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乾坤之道는 貞勝, 貞觀, 貞明, 貞夫一이다.

 

내일 지구의 종말이 와도 오늘 한 그루의 사과나무룰 심는다.

 

 

 

第一章

 

 

주역은 卦爻를 통해 君子之道를 드러내는 卦爻 易學이다.

(성인의 말씀을 통해 군자지도를 실천하는 中正之道의 학문이다.)

 

주역 上經 : 聖人之道(계사상편)

주역 下經 : 君子之道(계사하편)

 

하늘에 있는 무형의 象을 성인(복희씨)이 자각하여 유형의 괘효로 드러내니

군자가 실천하여 德業(길흉을 밝힘, 나아갈 바를 가르침)을 통하여

세상을 이롭게 하는 것이다.

 

 

八卦成列 象在其中矣. 因而重之 爻在其中矣.

剛柔相推 變在其中矣. 繫辭焉而命之 動在其中矣.

 

 

팔괘가 列을 이루니 象이 그 가운데 있고

(팔괘로) 인하여 거듭하니 爻가 그 가운데 있다.

 

剛柔가 서로 미니 변화가 그 가운데 있고 

말을 달아 命(告)하니 움직임이 그 가운데 있다.

 

(剛柔는 공간적인 地道이다)

 

 

 

吉凶悔吝者 生乎動者也. 剛柔者 立本者也 變通者 趣時者也.

 

 

길하고 흉하고 뉘우치고 인색한 것은 움직이는 데서 생기고

 

강유는 근본을 세우는 것이요

 

(하늘의 법칙(음양)이 공간인 땅의 강유가 되었음을 말한다. 天人合一, 人乃天이다)

 

 

變通이라는 것은 때(시의성)에 따르는 것이다.

 

(하늘의 뜻에 비추어서 마땅함을 時宜性이라 한다

주야의 변화와 사시의 변화가 나타남이다)

 

 

吉凶者 貞勝者也. 天地之道 貞觀者也. 日月之道 貞明者也. 天下之動 貞夫一者也.

 

 

貞 = 正 = 常 = 一貫

 

 

길흉은 항상 이기는 것이니 천지의 도는 항상 바르게 보는 것이오

 

일월의 도는 항상 바르게 밝히는 것이오

 

천하의 움직임은 이 하나의 이치를 항상 바르게 하는 것이다.

 

(천지 일월의 道는 貞勝, 貞觀, 貞明, 貞夫一하니

내일 지구의 종말이 와도 오늘 한 그루의 사과나무를 심는다)

 

 

夫乾 確然 示人易矣. 夫坤 隤然 示人簡矣. 爻也者 效此者也. 象也者 像此者也.

 

乾 = 確 = 剛 = 健 = 易(晝夜變化) (自彊不息)

坤 = 隤(퇴) = 柔 = 順 = 簡(坤作成物)

 

爻 = 效

象(무형) = 像(유형)

(하늘에 있는 무형의 象을 유형의 像으로 만든 것이 卦象이다)

 

무릇 乾은 굳세니 사람에게 쉬움으로 보여주고

坤은 순하니 사람에게 간략함을 보여준다.

 

爻는 이것을 본받음이오

象은 이것을 형상화 한 것이다.

 

 

 

爻象 動乎內. 吉凶 見乎外. 功業 見乎變. 聖人之情 見乎辭.

 

 

爻와 象은 (괘) 안에서 움직이고 길흉은 밖에서 나타나고

 

功과 業은 (괘상과 효상이) 변하느데서 나타나고

 

성인의 뜻은 말씀에서 나타난다.

 

 

天地之大德曰生 聖人之大寶曰位.

 

何以守位 曰仁 何以聚人 曰財. 理財 正辭 禁民爲非 曰.

 

 

천지의 큰 덕을 일러 生이라 하고, 성인의 큰 보배를 일러 位라 하니

 

어떻게 位를 지킬 수 있는가?

 

가로돠 仁이요.

 

어떻게 사람들을 모으는가?

 

가로되 財物이니

 

재물을 다스리고 말을 바르게 하며 백성의 잘못됨을 금하는 것을 가로되 義라 한다.

 

 

(공자 철학의 핵심은 人과 禮이고 맹자 철학의 핵심은 仁과 義이다.

재물은 성인지도로 만든 문물제도를 말한다

하늘의 道는 음양으로 땅의 道는 강유로 사람의 道는 인의로 나타난다)

 

 

 

 

계사(하)傳은 人易을 서술하고 있다.

 

帝가 행해야할 占(貞)의 행위란 어떤 것인지?

 

筮를 펼쳐보이고 해설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을 濟해 놓았다.

 

계사(상)이 易의 원리편으로 仁에 해당된다면,

 

계사(하)는 易의 발현편으로 

(실천-言行-수고로움-利用厚生)에 대한 說이 펼쳐지게 될 것이다.

 

 

 

八卦成列 象在其中矣. 因而重之 爻在其中矣.

剛柔相推 變在其中矣. 繫辭焉而命之 動在其中矣.

 

팔 괘(八卦)가 열(列)을 이루니 상(象)이 그 가운데에 있고,

각기 한 괘를 인하여 팔괘씩 거듭하니 효(爻)가 그 가운데에 있고,

강(剛)과 유(柔)가 서로 밀어서 오고 가니, 변(變)이 모두 그 가운데에 있다

 

글을 붙여 [길ㆍ흉]을 알려 주니,

동(動)해야 하는 효상(爻象)이 모두 여기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八卦成列       在其中矣. (卦) 팔괘가 성열하니 그중에 象이 있다. (小成卦) ☰☱☲☳☴☵☶☷

 

因而重之       在其中矣(爻) 小成相盪, 引而申之, 一貞八悔 法, 6爻를 이루었다.

(大成卦)(6位)

剛柔相推       在其中矣. (變) 강유가 서로 밀어냄 중에 變이 있고 (老陰, 老陽)

 

焉而命之 在其中矣. (占) 괘.효의 辭에 그 命이 있으니

                                    그 중에 '대응할(動) 바'가 있다.

 

 

 

吉凶悔吝者 生乎動者也. 剛柔者 立本者也 變通者 趣時者也. 吉凶者 貞勝者也.

 

길(吉)ㆍ흉(凶)과 회(悔)ㆍ인(吝)은 동(動)하는 것에서 생기는 것이요,

 

강(剛)ㆍ유(柔)는 근본을 세우는 것이요, 변(變)ㆍ통(通)은 때를 따르는 것이다


吉凶悔吝者 生乎動者也.  吉凶悔吝은 효의 動에서 생겨난다.
      剛柔者    立本者也   강유는 근본을 세우는 것이고,

      變通者    趣時者也.  변통은 때를 따르는 것이다.

      吉凶者    者也.  길흉이라는 것은 정히 그 命(길흉화복)이 승(勝)하는 것이다.

 

 

 

天地之道 貞觀者也. 日月之道 貞明者也. 天下之動 貞夫一者也.

 

길(吉)ㆍ흉(凶)은 항상 서로 이기는 것이니,

천지(天地)의 도(道)는 항상 보여주는 것이요,

 

일월(日月)의 도(道)는 항상 밝은 것이요,

천하(天下)가 동(動)하는 것은 항상 하나의 이치에 근거한다


天地之道  貞   者也.   천지의 도는 정히, 살피는(觀) 것이고

日月之道  貞   者也.   일월의 도는 정히, 밝게 드러나는(明) 것이며,

                                 천하의 밝은 이치에 순종하여 쫒는 것이고,

天下之動  貞夫一者也.   천하의 움직임은 정히, 무릇 하나로 꿰어진다.

 


 

夫乾 然 示人矣. 夫坤 然 示人矣. 爻也者 效此者也. 象也者 像此者也.

 

건(乾)은 굳세니 사람에게 쉽게 보여주고,

곤(坤)은 순하니 사람에게 간략하게 보여주니,

효(爻)는 이것을 본받는 것[效]이요, 상(象)은 이것을 형상(像)한 것이다

 

乾 - 易 - 確(一) : 剛=隺 새가 날아오르는 강건함, 確-강함, 단단함

坤 - 簡 - 隤(--) : 柔-하늘의 단단함이 땅에 떨어져 흩어짐, 조각남, 무너짐,

                         簡(쪼개짐)

 

여기에서 관점은 대지을 밟고 서 있는(立) 사람의 觀이다.

 

剛()의 변화는 태양의 뜨고 짐이니

프드덕 어둠(冖)을 뚫고 날아오르는 새(隹)의 변화이며,

柔()의 변화는 사계절을 통해 드러나는 물상의 생장수장(屯=蒙)의 변화이다.

 


 

爻象 動乎內. 吉凶 見乎外. 功業 見乎變. 聖人之情 見乎辭.

 

효(爻)와 상(象)은 안에서 동(動)하고, (形而上) - 氣 - 神

길(吉)과 흉(凶)은 밖으로 나타나고,   (形而下) - 質 - 器 - 言行

공업(功業)은 변(變)에 나타나고, 성인(聖人)의 정(情)은 말(辭)에 나타난다   

 


 

天地之大德曰 聖人之大寶曰.

 

천지(天地)의 큰 덕(德)을 생(生)이라 하고,  (神)

성인(聖人)의 큰 보배를 지위[位]라 한다     (器)

 

 

 

何以守位 曰仁 何以聚人 曰財. 理財 正辭 禁民爲非 曰.

 

무엇으로 지위를 지키는가?  사람이다.

 

무엇으로 사람을 모으는가?  재물이다.

 

재물을 다스리고, 말을 바르게 하며,

백성들의 비행(非行)을 금하는 것을 의(義)라 한다. - 실천(言行)

 

 

 

 

 

2. 君子, 濟世理化 弘益人間하다. 

 

 

 

第二章

 

 

 

[包犠氏]

 

古者包犠氏之王天下也. 仰則觀象於天 俯則觀法於地.

 

觀鳥獸之文 與地之宜. 近取諸身 遠取諸物.

 

於是 始作八卦 以通神明之德 以類萬物之情.

 

 

옛날에 포희씨(包犧氏 : 복희씨)가 천하(天下)의 왕도를 베풀 때

 

(배달국 5대 태우의 환운천황의 막내 아들로 易철학의 시조이자 姓氏의 시조이다

氏는 옛날에는 임금의 호칭이었다) 

 

위로 하늘의 상(象)을 관찰하고, 구부려 땅의 법칙을 관찰하였다.

