을 바꾸어 설치하였고, 아울러 별수(别帥, 편군의 지휘관)5(五部)

약수(弱水) 5개의 주를 설치하였다.

 

개원(開元) 23년에 이름을 바꾸었다. 다스리는 주는 5개이다.

 

약수주(弱水州). 아회부(阿會部)로 설치하였다.

기려주(祁黎州). 처화부(處和部)로 설치하였다.

락괴주(洛瓌州). 오실부(奥失部)로 설치하였다.

태로주(太魯州). 도계부(度稽部)로 설치하였다.

갈야주(渇野州). 원사석부(元俟析部)로 설치하였다.

 

 

하북성 빈종(賓從), 창려(昌黎), 회원(懐逺) 등을

()를 평정하여 설치하였다는 것이다.

 

 

 

- 거란(契丹) 17() 1()

 

玄州. 貞觀二十年, 以紇主曲據部落置. 僑治范陽之魯洎村. 縣一, 静蕃.

威州. 本遼州, 武德二年, 以内稽部落置. 初治燕支城, 後僑治營州城中.

貞觀元年更名. 後治良鄉之石窟堡. 縣一, 威化.

昌州. 貞觀二年, 以松漠部落置, 僑治營州之静蕃戍.

七年徙于三合鎮, 後治安次之故常道城. 縣一, 龍山.

師州. 貞觀三年, 以契丹室韋部落置, 僑治營州之廢陽師鎮,

後僑治良鄉之東閭城. 縣一陽師.

帶州. 貞觀十年, 以乙矢革部落置. 僑治昌平之清水店. 縣一孤竹.

歸順州歸化郡. 本彈汗州, 貞觀二十二年, 以内屬契丹别帥析紇便部置.

開元四年更名. 縣一懐柔.

沃州. 載初中, 析昌州置. 萬嵗通天元年, 沒于李盡忠,

開元二年復置, 後僑治薊之南 回城. 縣一, 濱海.

信州. 萬嵗通天元年, 以乙失活部落置. 僑治范陽境. 縣一, 黄龍.

青山州. 景雲元年, 析玄州置. 僑治范陽之水門村. 縣一, 青山.

松漠都督府. 貞觀二十二年, 以内屬契丹窟哥部置,

其别帥七部分置峭落等八州. 李盡忠叛, 後廢. 開元二年復置. 領州八.

峭落州. 以逹稽部置. 無逢州. 以獨活部置. 羽陵州. 以芬問部置. 白連州. 以突便部置.

徒何州. 以芮奚部置. 萬丹州. 以墜斤部置. 疋黎州. 以伏部置. 赤山州. 以伏部分置.

歸誠州

 

 

현주(玄州).

 

정관(貞觀) 20년에 흘주(紇主) 곡거부락(曲據部落)으로 설치하였다.

범양(范陽)의 로계촌(魯洎村)에서 교치하였다.

 

현은 1개로 정번현(静蕃)이다.

 

 

위주(威州).

 

원래 요주(遼州)인데 무덕(武德) 2년에 내계부락(内稽部落)으로 설치하였다.

처음에는 연지성(燕支城)에서 다스리다가 후에 영주(營州)의 성 안에서 교치하였다.

정관(貞觀) 원년에 이름을 바꾸었고,

후에 량향(良鄉)의 석굴보(石窟堡)에서 교치하였다.

 

현은 1개로 위화현(威化)이다.

 

 

창주(昌州).

 

정관(貞觀) 2년에 송막부락(松漠部落)으로 설치하였고

영주(營州)의 정번수(静蕃戍)에서 교치하였다.

7년에 삼합진(三合鎮)으로 옮겼으며

후에 안차(安次)의 옛 상도성(常道城)에서 다스렸다.

 

현은 1개로 용산현(龍山)이다.

 

 

사주(師州).

 

정관(貞觀) 3년에 거란(契丹)과 실위(室韋)의 부락으로 설치하였는데

영주(營州)의 폐했던 양사진(陽師鎮)에서 교치하였고

후에 량향(良鄉)의 동려성(東閭城)에서 교치하였다.

 

현은 1개로 양사현(陽師)이다.

 

 

대주(帶州).

 

정관(貞觀) 10년에 을시혁부락(乙矢革部落)으로 설치하였고

창평(昌平)의 청수점(清水店)에서 교치하였다.

 

현은 1개로 고죽현(孤竹)이다.

 

 

귀순주 귀화군(歸順州歸化郡).

 

원래 탄한주(彈汗州)인데 정관(貞觀) 22년에 거란(契丹)의 별수(别帥)가 내속하여

흘편부(紇便部)를 쪼개서 설치하였다.

 

개원(開元) 4년에 이름을 바꾸었고 현은 1개로 회유현(懐柔)이다.

 

 

옥주(沃州).

 

재초(載初) 연간에 창주(昌州)를 쪼개어 설치하였다.

만세통천(萬嵗通天) 원년에 이진충(李盡忠)에게 함락 당하였고

개원(開元) 2년에 다시 설치하였으며

후에 계()의 남쪽에 있는 회성(回城)에서 교치하였다.

 

현은 1개로 빈해현(濱海)이다.

