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蛙喪妻 欲迎柳花

聖子在腹 不肯嫁之

好人左勸 斗辰右請

父母之意 兄弟之喜

雖有松柏之志 未免桃李之顔

乃設花燭於優渤 爰築新宮於柵城

雀入燕室 浮雲蔽日

昭陽大淵 暮春之月 <추모경>

 

<금와>가 상처하고 <유화>를 (아내로)맞으려 하니,

성자가 뱃속에 있으니 시집가려 하지 않네.

<호인>과 <두진>이 좌우에서 권하기를 

부모의 뜻이요 형제의 기쁨이라,

 

비록 송백의 의지는 있으나 아름다운 얼굴은 어쩔 수 없구나.

이에 우발에 화촉을 밝히고, 책성에 신궁을 지어놓고,

연실로 뛰어 들어가니 떠도는 구름이 해를 가리누나.

소양대연의 늦은 봄이었도다.

 

 

* 참고

 

聖子: 모수제의 아들 추모를 말한다.

松柏: 소나무와 잣나무. 절개 있음을 비유

桃李: 복숭아와 오얏. 젊고 아름다움을 비유

燕室: 편히 쉬는 방

昭陽大淵: 계해(癸亥)년 BC 58년

 

 

<유화>는 <고두막>의 충신인 청하백(靑河伯) <옥두진屋斗辰>의 첫째 딸이다.

 

우리가 알고 있는 ‘주몽신화(朱蒙神話)’에 등장하는 하백은

바로 청하백 <옥두진>이다.

 

<옥두진>의 이종사촌인 <금와>에게는

원래 동부여를 건국한 해부루의 딸인 <해영觧英>이라는 처가 있었다.

 

하지만 그녀가 일곱 아들을 낳은 후 죽자 <금와>가 <유화>의 아름다움을 탐하여

비록 그녀가 임신을 한 상태였지만 그녀를 아내로 맞으려한 것이다.

 

‘작입연실 부운폐일 雀入燕室 浮雲蔽日'이란

<금와>가 혼례가 끝나자말자 신혼 방으로 뛰어 들어가니

부끄러운 상황을 감추기 위해 구름이 해를 가려준다는 말이다.

 

 

 

四月五日,鳳凰来鳴,天香滿地天樂下空,<芻牟>誕生.

 

氣骨英異,<蛙>王大喜,取之為子,名以<象觧>,如日之義

 

 

4월 5일에 봉황이 와서 울고 천향(天香)이 땅에 가득하며

 

천악(天樂)이 하늘에서 내려오더니, <추모>가 태어났다.

 

기골(氣骨)이 유별나게 특출하여, <금와>왕이 크게 기뻐하며 취하여

 

아들을 삼고 이름을 <상해象觧>라 지었더니, 해日와 같다는 뜻이었어라.

 

 

 

* 柳花의 가계도

 

屋文(BC147-BC78)

靑河伯 壽70

 

乙蘭                -  屋斗辰(BC92-BC45)

乙宋(鯤淵伯)女        靑河伯 壽48

                            好人(BC94-BC24) - 柳花(BC74-BC24)

                                壽71                          壽51

                                                         고두막(BC118-BC59) - 芻牟(BC58-BC19)

                                                                   壽60                        壽40

                            金蛙(BC90-BC7)

                              屋斗辰의 이종사촌  

                                 壽84  

                        解英                 -   解弗(BC55- )

                                                        解百(BC46- )

                                                 解素(BC43-47)

Posted by 띨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