 

새(하늘)와 짐승(땅)의 문체와 더불어 땅의 마땅함을 관찰(내면세계까지 봄)하며,

가까이는 자신에게서 취하고 멀리는 사물에게서 취하였다.

 

이에 비로소 팔괘(八卦)를 만들어,

신명(神明)의 덕(德)을 통(通)하고  만물(萬物)의 뜻을 분류하였다

 

 

※ 近取諸身

 

乾 = 首

坤 = 腹

震 = 足

巽 = 股

坎 = 耳

離 = 目

艮 = 手

兌 = 口

 

※ 遠取諸物

 

乾 = 馬

坤 = 牛

震 = 龍

巽 = 鷄

坎 = 豕

離 = 雉

艮 = 狗

兌 = 羊

 

 

結繩而爲網罟 以佃以漁 蓋取諸.

 

노끈을 맺어 그물을 만들어서 사냥하고 물고기를 잡으니 이괘(離卦)에서 취하고,

 

(수렵 어로 채집 생활의 시작이다)

 

 

網 : 들짐승을 잡는 그물

罟 : 물고기를 잡는 그물

 

佃 : 十은 天道, 진리를 말하고 田은 군자의 터전이다.

      佃은 천도인 진리를 사냥하는 것이다.

 

과학의 눈이 아닌 철학의 눈으로 역의 근원적인 뜻을 살펴보면

그물(罟)은 인재를 낚고 진리를 구하는 그물을 말한다.

 

離괘는 어려운 시련에 직면했을 때 어디에 머물고 의지해야 되는가를 설명하고 있다.

즉 험난함을 극복하는 지혜로움을 말한다.

 

離는 火(불), 明(月之道, 진리) 附(붙는 것 자리한다) 麗(태양)의 뜻이다.

 

離는 麗(고울 려, 자리잡을 이)이다.

 

즉 어떤 것에 붙어 있는 것이다.

 

천지간의 만물은 모두 어딘가에 붙어 있다.

 

마음은 우리 몸 속에 붙어 있고

그 마음이 사람이나 어떤 물건에 붙어서 큰 작용을 나타내게 된다.

 

 

 

離는 곧으면 이롭다하니 형통하니 암소를 기르면 길하리라

(밝음과 진리, 태양에 순종하면 길하다는 뜻이다)

 

彖에 이르기를 離는 자리 잡는다(결려있다)는 말이다.

 

해와 달은 하늘에 자리잡고(걸리고) 백곡초목은 땅에 자리 잡는다.

 

거듭 밝음으로써 바른 자리에 서서(바르게 걸려) 천하를 교화하여 풍속을 이룬다.

 

柔는 中(日, 성인의 자리) 正(月, 군자의 자리)에 자리함으로써 형통하다.

 

이런 까닭으로 암소(柔順함)를 기르는 것이 길한 것이다.

 

 

象에 이르기를 밝은 것이 둘이 離괘를 지었으니

大人(聖人)이 이로써 밝은 것을 계승하여 사방을 비춘다.

 

 

 

離卦의 中이 虛한 象을 빗대어 그물의 象을 취했다. - - 가 그물코이다.

 

질긴 삼.마와 같은 풀이나 칡.등나무 줄기와 같이 질긴 것들을 이용해

매듭을 지었을 것이다.

 

매듭을 사용하여 그물은 물론 옷감, 문자(結繩) 등을 만들기도 하였다.

 

또한 離卦는 밝음, 불, 태양, 진리, 문명, 개화(꽃), 드러나다, 言, 새(隹), 눈(目) 등의

情(의미-義)을 함축적으로 나타내는 괘이니,

계사(하)의 전체 文章을 아우르는 핵심어 이다.

 

 

 

[神農氏]

 

包犠氏沒 神農氏作. 斲木爲耜 揉木爲耒.

耒耨之利 以敎天下 蓋取諸.


斲 : 깍을 착

耜 : 보습 사, 쟁기 자루

揉 : 휠 유

耒 : 쟁기 뢰

耨 : 호미 누

 

 

포희씨(包犧氏)가 죽은 뒤에 신농씨(神農氏)가 일어나,

나무를 깎아 쟁기를 만들고 나무를 휘어 쟁기자루를 만들었다

(농경사회로 접어 들었음을 말 하지만 주역에서 木은 木道인 聖人之道를 말한다)

 

나무를 휘어 쟁기자루를 만들어서 쟁기와 호미의 이로움으로 천하를 가르쳤으니

益괘에서 취하였다.

 

 

益괘는 겸손(巽)으로 움직이면(震) (진리의) 보탬이 있다. 

 

 

益은 갈 데가 있으면 이롭다하여 大川을 건너는 것이 이롭다.

(성인의 말씀에 의지하면 맨발로 큰 내를 건너도 이롭다는 말이다)

 

 

彖에 이르기를 益은 위(天道)를 덜어서 아래(地道)에 더함이니

백성의 기뻐함이 끝이 없다.

 

위에서 아래로 내려오니 그 道가 크게 빛난다.

 

갈 데가 있으면 이롭다는 것은 中道를 바르게 함으로써 慶事가 있다는 것이다.

(功은 성인지도릏 실천함을 慶은 성인지도의 자각함을 말한다)

 

 

큰 내를 건너는 것이 이롭다함은 목도(木道)(성인지도)로 행하여지는 것이다.

 

益은 움직임이 順巽해서 날로 나아감이 끝이 없는 것이다.

 

하늘이 베풀고 땅이 生하여 그 보탬이 궁함이 없다.

 

무릇 益의 道는 때에 맞추어 함께 행하여지는 것이다.

(益괘는 진리와 성인의 말씀을 보태주고 깨우치도록하여 함께 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象에 이르기를 바람과 우레가 益이니

군자는 이를 본받아 善을 행하고 허물이 있으면 고친다.

(損괘는 損下益上이다.

편견과 독선, 아집, 고정관념을 덜어내어 하늘의 뜻에 보탬이다.

관세음보살, 諸行無常, 諸法無我이다. 집착을 버려야 고뇌를 벗어 남이다)

 

 

 

 

日中爲市 致天下之民 聚天下之貨. 交易而退 各得其所 蓋取諸噬嗑.

 

한낮에 시장을 열어 천하(天下)의 백성들을 오게 하고,

(日中爲市는 사람들이 모여서 진리의 빛을 나누어 감이다)

 

천하(天下)의 재화(財貨)를 모아 교역(交易)하고 물러가서

각각 제 원하는 바를 얻게 하였으니, 서합괘(噬嗑卦)에서 취하였다.

 

噬嗑은 진리의 나눔이다.

 

噬嗑卦는 문물교환을 위한 교역사회에 비유하여

각 자가 필요한 바를 얻고 있음을 비유하여 말한다.

 

離괘는 태양이며 震괘는 動이므로

진리와 밝음을 상징하는 태양아래 분주히 움직임을 상징한다. 

 

그러므로 離괘와 震괘의 象을 응용하여

진리를 나누는 문물교환의 시장이 형성되었음을 말한다. 

 

 

頤(山雷)괘는 初九는 아래 턱이고 上九는 윗 턱이다.

 

上九는 고정되어 있고(山) 初九는 움직인다(雷)

 

六二, 六三, 六四, 六五는 음식물(柔, 聖人之道)이다.

 

군자가 성인지도를 소화해서 사람들을 가르치는 養正의 원리를 말한다.

 

 

噬嗑괘는 初九는 아래 턱이고 上九는 윗 턱인데 九四에 딱딱한 음식이 들어있다.

 

성인지도를 자각하기 어려움을 말하고 있다.

 

진리를 씹어서 합치게 되면 성인지도와 군자지도가 하나가 되고

하늘과 사람이 하나가 되는 천인합덕을 이루게 된다.

 

噬嗑괘는 진리의 자각이 어려움을

방해물이 들어 있는 음식물과 죄인의 교화에 비유하여 설명하고 있다.

 

噬嗑의 噬는 깨물 噬, 嗑은 입다물 嗑으로

噬는 윗니(上九)와 아랫니(初九)가 합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깨물어 합치는 것이 천인합일이다.

 

잡괘에서 서합은 먹는 것이다(噬嗑 食也)

 

 

噬嗑은 형통하니 獄을 쓰는 것이 이롭다.

(성인지도를 씹어서 천인합일이 이루어지면 만사가 형통해진다)

 

 

彖에 이르기를 물건이 턱 속에 있는 것이 서합이니 씹어 먹으면 형통하다

 

강유가 나뉘고 움직이면 밝아지니 우뢰와 번개가 합하여 빛난다.

(下卦 內卦는 雷로 剛(陽卦)이고 上卦 外卦는 火로 柔(陰卦)이다)

 

柔가 中을 얻으면 위로 올라간다 하니 비록 位는 마땅치 못하나 獄을 쓰는게 이롭다.

(得中은 성인지도, 中道를 얻었다는 뜻이며

正位는 양의 자리에 양효가 오고 음의 자리에 음효가 오는 것을 말한다.

六五는 성인의 자리이므로 여기서 獄은 진리를 자각하기 위해서는

아름다운 규제(강제성)가 필요함을 말한다)

 

象에 이르기를 우뢰와 번개가 서로 합쳤으니

(우뢰와 번개가 서로 합쳐 세상을 밝게 하였으니) 

 

옛 임금은 이것으로써 형벌을 밝히고 법을 제정하였다.

 

大人 = 聖人

先王 = 侯 = 君子

 

 

 

 

☴ 風   8木, 乙木,

☳ 雷   3木, 甲木,

    

 

☲ 火   해가 중천에 뜨다, 대낮(日中)

☳ 雷   움직이다(動-交易而退)

 

益은 쟁기와 쟁기자루가 시각적으로 그려진다.

 

획기적인 농법으로 잉여생산물이 생겨났다.

 

서합噬嗑은 卦(☶☳-齒)에 4爻가 변하여 음식물을 씹어 소화시키는 모습이다.

 

획기적인 농법을 개발하고 가르쳐서(效-敎) 풍성해진 물자를 서로서로 교환하느라

부산한(雷) 모습이다.

 

물건의 교역으로 物이 제각각 用을 얻어 쓰임받아

소비되는 상황을 噬嗑으로 표현했다.

 

 

 

 

[黃帝-堯-舜氏]

 

神農氏沒 黃帝堯舜氏作. 通其變 使民不倦. 神而化之 使民宜之.