 

 

신주(信州).

 

만세통천(萬嵗通天) 원년에 을실활부락(乙失活部落)으로 설치하였는데

범양(范陽)의 경내에서 교치하였다.

 

현은 1개로 황룡현(黄龍)이다.

 

 

청산주(青山州).

 

경운(景雲) 원년에 현주(玄州)를 쪼개어 설치하였고

범양(范陽)의 수문촌(水門村)에서 교치하였다.

 

현은 1개로 청산현(青山)이다.

 

 

송막도독부(松漠都督府).

 

정관(貞觀) 22년에 내속한 거란(契丹) 굴가부(窟哥部)로 설치하였는데

그곳의 별수(别帥) 7 ()를 나누어 초락(峭落) 8주를 설치하였다.

이진충(李盡忠)이 반하자 후에 폐하였고 개원(開元) 2년에 다시 설치하였다.

 

다스리는 주는 8개이다.

 

초락주(峭落州). 달계부(逹稽部)로 설치하였다.

무봉주(無逢州). 독활부(獨活部)로 설치하였다.

우릉주(羽陵州). 분문부(芬問部)로 설치하였다.

백련주(白連州). 돌편부(突便部)로 설치하였다.

도하주(徒何州). 예해부(芮奚部)로 설치하였다.

만단주(萬丹州). 추근부(墜斤部)로 설치하였다.

필려주(疋黎州). 복부(伏部)로 설치하였다.

적산주(赤山州). 복부(伏部)를 나누어 설치하였다.

 

귀성주(歸誠州).

 

하북성 고죽(孤竹), 회유(懐柔), 빈해(濱海), 청산(青山), 도하(徒何) 등을

거란을 평정하여 설치하였다는 것이다.

 

 

 

 

- 말갈(靺鞨) 3() 3()

 

慎州. 武德初, 以 涑沫 烏素固 部落 置. 僑治良鄉之故 都鄉城. 縣一逢龍.

夷賓州. 乾符中以愁思嶺部落置僑治良鄉之古廣陽城縣一來蘇.

黎州. 載初二年析慎州置僑治良鄉之故都鄉城縣一新黎.

黑水州都督府. 開元十四年置.

渤海都督府. 安静都督府

右初皆隷營州都督, 李盡忠陷營州, 乃遷玄州于 徐 宋 之境, 威州于幽州之境,

昌 師 帶 鮮 信 五州于青州之境, 崇 慎 二州于 淄 青之境, 夷賓州于徐州之境,

黎州于宋州之境. 在河南者十州, 神龍初乃使北還, 二年皆隷幽州都督府.

 

 

신주(慎州).

 

무덕(武德) 초에 속말(涑沫)과 오소고(烏素固)의 부락으로 설치하였으며

량향(良鄉)의 옛 도향성(都鄉城)에서 교치하였다.

 

현은 1개로 봉룡현(逢龍)이다.

 

 

이빈주(夷賓州).

 

건부(乾符) 연간에 수사령부락(愁思嶺部落)으로 설치하였으며

량향(良鄉)의 옛 광양성(廣陽城)에서 교치하였다.

 

현은 1개로 래소현(來蘇)이다.

 

 

려주(黎州).

 

재초(載初) 2년에 신주(慎州)를 쪼개어 설치하였으며

량향(良鄉)의 옛 도향성(都鄉城)에서 교치하였다.

 

현은 1개로 신려현(新黎)이다.

 

 

흑수주도독부(黑水州都督府). 개원(開元) 14년에 설치하였다.

발해도독부(渤海都督府).

안정도독부(安静都督府).

 

위의 것들은 초기에 모두 영주도독(營州都督)에 예속시켰으나

이진충(李盡忠)이 영주(營州)를 함락시키자,

이내 현주(玄州)를 서주()와 송주()의 지경으로 옮겼고

위주(威州)를 유주(幽州)의 지경으로 옮겼으며

창주()와 사주()와 대주()와 선주()와 신주() 5개의 주를

청주(青州)의 지경으로 옮겼으며 숭주()와 신주() 2개 주를

() ()의 지경으로 옮겼으며 이빈주(夷賓州)를 서주(徐州)의 지경으로 옮겼고

려주(黎州)를 송주(宋州)의 지경으로 옮겼다.

 

(그래서) 하남(河南)10주가 되었지만 신룡(神龍) 초기에 북쪽으로 옮기게 하였으며

2년에 모두 유주도독부(幽州都督府)에 예속시켰다.

 

 

하북성 흑수(黑水)주와 발해(渤海)도독부 등을 말갈을 평정하여 설치하였다는 것이다.

 

 

- 강호(降胡) 1()

 

凛州. 天寳初置僑治范陽境.

右隷幽州都督府

 

 

름주(凛州).

 

천보(天寳) 초기에 설치하여 범양(范陽) 지경에서 교치하였다.

위의 것들은 유주도독부(幽州都督府)에 예속되었다.

 

 

 

- 고구려에서 항복한 민호 14() 9()

 

髙麗降户州十四府九.

太宗親征, 得蓋牟城 置蓋州, 得遼東城 置遼州, 得白崖城 置巖州.