易窮則變 變則通 通則久.是以自天祐之 吉无不利.

黃帝堯舜 垂衣裳而天下治 蓋取諸乾坤.

 

신농씨(神農氏)가 죽은 뒤에 황제(黃帝)와 요(堯)ㆍ순(舜)이 나와,

그 변화를 통(通)하여 백성들로 하여금 게으르지 않도록 하며,

(음양의 변화를 통해서 때(시의성)에 맞게 백성들에게 농사를 짓게 함을 말한다)

 

신묘하게 교화(敎化)하여 백성들로 하여금 마땅하게 행하게 하니

(하늘의 섭리로 백성들을 교화함을 말한다) 

 

역(易)은 궁(窮)하면(막히면) 변(變)하고, 변(變)하면 통(通)하고, 통(通)하면 오래간다

(역은 성인지도를 근원으로 군자지도의 이정표를 써 놓응 것이다)

 

이로써 하늘이 도와서 길(吉)하여 이롭지 않음이 없으니

 

황제(黃帝)와 요(堯)ㆍ순(舜)이 의상(衣裳)을 드리우고 천하(天下)를 다스리니

대개 저 건(乾)ㆍ곤(坤)에서 취하였다,

(의상(衣裳)은 천지지도를 말한다)

 

衣 : 윗 저고리, ○, 하늘, 성인

 

裳 : 아래 치마, □, 땅, 군자

 

 

乾은 元하고 亨하고 利하고 貞하다.

 

彖에이르기를

 

" 크도다, 乾元이여! 만물의 시작의 바탕이 된다 하니

이에 하늘을 통솔(섭리) 하였도다.

 

구름이 움직여서 비가 내리니 만물이 (각자의 모습대로) 형체를 갖춘다(널리 퍼짐).

 

시작과 끝을 크게 밝히면서 六位가 때(시의성)에 맞게 이루어지니

(終始는 시간의 영원성을 六位는 六爻를 말한다)

 

때로 六龍을 타고서 하늘을 행한다(날아 다닌다)

(六龍은 六爻를 말한다)

 

初九 = 潛龍

九二 = 見龍

九三 = 終日乾乾

九四 = 或躍在淵

九五 = 飛龍

上九 = 亢龍

 

九三과 九四는 사람의 자리이므로 龍을 나타내지 않았지만 사람중에 군자는 龍이다.

 

 

乾의 道가 변화함에 각기 性命을 바르게 하니

크게 化함을 보전하고 합해서 이에 바르면 이롭다.

 

만물 중에서 으뜸으로 나오니 萬國이 (이를 본받아) 모두 편안하다.

 

首 = 乾道

 

 

坤은 크게 형통하고 암말의 바름(柔順)으로 하면 이로우니 군자의 나아갈 바가 있다.

(乾은 만물이 시작하는 바탕이 되고 坤은 만물을 기르는 바탕이 된다,

군자는 성인에게 무조건 순종하여야 한다. 乾知大始 坤作成物이다)

 

먼저 하면 혼미하고 뒤에 하면 얻는다 하며 이로움을 주장한다.

 

西南은 벗을 얻음이오 東北은 벗을 잃음이니 바르고 편안하면 길하다.

(西南은 陰괘가 모인 자리로 군자(坤)의 자리이고

東北은 陽괘가 모인 자리로 성인(乾)의 자리이다.

 

그침(止)을 안 뒤에야 안정(定)되고 안정한 뒤에야 고요(靜)할 수 있고

고요한 뒤에야 편안(安) 할 수 있고 편안한 뒤에야 생각(慮)할 수 있고

생각한 뒤에야 얻을 수(得) 있다. - 대학 경문)

 

坤(陰) = 군자 = 陰卦(장녀, 중녀, 소녀) = 西南

乾(陽) = 성인 = 陰卦(장남, 중남, 소남) = 東北

 

 

彖에 이르기를

 

" 지극하도다, 坤元이여! 만물이 생겨나는 바탕을 이루고 이에 유순히 하늘을 받드니

坤의 두터움이 물건을 실음은 德의 합함이 지경이 없으며

(坤은) 포용하고 너그러우며 빛나고 위대하여 만물이 함께 형통하다.

 

암말은 땅의 부류이니 땅위를 걸어감이 끝이 없으며 유순하고 바름으로 이로우니

군자가 나아갈 바이다.

 

서남은 벗을 얻는다는 것은 同類와 함께 행함이요

 

동북은 벗을 잃는다는 것은 마침내 慶事가 있다는 것이다.

(慶은 건도(성인지도)를 자각한 것을 말하고

벗을 잃는다는 것은 자신의 아집을 버림을 말한다)

 

安貞의 길함이 땅의 응함에 지경이 없다

(땅의 무한한 德에 응한다.)

 

 

건곤지도로 천하를 다스리므로 만국이 다함께 편안할 수 있고 만물이 형통할 수 있다.

 

 

 

 

본격적인 문명시대가 도래했다.

 

하늘()과 땅()의 법칙을 깊이 관찰하여 사계절의 운영법을 세우고

그 때에 순응하는 법을 백성들에게 가르쳐(效) 天地를 닮게 살게 하니

백성들은 근심이 없어 無思也 無爲也 하니 세상이 태평하다.

 

 

 

 

 

刳木爲舟 剡木爲楫. 舟楫之利 以濟不通 致遠以利天下 蓋取諸.

 

刳 : 가를 고, 파다, 쪼개다,

剡 : 깎을 염, 날카롭다, 창끝

楫 : 노 즙

 

나무를 쪼개어(파서) 배를 만들고 나무를 깎아 노를 만들어,

배와 노의 이로움으로써 통하지 못하는 곳을 건너 먼 곳에까지 갈 수 있게 하여

(진리를 모르는 곳에 성인지도를 전파시켰음을 말한다)

 

천하(天下)를 이롭게 하니 대개 저 환괘(渙卦)에서 취하였다.

 

 

木 = 木道 = 天道 = 神道,

 

노아의 방주는 하는님의 말씀으로 만든 배이다.

 

益괘의 木道가 마침내 행해진다는 뜻이다.

 

 

渙은 진리의 확산을 乘船사회에 비유하여 말하고 있다.

 

농경사회와 의상사회를 이어서 먼 곳으로 교역통상을 하는 乘船사회가 되었다.

 

배를 만들어 물을 건너는 것을 흩어진다는 渙괘에서 취하였다.

 

사람들이 가지 못하는 곳에 나물를 이용하여 상호 연결해 주는

진리의 확산, 지혜의 확산을 의미한다.

 

渙은 흩어짐이다.

 

진리의 확산이요 왕도정치의 베품이다. 환난을 극복하는 지혜이다.

 

진리와 예악의 흩어짐은 무질서와 환난의 새로운 변화이다.

 

離散과 聚合의 원리이다.

 

 

渙은 형통하니 왕(성인)이 祠堂에 이르며

큰 내를 건너는 것이 이로우니 곧으면 이롭다.

 

假 : 거짓 가, 이를 격

王 : 성인을 의미(공자를 제외한 모든 성인은 왕이었다)

 

 

彖에 이르기를 渙이 형통한 것은 剛(九五)이 와서 궁하지(막히지) 않고

柔(六四)가 자리를 밖에 얻어서 위로 함께 함이다.

 

왕이 사당에 이르렀다는 것은 왕이 中正의 자리에 있기 때문이다.

 

큰 내를 건너는 것이 이롭다는 것은

물을 건너는 데는 나무에 타야만 功이 있다는 말이다.

(功은 성인지도를 실천함을 말한다)

 

象에 이르기를 바람이 물 위로 가는 것이 渙이니

先王(군자)은 이것을 보고 上帝(하늘)께 제사지내고 사당을 세운다.

(주역에서 하늘은 인간사를 주재하는 主宰天이다

사당을 세우는 것은 성인지도를 실천하는 의지를 드러냄이다)

 

享 : 제사지낼 향

 

 

本                       互

☴ 風(하늘의 섭리) ☶ 山 (멈추다)

☵ 水                   ☳ 雷 (움직이다)

                       

          

 

 

배(雷), 노(風), 물(水) 위에 떠 있는 흔들리는 배(風) 등의 象이 살펴진다.

 

물(水) 위에 배가 정박하고(山),

떠나고(雷) 등의 象들을 취하여 교통수단의 발전을 해석하고 있다.

 

渙卦는 물위에서 흔들리고 있는 배의 모습인데 8木이니

파피루스, 갈대 등으로 만든 배를,

괘는 속이 虛하게 텅비어 있으므로 절구(臼)의 모양으로

큰나무(甲木-雷)의 속을 판 배의 모습을 표현했다.

 

 

 

 

 

服牛乘馬 引重致遠 以利天下 蓋取諸.

 

소를 길들이고 말을 타서, 무거운 것을 이끌고 먼 곳에 (가까운 곳으로) 이르게 하였다.

(乾道를 타고 坤道에 순종하여 성인지도를 자각함을 말한다)

 

이로써 천하(天下)를 이롭게 하니, 대개 모두 수괘(隨卦)에서 취하였다,

 

 

隨괘는 사람이 따르는 길을 말하고 있다.

 

그 유형에는 사람을 따르는 것, 물건을 따르는 것, 일을 따르는 것,

진리를 따르는 것 등이 있다.

 

그러나 隨괘에서 말하는 隨道란 나를 버리고 진리를 따르는 것이다.

(我舍而聖人之道順也)

 

 

隨는 크게 형통하고 곧으면 이로움이라 허물이 없다.

(隨는 乾道인 元亨利貞을 따르니 이롭다는 것이다)

 

 

彖에 이르기를 剛(下卦 震)이 柔(上卦 兌) 아래에서 움직이어 기뻐하니  隨이다.

(隨괘는 나를 버리고 성인지도를 따르니 기뻐한다는 뜻이다)

 

천하가 때(시의성)를 따르니 때를 따르는 뜻이 참으로 크다.

 

象에 이르기를 못속에 우뢰가 隨이니

(기쁨 속에서 움직이는 것이 隨이니) 

 

군자는 이로써 날이 저물면 들어가 잔치하면서 쉬는 것이다.

(주역에서 음식은 군자의 인격적인 영양소인 성인지도를 말한다)

 

乘馬사회에 비유하여 군자가 성인지도를 따라 세상을 이롭게함을 말한다

 

주역은 계사 상하편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本            互

☱ 澤(悅)   ☴

☳ 雷(動)   ☶

隨            漸

 

澤은 모이다, 담기다, 큰 항아리, 큰 보따리 등으로 표현할 수 있겠다.

 

무거운 물자를 움직이는 모습이다.

 

互卦인 漸卦에서는 무거운 것을 바퀴를 이용해 끌어오는 모습을 상상할 수 있다.

 

 

 

 

 

重門擊柝 以待暴客 蓋取諸.

 

柝 : 열 탁, 터지다, 딱다기, 펼침, 목탁

豫 : 미리 알리다, 미리 준비하다, 기뻐하다

 

문을 거듭하여 딱다기를 쳐서 사나운 나그네(도둑)를 기다리니(미리 막으니) 

대개 저 예괘(豫卦)에서 취하였다.

(나무로 만든 딱다기는 하늘의 섭리로 만들었다는 뜻이다. 巽(風) = 木

방범사회에 비유하여 성인지도를 두드려 세상을 기쁘게 하는 것을 말한다.

천도(딱다기)로 소인(나그네, 도둑)을 교화시켜 성인지도를 자각함을 뜻한다

門은 성인지도를 자각해 행복의 門을 연다는 의미이다)

 

豫는 방범사회에 비유하여 우레로써 알림을 말하고 있다.

 

豫는 성인지도를 미리 알려서 사람들을 끼쁘게 한다는 의미이다.

 

진정한 기쁨은 성인지도에 순종(地)하면서 움직(雷)이는 것임을 말한다.

 

豫 = 予 + 象으로 스스로 기쁨을 드러내는 것이다.

 

내호괘 艮은 門이 되니,

문지기가 문을 안팎으로 돌면서 떡다기로 소리를 내면서 夜警을 도는 것이다.

 

豫괘는 미리 준비한다. 미리 알린다는 뜻이 있으니 그 象을 취하였다.

 

육효중괘의 측면에서 볼 때 下卦는 先天이며 上卦는 后天으로

선후천변화의 문(六三→九四)을 두드리는 의미와 利涉大川의 의미가 있다.

 

 

豫는 제후(군자)를 세우고 무리를 행함이 이롭다.

(유약한 임금(六五)이 賢人(九四)을 신임하여 제후로 뽑아

나머지 陰들을 이끌도록 해야 기뻐할 수 있다.

현인을 제후로 삼아 소인을 군자로 만듦으로써 기뻐할 수 있다)

 

師는 무리를 이끌고 전쟁을 하는 道를 설명하고 있다.

(유약한 임금(六五)이 賢人(九二, 계급은 낮지만 능력이 있는 사람)을 신임하여

장수로 삼아야 전쟁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彖에 이르기를 豫는 剛(雷, 九四)이 응해서 뜻이 행해지고

유순함으로 움직이는 것이 豫(기쁨)라

(경전에 있는 성인의 말씀을 순종함으로써 진정으로 기뻐할 수 있다)

 

豫(기쁨)는 순종함으로써 움직이는 고로 천지도 그러하거든

하물며 제후를 세워 무리를 움직이는 것이랴

 

주역은 종교가 아니라 학문이기 때문에 명확한 근거를 밝혀야 한다.

 

천지가 순종으로 움직이므로 해와 달이 지나치지(틀리지) 않고 어긋나지 아니하고

(하늘의 섭리는 한치의 어긋남이 없으니 하늘의 법칙을 사람의 법칙으로 삼아서

천인합일을 이루어 아름다운 세상을 이루고자 하는 것이다)

 

성인이 순종하며 움직인즉 형벌이 맑아 백성이 복종하니 豫의 時宜가 참으로 크도다!

 

하늘의 섭리를 의심하지 말고 실천해야 기뻐할 수 있다.

 

 

象에 이르기를 우뢰가 땅에서 나와 떨침이 豫니

(순종으로써 움직이는 것이 豫(기쁨)이다)

 

先王(군자)이 이로써 예악을 만들고 덕을 숭상하여

성대하게 상제께 제사를 올리고 조상의 제사를 함께하니라.

(기쁨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상제님과 조상님께 감사의 예를 올리라는 것이다)

 

 

 

本            互

☳雷(動)    ☵水

☷地(順)    ☶山

豫            蹇

 

산성(地)을 짓고 그 외곽으로 큰 나무(雷) 목책을 두른 모습이나,

석성(山)을 쌓고 그 외곽으로 깊은 해자(水)를 두른 모습을 상상해 보자.

 

이렇게 이중으로 방범을 해야할만큼 물자가 풍부해지니

그것을 노리는 이웃나라가 있을 터였다.

 

어두운 밤이 오면 목탁을 두드리며 순라를 돌아 내부의 밤손님도 경계해야 했다.

 

 

 

 

斷木爲杵 掘地爲臼. 臼杵之利 萬民以濟 蓋取諸小過.

 

나무를 잘라서 공이를 만들고 땅을 파서 절구를 만들어,

절구와 공이의 이로움으로 만민(萬民)을 이로써 건너게하니

(以濟는 성인지도를 자각하여 선천에서 후천으로 넘어가는 것을 의미한다

절구와 공이를 이용해서 곡식의 껍질을 벗기듯이

성인지도로 자신의 작은 과실을 반성하고 성찰하고 삼가하고 조심함으로써

이 언덕에서 저 언덕으로 선천에서 후천으로 건너 갈 수 있다는 것이다.)

 

대개 소과괘(小過卦)에서 취하였다.

 

雷는 하늘이 천둥번개로 세상을 깨우고 밝힌다는 의미이다.

 

小過는 산 위에서 우레가 쳐서 세상 사람들을 일깨워

작은 과실을 고치고 성찰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

 

小過괘는 겸손하고 공손하게 처신을 조심해야 하는 象이다.

 

震이 조금 지나치게 세상을 향해 소리치는 것이다.

 

그러므로 순종, 조심, 겸손하며, 성인지도의 자각을 통해서 반성과 성찰이 필요하다.

 

그 결과 형통할 수 있다는 것이다.

 

互괘가 大過로서 大過는 陽의 지나침(陰大陽小)으로 큰 과실이고

小過는 陰의 지나침(陽大陰小)으로 작은 과실을 말한다.

 

그러므로 성찰과 反身修德의 小事가 필요하다.

 

 

(우뢰의 소리는 조금 지나쳐도) 小過는 형통하니 곧으면 이로우니

조그만 일은 할 수 있어도 큰 일은 할 수 없으니

(大事는 하늘과 관계된 일, 왕천하사업 등을 의미하고

小事는 자기반성하고 성찰하고 삼가하고 노력하는 일을 의미한다)

 

나는 새가 소리를 남긴다.

(하늘의 천사인 새가 반성하라고 하는 것이다)

 

위로 올라가는 것은 마땅치 않고 밑으로 내려가면 크게 길할것이다.

 

 

 

彖에 이르기를 小過라는 것은 작은 것이 지나쳐서 형통함이니

지나치되 올바름으로써 하는 것이 이롭다는 것은 때와 더불어 하기 때문이다.

 

柔(六二, 六五)가 中을 얻음이라 이러므로 작은 일에는 길한 것이오

 

剛이 제 자리를 잃고 中을 얻지 못함이라(初六)

이런 까닭에 큰일은 할 수 없는 것이다.

 

나는 새의 象이다.

(九三, 九四는 새의 몸통이고 初六 六二는 왼쪽 날개, 六五, 上六은 오른쪽 날개이다.

아무리 높이 날 수 있는 새라고 하더라도 높이 올라가는 데에 한계가 있다.

하늘에 닿을 수는 없는 법이다)

 

니는 새의 남긴 소리에 '올라가는 것은 마땅치 않고 내려가면 크게 길할 것이다'

하는 것은 위로 올라가는 것은 거스르는 것이고

아래로 내려가는 것은 순종하기 때문이다.

 

 

象에 이르기를 山 위에 우레가 있는 것이 小過이니

군자는 이것으로써 행동은 공손함에 지나치고 喪事는 슬퍼함에 지나치며

쓰는 것은 검약함에 지나친다.(다른 데 지나침은 과유불급이다)

     

  

本    互

☳    ☱    

☶    ☴          

    大       

    過              

 

 

 

속을 파낸 절구(臼)다. 땅을 파서 단단하게 다져서 절구로 이용했다.

 

이후에는 나무의 속을 파서 절구로 이용했을 것이다.

 

소화가 어려운 껍질을 까거나 가루를 빻아

소화하기 편한 음식과 다양한 먹거리 문화가 발달되었다.

 

小過의 象에서는 절구속에 잘게 부서져 가루가 된 곡식을 상상핡 수 있다.

 

坤의 정신도 만물을 품어 기르는 것이니 음식과 길러냄의 의미가 멀지 않다.

 

 

 

 

弦木爲弧 剡木爲矢 弧矢之利. 以威天下 蓋取諸.

 

나무를 휘어 활을 만들고 나무를 깎아 화살을 만들어,

활과 화살의 이로움으로 천하(天下)에 위엄을 보이니 

대개 모두 규괘(睽卦)에서 취하였다.

(성인지도로 세상에 위엄을 보여서 대립과 갈등을 해소하고

상생과 소통의 길을 모색해서 새로운 변화의 계기로 삼게하여

세상을 이롭게 한다는 말이다)

 

威 = 獄 (아름다운 규제, 강제성)

 

睽 : 애꾸눈 규, 어긋나다, 흘겨보다, 대립, 갈등

 

 

睽괘의 착종괘는 革괘로 대립과 갈등을 고치는 계기로 삼으면

상생과 소통의 장이 열림을 말한다.

 

睽는 새로운 변화를 위한 모색과 결단에 대한 말이다.

 

下卦는 兌괘(少女)이고 上卦는 離괘(中女)로 물과 불이 서로 어긋난다.

 

불은 위로 올라가고 물은 아래로 내려와 대립과 갈등이 생긴다.

 

지금까지의 삶의 방식을 끝내고

새로운 삶의 방식으로 전환하기 위한 모색과 결단이 필요하다. 

 

 

어긋나지만 睽는 작은 일에 길하다.

(지금은 새상이 모두 어긋나 있다. 사회 전체가 대립과 갈등에 빠져있을 때는

자신을 성찰하고 반성하는 小事는 길하다는 뜻이다)

 

 

彖에 이르기를 睽(어긋남)는 불은 움직여서 위로 올라가고

연못의 물은 움직여서 아래로 내려가며

두 여인이 함께 있으나 그 뜻은 함께 행하지 않는다.