及師還, 㧞蓋遼二州之人以歸.

髙宗滅髙麗, 置都督府九, 州四十三, 後所存州止十四.

, 顯慶五年平百濟, 以其地置 熊津 馬韓 東明 金連 德安 五都督府,

并置帶方州, 麟德後廢.

南蘇州. 蓋牟州. 代那州. 倉巖州. 磨米州. 積利州. 黎山州. 延津州. 木底州. 安市州.

諸北州. 識利州. 拂湼州. 拜漢州.

新城州都督府. 遼城州都督府. 哥勿州都督府. 衛樂州都督府. 舍利州都督府.

居素州都督府. 越喜州都督府. 去旦州都督府. 建安州都督府.

 

 

고구려(髙麗) 항복한 민호 14()9()

 

태종(太宗)이 친히 정벌하여 개모성(蓋牟城)을 얻어 개주(蓋州)를 설치하고

요동성(遼東城)을 얻어 요주(遼州)를 설치하고

백애성(白崖城)을 얻어 암주(巖州)를 설치하였으나 군대를 돌리고

개주와 요주 등 2주의 사람들을 빼어 돌아왔다.

 

고종(髙宗)이 고구려(髙麗)를 멸하고 9도독부(都督府)43()를 설치하였었으나

후에 남은 주는 14개에 그쳤다.

 

처음에 현경(顯慶) 5(660)에 백제(百濟)를 평정하고

그 땅에 웅진(熊津)과 마한(馬韓)과 동명(東明)과 김련(金連)과 덕안(德安)

5개의 도독부(都督府)를 설치하였는데 아울러 대방주(帶方州)를 설치하였었으나

린덕(麟德)(664-665) 후에 폐하였다.

 

남소주(南蘇州). 개모주(蓋牟州). 대나주(代那州). 창암주(倉巖州).

마미주(磨米州). 적리주(積利州). 려산주(黎山州). 연진주(延津州).

목저주(木底州). 안시주(安市州). 제북주(諸北州). 식리주(識利州).

불열주(拂湼州). 배한주(拜漢州).

 

신성주도독부(新城州都督府). 요성주도독부(遼城州都督府).

가물주도독부(哥勿州都督府). 위락주도독부(衛樂州都督府).

사리주도독부(舍利州都督府). 거소주도독부(居素州都督府).

월희주도독부(越喜州都督府). 거단주도독부(去旦州都督府).

건안주도독부(建安州都督府).

 

위의 것들은 안동도독부(安東都督府)에 예속시켰다.

 

 

고구려의 개모성(蓋牟城), 요동성(遼東城), 백애성(白崖城), 남소성(南蘇城),

안시성(安市城), 건안성(建安城) 신성(新城)등이 하북성에 있었으며

안동도독부는 지금의 하북성 보정시 정흥현 고성진에 설치한 것이다.

 

이 하북성 보정시 정흥현 고성진에 427년에 장수대제가 천도한 평양이 있었다.

 

백제의 강역에 설치한 5개 도독부와 대방주는 신라가 664-665년에 수복하였고

고구려 강역에 설치한 4314만 하북성에 남고 나머지 29

대진국 발해가 수복하여 발해의 강역이 되었다는 것이다.

 

지금의 북경을 중심으로 하는 하북성 북부와 산동성 북부는

당나라 이전까지 중원의 강역이 아니고

북부여와 고구려, 동호(東胡), 말갈 등과 중원과의 격전지였다.

 

그리하여 수차례의 지명 변경과 분치(分置), 합치(合置), 이치(移置)되어

일일이 고증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선비족과 거란족, 해족, 실위족은 동호(東胡)의 일파로 몽골계 유목민족이고

말갈족은 숙신-읍루-물길-말갈-여진-만주로 시대에 따라 다르게 불리운

우리 민족과 혈통을 같이하는 민족이다.

 

고수전쟁과 고당전쟁 시 수 양제와 당 태종은

전쟁에 필요한 미곡은 하북성 보정시 곡양현(曲陽),

융거는 하북성 보정시 고양(高陽)에 그리고 병사는 하북성 보정시 당현에 집합시켰다.

 

춘추전국시기에 軍行三十里1라 하였다.

 

하루 군대의 이동 거리가 30(15km)라는 것이다.

 

하북성 보정에서 지금의 요동까지의 거리는 1000km가 넘는 거리이다.

 

두 달을 넘게 이동해야만 하는 거리다.

 

수 양제와 당 태종이 지금의 요녕성의 요하를 건너 고구려를 정벌하려 가는데

그들이 실성한 사람이 아니라면

군사와 장비 및 양곡을 하북성에 집결하지 않을 것이다.

 

지금의 요하는 동압록수이고 지금의 난하가 서압록수이고

지금의 조하(漕河)가 요하이며 고구려의 평양성이

지금의 하북성 보정시 정흥현 고성진에 있었기 때문에 하북성에 집결한 것이다.

 

다시 말해 하북성 보정시의 당현, 고양(高陽), 곡양(曲陽)

수당의 전초기지이며 그들의 북방 강역계라는 것이다.

 

 

 

 

 

Posted by 띨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