 

기뻐해서(澤) 밝은 것(火)에 거처하고

柔(六五)가 위로 올라가 中을 얻으니 剛(九二)이 응한다.

(九二와 六五는 應爻로 陰陽合德을 한다)

 

이르므로 작은 일에 길하다. 

 

천지는 서로 어긋나지만 그 일은 같으며

남녀는 서로 어긋나지만 그 뜻은 통하며

만물은 서로 어긋나지만 그 일은 같으니

睽의 사용하는 때가 참으로 크도다!

 

 

象에 이르기를 위에 불이 있고 아래에 못이 있는 것이 睽이니

군자는 이로써 같으면서도 다르고 다르면서도 같다고 한다.

(어긋났을 때는 時宜性으로 해결해야 하며

흑백논리가 아닌 同而異 異而同의 원리로 대립과 갈등을 해소하라는 뜻이다)

 

 

 

本   互    交

☲   ☵    ☱

☱   ☲    ☲

睽   未    革

      濟

 

暌에는 離兌의 象이 함께 있다. 이다. 무기가 만들어졌다.

 

문명(☲) 對 문명(☲)의 충돌(☱-金)은 종종 큰 전쟁이 된다.

 

또 반대로 전쟁을 통해서 각기 다른 문명이 서로 상박하여

폭발적으로 문명의 다양성을 생산한다.

 

새(隹-☲)와 화살을 쏘다(睽-占)가 함께 묶여 있다.

 

睽가 노려보는 방향은 어디일까?

 

未濟가 숨어있다.

 

화살(亥木)이 물질세계, 주작(巳火)을 향해 쌩- 날아가고 있다.

 

厥陰巳亥風木이다.

 

 

 

 

 

上古 穴居而野處. 後世聖人 易之以宮室. 上棟下宇 以待風雨 蓋取諸大壯.

 

 

상고시대(上古時代)에는 동굴에 살고 들판에 거처하였는데

후세에 성인(聖人)(후천적 사명을 가진 성인)이 궁실로 바꾸어

위에는 용마루(대들보)를 얹고 아래에는 서까래를 얹어 풍우(風雨)에 대비하였으니

대개 모두 대장괘(大壯卦)에서 취하였다.

(성인의 말씀으로 집을 짓고 하늘의 섭리와 은택을 기다린다는 뜻이다.

대장괘는 하늘의 뜻으로 움직여야 크게 씩씩할 수 있음을 집짓기에 비유한 것이다)

 

風은 하늘의 섭리(巽入也), 雨는 하늘의 은택을 말한다.

 

강건한 하늘(天)의 뜻으로 움직이는 것(雷)이 크게 씩씩한 것(大壯)이다.

 

 

大壯은 大가 씩씩한 것이다.

 

易에서는 陽을 大로 하고 陰을 小로 한다.

 

이 괘에서는 큰 것, 즉 大는 성인 군지도가 盛한 것을 말한다.

 

그러므로 大壯이다.

 

大壯괘는 아래에 양효가 넷 있고 위에 음효가 둘 있다.

 

아래의 陽(군자지도)는 지금도 세력이 대단하지만

앞으로도 점점 더 盛해져서(夬) 점점 더 약해져가는 陰(소인지도)은 무너진다.

 

大壯괘는 크게 씩씩해져 가는 과장에 있는 괘이다.

 

 

 

大壯은 곧으면 이롭다 하니라.

 

 

彖에 이르기를 大壯이란 큰 것이 盛하는 것이니 剛으로써 움직이는 까닭으로 씩씩하니

대장은 곧으면 이롭다고 하는 것은 큰 것(天道)은 바른 것이니

바르고 커서 천지의 뜻을 가히 볼 수 있다.

 

 

象에 이르기를 " 우레가 하늘 위에 있는 것이 대장이니

군자가 보고서 禮가 아니면 행하지 않는다"

(하늘의 법칙(天道)으로 인간의 법칙을 만든 것이 禮이므로

군자는 禮가 아니면 행하지 않는다(非禮弗履)고 하는 것이다.

非禮勿視 非禮勿聽 非禮勿言 非禮勿動, 天人合一이다)

 

 

 

本              互

☳ 雷(動)     ☱澤

☰ 天(剛健)  ☰天

大              夬

 

 

 

 

 

古之葬者 厚衣之以薪 葬之中野. 不封不樹 喪期无數.

後世 聖人 易之以棺槨 蓋取諸大過.

 

薪 : 섶나무 신

 

옛날에 葬事는 섶나무로써 두텁게 입혀 들 가운데에 장사 지내서

봉분하지도 않고 나무를 심지도 않아서 초상을 치루는 기간이 數가 없더니

후세(後世)에 성인(聖人)이 관곽(棺槨)으로서 바꾸니

대개 저 대과괘(大過卦)에서 취하였다.

(경전에서 말하는 福은 지혜를 가르쳐 주는 것이다.

매장사회에 비유하여 설명하고 있다.

사람이 죽어가고 대들보가 내려앉는 어려움과

고낭을 극복하는 지혜를 말하고 있다.

대들보가 무너지는 어려움에서 벗어 날 수 있는 방법은 건도의 밧줄을 잡고 나아가

겸손하고 기쁜 마음으로 성인지도를 따르는 길 밖에 없음을 말한다)

 

 

대과괘는 四陽, 二陰으로 陽이 지나치게 많고 本末이 陰으로 柔弱한 象이다.

 

대과는 대들보가 휘어진 것이나 나아갈 바가 있어 이로움이라 형통하다.

 

橈 : 굽을 요, 꺾이다.

 

 

彖에 이르기를 대과는 큰 것(하늘)이 지나친 것이다.

 

대들보가 휘는 것은 본말이 약하기 때문이다.

 

剛이 지나치나 中道에 겸손(巽)하고 기쁜(兌) 마음으로 행함이라,

(剛이 지나치다는 것은 하늘의 지나침이다

하늘의 섭리는 과연 있는 것인가?

하늘이 장차 큰 임무를 어떤 사람에게 내리려 할 때는

반드시 먼저 그의 마음을 괴롭게 하고 근골을 힘들게 하며 그 몸을 굶주리게 하고

그 생활을 곤궁하게 하며 어떤일을 행함에는 하는 바를 뜻대로 되지 않게 어지럽힌다

이것은 그의 마음을 분발시키고 참을성 있게 해

그가 할 수 없었던 일을 해낼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 「맹자」「고자 하 진심장」

주역 上經은 성인지도를 따르지 않으면  28. 大過는 대들보가 무너지는 어려움을

29. 坎괘는 고난이 거듭됨을 30. 離괘는 죽어서 태워 버려짐을 나타내고 있다.

下經 31. 咸괘는 진리와 내가 하나됨을 나타내고자 한 것이다.

주역은 선천의 고난을 이겨낸 자만이 후천의 안식을 맞이 할 수 있음을 말한다

용마루가 무너지는 어려움 속에서도 乾道(中道)에 의지하고

기쁜 마음으로 행하면 마침내 형통해진다는 것이다.)

 

갈 바가 있는 것(互괘 乾)이 이롭다 하여 이에 형통하니 대과의 時宜는 참으로 크도다.

 

 

象에 이르기를 못이 나물를 침멀시키는 것이 大過이다.

 

군자는 이것으로써 외뢰이 홀로 서서도 두려워하지 않고

세상을 피해서 숨어 살아도 근심하지 않는다.

 

 

本        互

☱ 澤    ☰

☴ 風    ☰

大        乾

 

 

 

 

上古 結繩而治. 後世聖人 易之以書契.百官以治 萬民以察 蓋取諸.

 

상고시대(上古時代)에는 노끈을 매어 다스렸는데,

후세(後世)에 성인(聖人)이 이것을 문서[書契]로 바꾸었다

 

백관(百官)이 다스려지고 만민(萬民)을 살필 수가 있었으니,

모두 다 쾌괘(夬卦)에서 취한 것이다.

 

문서사회에 비유하여 결단의 의미를 말하고 있다.

 

계사 하편 제 2장이 13개의 괘로 구성됨은

1년의 12개월과 윤달을 합한 수를 의미하기도 한다.

 

계사 하편 제 2장을 夬괘로 끝맺은 것은 선후천변화에 결단을 해야 선천이 끝나고

후천이 시작됨을 의미한다.

 

夬는 소이지도를 군자지도로 결단하는 것을 밝힌 것이다.

 

百官以治는 하고, 낙서의 합인 100을 말한다.

 

그러므로 천지지도, 건곤지도, 중정지도로 백성을 다스리는 왕도정치를 말한다,

 

一元數는 100x100 = 만인 만물을 말한다.

 

 

☱ 澤

☰ 天

 

 

 

 

 

 

第三章

 



 

是故 易者 象也 象也者 像也.   

이러므로 역(易)은 상(象)이니, 상(象)이라는 것은 형상[像]이요,

 

彖者 材也.                           

단(彖)은 [괘의] 재질이요,

 

爻也者 效天下之動者也.         

효(爻)는 천하(天下)가 동(動)하는 것을 본받는[效] 것이니,

 

是故 吉凶生而悔吝著也.          

그러므로 길(吉)ㆍ흉(凶)이 생기고, 회(悔)ㆍ린(吝)이 드러나는 것이다.

 

 

 

 

 

第四章

 

 


陽卦多陰 陰卦多陽. 其故 何也 陽卦 奇 陰卦 耦.

 

양괘(陽卦)는 음(陰)이 많고, 음괘(陰卦)는 양(陽)이 많으니,그 까닭이 무엇인가?

 

양괘(陽卦)는 홀수[奇]고, 음괘(陰卦)는 짝수[耦]기 때문이다

 

 

陽卦多陰    ☰ ☳ ☵ ☶ (奇)(3, 5획) 陽體陰用 體十用九

陰卦多陽    ☷ ☴ ☲ ☱ (耦)(6, 4획) 陰體陽用 體五用六

 

 

※ 三極之道

 

十(天, 无極)

五(人, 皇極)

一(地, 太極)

 


其德行 何也. 陽 一君而二民 君子之道也. 陰 二君而一民 小人之道也.

 

괘의 덕행(德行)은 어떠한가?

 

양괘[陽]는 한 군주에 두 백성이니, 군자(君子)의 도(道)이다(吉)

음괘[陰]는 두 군주에 한 백성이니, 소인(小人)의 도(道)이다(凶)

 

 

 

 

 

 

3. 困復, 죽음과 부활

 

 

 

第五章, 日月이 相推하다

 

 

[咸] 九四爻

 

 

易曰 憧憧往來 朋從爾思. 子曰 天下何思何慮

天下同歸而殊塗. 一致而百慮 天下何思何慮.

 

憧 : 그리워할 동 

殊 : 죽일 수, 다를 수

塗 : 진흙 도, 길 도

 

 

易에 이르기를 그리워하면서 왕래하면 벗이 네 생각을 따를 것이라 하니 

 

공자가 이르기를 천하가 무엇을 생각하며 무엇을 근심하겠는가?

 

천하가 돌아감은 같으나 길은 다르며 理致는 하나이나 생각은 백가지이니,

 

천하가 무엇을 생각하고 무엇을 근심하겠는가?

 

 

 

택산함괘는 男下女上하는 원리로

선천에 성인聖人이 나와서 후천의 군자를 기르는 것이다.

 

各正性命의 관점에서 보면 朋이 너를 따를 것을 생각한다는 것은 友의 입장이며,

損卦 六三爻는 朋의 입장이다.

 

朋友가 합덕(同歸․一致)을 통하여 각자 자신의 命을 수행해가는(殊塗․百慮) 것이다.

 

憧憧往來란?

 

① 사람의 마음이 일어나는 작용, 吉凶과 善과 非善의 변화원리를 말한다.
② 人事的으로는 남녀의 결합을 말한다.
③ 屈伸往來의 자연변화를 말한다.
➃ 道學的으로는 성인 군자지도의 합덕을 말한다.

 

朋從爾思는 성인·군자의 합덕이나 陰陽交合이면 마음의 일치점을 찾는다.

 

憧憧往來 朋從爾思는 삿된 생각으로 좇다 보면 이루어지는 것이 없으니,

지공무사하고 无思无爲한 가운데 통해야 함을 말하고,

또 言治一也(하나를 이룬다)가 된다고 하였다.

 

憧憧往來를 말하여 천하의 이치가 하나로 돌아감을 말한 것이다.

 

憧憧往來의 상대는 朋(상대적)이다.

 

 

咸卦는 크게 보면 坎卦이며, 또 九四가 動하면 上卦와 內互卦가 重水坎이 된다.

 

坎은 물이니 결국 상괘인 兌澤으로 흘러들어 가는 것이다.

 

그러나 下卦인 艮(경로)의 작은 길과 이를 도전挑戰한 震(대도大道)의 큰 길 사이에서
坎의 극심과 心統으로 수도(殊塗)(길이 다름)하며 백려百慮하는 것이다.

 

또한 同歸나 一致하는 것이 자연의 이치이나,

사람의 사욕이 앞서므로 수도(殊塗)하고 백려(百慮)하는 것이니,

그러므로 공자께서 '하사하려何思何慮'를 거듭 말하여 한탄하신 것이다.

 

 

 

往則月來 月往則日來 日月相推而明生焉

寒往則暑來 暑往則寒來 寒暑相推而歲成焉.

往者 屈也 來者 信也. 屈信相感而利生焉.

 

가면 달이오고 달이 가면 해가 와서 해와 달이 서로 밀어 밝음이 생기고(天)

추위가 가면 더위가 오고 더위가 가면 추위가 와서

추위와 더움이 서로 밀어 歲가 아루어지니(地)

가는 것은 굽힙이요, 오는 것은 펴짐이니 屈伸이 서로 感動함에 이로움이 생긴다.(人)

 

 

屈伸往來(시간과 공간)의 이치를 천지인 삼재지도로 설명하고 있다.

 

 

모든 진리를 깨우치는 지름길은 왕래往來의 이치이며,

往來屈伸을 거치면서 진리를 이룬다.

음양이 합덕하여 음양작용이 이루어진다.

 

만물에서는 생성작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日月이 운행하여 寒暑가 생기고, 寒暑의 질운(迭運)작용에 의해서

세歲(시간)이 생성되는 것이다.

 

九四가 動하면 상괘는 坎(月)이고, 外互卦는 離(日)이니,

해와 달이 서로 밀쳐내며 밝음으로 돌아가는 象이다.

외호괘인 乾은 서북방으로 추위를 맡아 행하고,

내호괘인 巽은 동남방으로 더위를 맡아 행하니

추위와 더위가 서로 밀쳐내며 한해(歲)를 이루는 상象이다.

 

往은 사라지는 것이니 鬼(음陰)이며, 來는 생겨나는 것이니 伸(양陽)이다.

 

가는 것은(往) 씨앗이 땅속에 있는 것이며,

오는 것은(來) 싹터 나오는 것을 뜻하니,

씨앗이 떨어지는 것은 屈이고, 싹터 나오는 것은 伸이다.

 

그러므로 屈한 것은 伸하는 것을 느끼고,

伸한 것은 굴屈하는 것을 느껴 서로 느끼는 속에서 이로운 것이 나온다는 것이다.

즉, 겨울에 땅속에서 屈했던 것이 봄에 펴서 나옴에 가을의 利가 있다.

해와 달이 屈伸하는 가운데 明이라는 利가 생기고,

추위와 더위가 굴신屈伸하는 가운데 歲라는 利가 생기듯이

천하 만물이 往來屈伸하는 속에서 결실의 이로움이 나오는 것이다.

 

인간사의 憧憧往來이다. 따라서 이로움에는 義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尺蠖之屈 以求信也. 龍蛇之蟄 以存身也.

精義入神 以致用也. 利用安身 以崇德也.

過此以往 未之或知也 窮神知化 德之盛也.

 

蠖 : 자벌레 확

 

(자로 재는 듯이 나아가는) 자벌레가 몸을 굽힘은 폄을 구하기 위해서요,

 

용과 뱀이 칩거하는 것은 몸을 보존하기 위함이오,

 

뜻(義)을 정밀하게 (궁구)하여 신묘한 경지에 들어감은

쓰임을 이루게(지극히) 하기 위함이오,

(사물의 이치를 정미(상세)하게 궁구하여 신묘함에 통하는 까닭은

세상에 나가서 쓰려고 하는 것이다.) 

 

쓰임을 이롭게 하여 몸을 편안히 함은 德을 높이기 위함이니,

(몸을 망령되게 움직이지 않고 이롭게 사용한다는 것은 자기성찰과 수양으로

그 쓰임을 다하고자 함이니, 이로써 德을 숭상하기 때문이다.) 

 

이를(정의와 입신) 지난 이후에 대해서는 혹 알지 못함이니,

신비로움을 궁구하여 변화(조화)를 아는 것은 德의 盛함이다.

(지금까지 말한 자연의 이치 외의 것은 모른다는 뜻이다.

지금까지 자연의 동동왕래를 말하여 ‘동귀同歸'하고 ‘일치一致’하는 것을 말했으니,

이것이 자연의 이치의 모든 것이라고 역설적逆說的으로 표현하여 단정한 것이다.

즉 神을 궁구히 연구해서 만물이 化生되어 나오는 것이 德의 가장 盛한 것이다.

치용과 숭덕의 경지를 지나가는 것(형이상의 것)은 혹 알지 못하나
신묘함을 궁구해서 그 변화를 아는 것은 德의 성대함이다.

이것은 德이 體가 되어야 궁신지화(窮神知化)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대과괘를 지나서 후천이 오는 것을 알지 못한다.

그러나 성인의 겸양으로 노력하고 연마하면 혹 알 수 있지 않는가?

聖人은 신비로운 것을 궁구하여 변화하는 모든 미래를 아는 것이다.

聖人은 천명으로 이러한 경지에 도달해 있는 사람이다.
德을 통하여 神을 알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지혜를 얻는다는 것은 지식을 얻는 것이 아니라 德을 쌓아 가는 것이다.)

 

 

 

本     互          之(九四爻變)

☱澤  ☰天       ☵水

☶山  ☴風       ☶山

咸     姤          

   

 

 

 

 

[困] 六三爻

 

 

易曰 困于石 據于蒺蔾 入于其宮 不見其妻 凶.

子曰 非所困而困焉 名必辱. 非所據而據焉 身必危.

旣辱且危 死期將至 妻其可得見邪.

 

困 : 괴로웅 곤

蒺 : 가시 질

蔾 : 가시 려

邪 : 간사할 사, 어조사 야

 

 

易에 이르기를, 돌에 곤(因)하여 질려(蒺藜)에 않아 있다.

 

집에 들어가도 아내를 만나지 못하니 흉하다 하니

 

공자가 말하기를 곤因할 봐가 아닌데 곤因하니 이름이 반드시 욕될 것이요,

 

앉을 곳이 아닌데 앉으니 몸이 반드시 위태로울 것이다.

 

이미 욕되고 또 위태로워 죽을 시기가 장차 이르니 아내를 볼 수 있겠는가?

 

 

 

憧憧往來로 인한 체력소진으로 곤困하게 되고,

곤란을 당해 진퇴양난의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憧憧往來를 통한 도통의 경지는 고난과 시련의 과정을 거치지 않고서는

이루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곤우석(困于石) : 困卦 六三은 괘상으로 보아 두 陽사이에 빠져있고
上九와 상비관계라 곤우석(困于石)이 된다.

 

‘곤困’은 木道로써 東方 '木'(생명)이 울안에 갇혀 있는 것이다.

 

不正位不中한 자리이다.

 

따라서 소인지도를 드러내고 있다.

 

小人(돌과 가시덤불)들이 군자지도를 보지 못하는 것으로 곤궁하고 有終이 없다.

 

 

비소곤이곤언(非所困而困焉) : 곤난을 겪을 때가 아닌데 겪는다.

 

소인지도로 혼란된 사회이다.

 

 

명필욕(名必辱) : 소인지도 혼란된 사회에서 명성을 높이 가지려다 욕됨이 오고,

몸도 위난에 빠진다..

 

기욕차위(旣辱且危) : 이미 욕되게 되고 또한 위태로움에 빠진다

 

사기장지(死期將至) : 욕됨과 위태로움으로 죽음의 때가 이른다.

 

처기가득견사(妻其可得見邪) : 소인지도에 빠져 자신의 몸도 지탱하기 어려워

아내(君子)를 돌볼 수 없다.

 

 

 

本                      之(六三爻變)

☱澤                   ☱澤

☵水                   ☴風

困                      大過

 

 

 

 

 

[解] 上六爻

 

易曰 公用射隼于高墉之上 獲之 无不利. 子曰 隼者 禽也 弓矢者 器也 射之者 人也.

君子藏器於身 待時而動 何不利之有. 動而不括 是以出而有獲 語成器而動者也.

 

射 : 쏠 석, 쏠 사, 궁술 사

隼 : 새매 준

墉 : 담 용

括 : 묶을 괄

 

 

易에 이르기를 公이 새를 높은 담 위에서 쏘아 잡았으니 이롭지 않음이 없다 하니

 

공자가 말하기를 “隼은 새이고 궁시는 기물이며,

쏘는 것은 사람이니 군자가 기물을 몸에 보관하여 때를 가다려 움직이면

어찌 이롭지 않음이 있어리요. 움직이면 막히지 않음이라.

이 때문에 나가면 얻음이 있는 것이니, 기물을 이루고 움직이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解卦 上六爻로 군자지도를 밝히고 있다.

 

이것은 時宜性에 따라 움직이면 막힘이 없이 자유롭게 행할 수 있음을 말하고 있다.

 

 

준금(隼禽) : 易道, 聖人之道를 말한다.

 

궁시자(弓矢者) : 자신이 정심수양(正心修養)한 뒤라야 과녁을 맞힐 수 있다.

군자가 德을 쌓았다는 것은 천지지도를 자각했다는 것으로

시의성에 맞게 움직이면 中正之道를 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장기어신(藏器於身) : 몸에 그릇을 보관한다는 것은

성인지도를 주체적으로 자각하여 내재화하는 군자의 사명을 상징한 것이다.

 

스스로 자기 몸에 훌용한 器를 간직한다는 것이다.
(形而上者 謂之道, 形而下者 謂之器)

 

 

대시이동(待時而動) : 군자지도로써 시의성에 적합토록 기다려 움직이면

중정지도를 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동지불괄(動之不括) : 括은 묶는 것이다.

 

弓矢를 사용할 때 시위가 얽히면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不括은 구애받거나 막히지 않고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음을 말한다.(括 = 結)


 

 

출이유획(出而有獲) : 나가서 매(天使)를 잡을 수가 있다.

 

어성기이동자야(語成器而動者也) : 그릇이 이루어진 다음에 움직이라는 것이다.

 

즉, 性命之理의 완성을 말한다. (精義入神 以致用也이다)

 

 

 

 

 

 

 

[噬嗑] 上九爻

 

 

子曰 小人 不恥不仁 不畏不義. 不見利 不勸 不威 不懲. 小懲而大誡 此小人之福也.

易曰 屨校 滅趾 无咎 此之謂也.

 

校 : 학교 교, 형틀 교

趾 : 발 지

 

공자께서 이르기를

 

“소인이 불의를 부끄러워하지 않고 불의를 두려워하지 않는다.

 

이익을 보지 않으면 권면되지 않고

위엄으로 두렵게 하지 않으면 징계懲戒가 되지 않으니

조금 경계하여 크게 징계시킴은 소인의 복이다.

 

역에 이르기를 ” 이교屨校는 발을 멸滅함이니 허물이 없다.“하였으니 이것을 말함이다.

 

 

噬嗑卦는 소인지도를 벌하는 卦로서

初九는 경범죄인으로 가벼운 형벌인 족쇄足鎖를 사용하고

上九인 중죄인에게는 항쇄項鎖를 사용한다.

 

小人이 義에 어긋남은 罪인 惡을 쌓는데 까지 도달한 것은 아니므로

가벼운 잘못에 해당한다

 

 

불치불인(不恥不仁) : 소인은 어질지 못함(不仁)을 부끄럽게 생각하지 않는다.

不恥는 본성을 망각한다는 것이다.

 

불외불의불견리(不畏不義不見利) : 소인은 聖人之道를 보지 않으면 義롭지 못한 것

(不義)을 두려워 하지 않는다. 또한 소인은 이익이 있어야 仁을 권하고,

형벌을 당해야 그 의롭지 못한 것을 깨닫는다.

 

소징이대계 소인지복야(小懲而大誡 小人之福也) : 소인을 조금 징계하여

큰 잘못을 못하게 하는 것은 일벌백계로써 소인에게 오히려 복이 된다는 것이다.

 

 

善不積 不足以成名 惡不積 不足以滅身.

小人 以小善 爲无益而弗爲也. 以小惡 爲无傷而弗去也.

故惡積而不可掩 罪大而不可解. 易曰 何校滅耳 凶.

 

掩 : 가릴 엄

 

善이 쌓이지 않으면 이름을 이룰 수 없고,

惡이 쌓이지 않으면 몸을 멸할 수 없으니,

小人은 작은 善을 무익하다 하여 行하지 않고

작은 惡은 무방하다 하여 버리지않는다.

그러므로 惡이 쌓여서 가리울 수 없고, 罪가 커져서 풀 수 없으니,

易에 이르기를 “차고로 매서 귀를 멸하니 凶하다” 하였다.

 

 

하교멸이(何校滅耳)

① 중죄인은 격리(隔離)시켜 외부의 소식을 못 듣도록 하였다.

이를 항쇄(何校)을 씌워 귀를 滅한다고 하였다.

② 항쇄를 씌워 귀를 가렸다는 것은

하늘의 소리, 진리의 소리를 듣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

 

 

☲火

噬嗑

 

 

 

 

 

[否] 九五爻

 

 

子曰 危者 安其位者也. 亡者 保其存者也. 亂者 有其治者也.

是故君子安而不忘危 存而不忘亡 治而不忘亂. 是以身而國家可保也.

易曰 其亡其亡 繫于苞桑.

 

苞 : 그렁 포, 바가지 포, 더부룩할 포 

 

 

공자께서 이르시기를

 

“위태로울까 염려함은 그 지위를 편안하게 하는 것이요,

 

망할까 염려함은 생존을보존하는 것이다.

 

어지로울까 염려함은 그 다스림을 가질 수(두게 하는 것) 있는 것이니.

 

이 때문에 군자는 편안해도 위태로음을 잊지 않고,

보존되어도 망함을 잊지 않고, 다스려져도 어지로움을 잊지 않는다.” 하였다.

 

이 때문에 몸이 편안해지고 나라를 보존할 수 있는 것이니,

 

易에 이르기를

“망할까 망할까하고 두려워하여야 덩굴째 더부륵한 뽕나무에 매어놓듯 튼튼하다“

하였다.

 

 

否卦 九五는 비색한 때를 당해 망할 것을 염려한 大人이

천하를 道에 묶어 영구히 반석 위에 올려 놓는 것이다.

 

뽕나무는 뿌리가 질기고 단단하다.

 

그러므로 뽕나무 같이 튼튼한 곳에 붙들어 매면 영원히 망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기망(其亡) : 其는 의심을 말한다

계우포상(繫于苞桑) : 군자지도에 매여 있어서

그때가 되면 소인을 꼼짝 못하게 되는 괘의 때를 말한다.

① 苞: 땅위에 나타나 얶매여 있는 것으로 형이하학적 의미
② 桑: 땅위에 나타나지 않고 얶매여 있는 형이상학적 의미

 

 

☰天

☷地

 

 

 

 

 

[鼎] 九四爻

 

 

子曰 德薄而位尊 知小而謀大 力小而任重 鮮不及矣.

易曰鼎折足 覆公餗 其形 渥 言不勝其任也.

 

餗 : 죽 속

渥 : 두터울 악, 악착할 악

 

 

공자께서 이르시기를

덕이 적어면서 지위가 높고, 지혜가 작으면서 꾀함이 크고

힘이 작으면서 짐이 무거우면 화가 미치지 않는 자가 드물다.

 

역에 이르기를 솥이 부러져 公上에게 바칠 음식을 엎었으니,

형벌이 무거워 흉하다 하였으니 그 임무를 감당하지 못함을 말한 것이다.

 

 

聖人이 하늘에 제사를 지내고, 음식을 통해 군자를 기르는 것이다.

 

이때 음식은 성인지도를 말하고, 그릇은 易을 의미한다.

 

덕이 부족한 사람이 높은 지위와 큰일을 도모하면 화가 미침을 말하고 있다.

 

☲火

☴風

 

 

 

 

 

[豫] 六二爻

 

子曰 知幾其神乎. 君子上交不諂 下交不瀆 其知幾乎. 幾者 動之微吉之先見者也.

君子見幾而作 不俟終日. 易曰 介于石 不終日 貞吉. 介如石焉 寧用終日 斷可知矣.

君子知微知彰 知柔知剛 萬夫之望.

 

諂 : 아첨할 첨

瀆 : 도량 독

俟 : 기다릴 사

寧 : 편안할 녕, 어찌 영, 차라리 영

 

공자께서 이르기를

 

기미를 앎이 그 신묘한 것이다.

 

군자는 위로 사귀되 아첨하지 않고 아래로 사귀되 모독하지 않으니,

기미(幾微)를 아는 것이다.

 

幾는 動함의 은미함으로 吉함이 먼저 나타난 것이니,

군자는 기미(幾微)를 보고 일어나서 하루가 마치기를 기다리지 않으니,

 

易에서 말하기를 절개가 돌과 같으니,

하루를 마치지 않으니, 정貞하고 길吉하다 하였으니,

절개가 돌과 같으니, 어찌 하루를 마치겠는가. 가히 결단함을 알 수 있다.

(절개가 돌과 같다는 것은 豫卦의 의미중의 하나인 희열에 빠져

자신의 본분을 망각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군자는 은미함을 알고 드러남을알며, 柔를 알고 剛을 아니,

많은 필부들이 우러러 바라본다.

(微는 은미한 것(형이상세계, 미래세계), 彰은 드러난 것(형이하세계, 현재세계)
柔剛을 안다는 것은 음양의 세계를 안다는 것이다.)

 

 

豫卦의 의미는

①미리 준비하는 것(예비豫備)

②기뻐하고 즐거워하는 즐거움(열예悅豫)

③놀고 즐기고 게으른 것(일예佚豫) 등이 있다.

여기서는 기미에 대한 내용과 많은 사람들이 기뻐하고 즐거움에 빠져있지만

오직 六二군자는 분수를 지키며,

中正의 길을 돌과 같이 굳게 지키고 있음을 말하고 있다.

 

☷地

 

 

 

 

 

[復] 初九爻

 

 

子曰 顔氏之子 其殆庶幾乎. 有不善 未嘗不知 知之 未嘗復行也.

易曰 不遠復 无祗悔 元吉.

 

殆 : 자못 태, 위태로웅 태, 가까울 태

庶 : 여러 서

嘗 : 일찍이 상, 맛볼 상

祗 : 이를 지, 공경할 지

悔 : 뉘우칠 회

 

공자께서 이르시기를,

 

 “ 顔氏의 아들은 거의 道에 가까울 것인져,

 

不善이 있으면 일찍이 모른 적이 없었고, 알면 일찍이 行하지 않았다.

 

易에 이르기를 ‘멀리가지 않고 돌아와 뉘우침에 이르지 않으니 크게 선하고 길하다' 

 

 

庶幾는 ‘거의 가깝다’ 는 말이다

 

无祗悔 : 祗(공경할 지)는 지至이다. 후회함에 이르지 않는다는 것이다.

 

 

 

※ 참고  <顔回(BC 521- BC490)>

 

 

孔門十哲의 으뜸으로 꼽히는 사람, 자는 자연, 노나라 사람 .

 

安不樂道하는 德行이 뛰어나서 亞聖이라고 불린다. 32세에 孔子보다 앞서 죽었다.

 

'復聖公'이라고도불린다.

 

孔子는 顔回를 아껴 그가 죽자,

 

"하늘이 나를 亡하게 하였구나! 하늘이 나를 亡하게하였구나! (噫! 天喪予! 天喪予!)"

하고 애통해 하셨다.

 

또 論語 先進篇에서 그 애통해함을 너무하다고 생각한 弟子가 묻자

 

"저 사람을 위해 애통해 하지 않고 누구를 위해 애통해 하겠는가" 라고 하였다.

 

 

☷地

 

 

 

 

[損] 六三爻

 

天地絪縕 萬物化醇. 男女構精 萬物化生.

易曰 三人行 則損一人 一人行 則得其友 言致一也.

 

絪 : 하늘 기운 인 = 氣

縕 : 땅 기운 온, 헌 솜 온, 쌓을 온

醇 : 두터울 순, 발효할 순, 진한 술 순, 순수할 순

 

 

天地의 氣運이 얽히고 설킴이(化合) 만물이 化하여 엉기고,

(이를 본받아) 男女가 精을 맺음에 만물이 化生하나니.

易에 이르기를 ‘세 사람이 가는데는 한 사람을 덜고,

한사람이 가는데는 그 벗을 얻는다.‘ 라고 하니, 하나를 이루는 것임을 말함이라.

 

'인絪'은 하늘 기운이 쌓인 것을 의미하며, '온縕'은 땅 기운이 쌓인 것이다.

 

즉, 천지가 사귀기를 서로 엉켜있는 모양을 말한다.

 

이것은 하늘과 땅의 기운이 서로 交合하여 가득찬 것을 말한다.

 

바꾸어 말하면 天地는 기질로써 만물을 낳는 것이다.

 

氣化的인 것을 말한다.

 

천지의 상통은 볼 수도 느낄 수도 없다.

단지 결과로서 나타나서 만물이 육성되어 가는 것을 볼 수 만 있을 뿐이다.

 

형이상학적인 것을 말한다.

 

卦象으로 볼 때 坤의 上爻에 乾의 氣運이 와서 사귄 것이 艮이고,

乾의 上爻에 坤의 기운氣運이 와서 사귄 것이 兌이니,

'천지인온天地絪縕' '남녀구정男女構精'의 象이다.

 

 

天地를 남녀로 비유해서 설명하고 있다.

 

즉 천지지도 = 人道이다. 형이하적인 것을 말한다.

남녀 구정(構精)은 천지가 기질(氣質)로써 만물을 낳는 것과는 달리

남자와 여자는 정수(精髓)를 서로 얽어 후손을 잇는 것이다.

 

男女構精원리로 말하면 陽은 陰을 얻고, 陰은 陽을 얻는다.

 

두 男女가 결함하여 아들과 딸을 낳고,

아들과 딸이 혼인하여 부부를 이루는 繼繼承承, 永遠不滅의 이치로서

生生之理라고 할 수 있다. 

 

남녀로써 만물을 대표하여 썼다.

 

 

三人行 則損一人

① 咸卦 九四효에서 '憧憧往來'하여 느끼는 것이나,

損卦 六三효에서 “칙손일인則損一人, 일인행一人行, 칙득기우則 得其友.” 하는 것이

모두 하나를 이루고자 하는 뜻이다.

② 三人行은 산모의 뱃속에 아이를 가짐, 그래서 父․母․子의 三人行이다.

 

여자가 해산할 損이므로 아이를 낳는 것이 則損一人이다.

 

一人行 則得其友 : 한 사람을 던 사람이 행하니 벗을 얻어서 二人이 된다.

 

 

言致一也

 

하나를 이룬다는 의미이며, 종결에는 각각 하나로 돌아간다는 것이다.

 

부모가 결합하여 三人行이 되었다가 이것을 分家하면 하나로 돌아간다는 것이다.

 

따라서 言致一也는 太極을 말하며, 夫婦歸一의 도통경지를 말한다.

 

이것은 상대적이며, 성相對性위에 太極의 원리가 內在되어 있다.

 

음양이 合致되어 하나를 이룬다는 것이다.

 

결국 2(음양陰陽)는 1에 內包되어 있고, 2는 1에서 始作됨을 말한 것이다.

 

천지인 三才의 상호작용에 따라서 1生2法에서 1生3法

또는 2而1의 歸一法으로 면면히 내려온 生生之理를 말한다.

 

 

☶山

☱澤

 

 

 

 

[益] 上九爻

 

子曰 君子安其身而後動 易其心而後語 定其交而後求. 君子脩此三者 故全也.

危以動 則民不與也. 懼以語 則民不應也. 无交而求 則民不與也. 莫之與 則傷之者至矣. 易曰 莫益之 或擊之 立心勿恒 凶.

 

공자께서 이르시기를  

 

“군자는 그 몸을 편안히 한 뒤에 움지이며, 마음을 화평히 한 뒤에 말하며,

사궘을 전한 뒤 구하니, 군자는 이 세 가지를 닦으므로 온전하나니.

(신상에)위태로움으로서 움직이면 백성들이 더불어 하지 않고,

두려워하면서 말하면 백성들이 응하지 않고,

사궘이 없으면서 구한 즉 백성들이 더불어 하지 아니 하니,

더불어(함께) 하지 않으면 해롭게 하는 자가 이르게 되는 것이니,

 

역에 이르기를 “ 유익만을(구하려 만) 하지마라,

혹 공격할지도 모르니, 마음을 세움에 항상함이 없으면 흉하니라” 고 하였다. 

 

 

 

☴風

 

 

 

계사(하) 2장은 卦의 해설을 8괘의 象을 읽는 방법으로 문명의 발달과정을 서술했고,

계사(하) 5장은 卦해설을 爻位의 관계를 읽는 방법으로 陰陽의 消長관계를 서술한다.

 

역사적인 사건을 예로 서술하고 있기 때문에

人易이 펼쳐지는 문장에 집중하다 보면

중의적으로 서술된 爻의 해석법을 간과할 수 있으니 주의하자.

 

 

咸은 음양의 相拍이다. 설레이는 만남이다.

 

困은 子水의 靜順이고 얼음이 언 상태이고,

解는 자연의 빗장이 풀려 얼음이 녹은 상태이다.

 

噬嗑은 이빨 사이(介)의 음식을 깨무는 모습이니, 其人의 貞의 행위다. (地戶)

 

否는 비색한 세상이니 午月에서 亥月로 向하는 逆行의 때이다.

 

鼎은 묵은 해를 버리고(革) 새로운 날을 맞고자 함이며

 

豫는 治閏을 통하여 어긋난 자연의 시계를 바로잡아 내일(來)을 예측하는 것이다.

 

復은 一陽이 始生하는 때로 죽음(困)을 극복하고 부활(復活)하여

새로운 생명이 소생함이다.

 

損은 씨앗(子水)이 품었던() 陽(木)을 덜어 만물의 출산을 위해 수고로운 때이고,

(順行)

 

益은 펼쳐졌던() 陽을 거둬들여 씨앗(水)으로,

우주의 정신으로 담아내는(皿) 때이다. (逆行) 

 

 

 

 

[澤山괘의 九4爻]

 

 

易曰 憧憧往來 朋從爾思.

 

역(易)에 이르기를

“조바심을 가지고 자주[憧憧] 왕래하면 벗만이 네 생각을 따를 것이다” 하니,

 

 

子曰 天下何思何慮 天下同歸而殊塗. 一致而百慮 天下何思何慮.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였다

 

“천하(天下)에 무엇을 생각하고 무엇을 염려한단 말인가

 

천하(天下)가 돌아가는 것은 같으나 그 길은 다르며,

결과는 하나이나 생각은 백 가지이니,

천하(天下)에 무엇을 생각하고 무엇을 염려한단 말인가”

 

 

日往則月來 月往則日來 日月相推而明生焉. 寒往則暑來 暑往則寒來 寒暑相推而歲成焉.

 

해가 가면 달이 오고 달이 가면 해가 와,

해와 달이 서로 밀어 오고 가니 밝은 빛이 생긴다

 

추위가 가면 더위가 오고 더위가 가면 추위가 와서,

추위와 더위가 서로 밀어 오고 가니 한 해(한 해의 농사)가 이루어진다

 

 

往者 屈也 來者 信也. 屈信相感而利生焉. 尺蠖之屈 以求信也. 龍蛇之蟄 以存身也.

 

가는 것은 굽히는 것이요 오는 것은 펴는 것이니,

굽히는 것과 펴는 것이 서로 감응하여 이로운 것이 생긴다

 

자벌레가 몸을 굽히는 것은 펴기 위해서이고,

용과 뱀이 겨울잠을 자는 것은 몸을 보존하기 위해서다

 

 

易曰 憧憧往來 朋從爾思.

 

咸은 澤(소녀), 山(소년)이니 젊은 청춘 남녀의 사랑이다.

 

어린(童) 마음(心)이 두근두근(憧憧) 요동을 친다.

 

그런데 선천팔괘의 음양의 만남은, 반갑게 달려와 마주잡은 雷風(恒)에 대하여

澤山(恒)은 흠짓 서로에게 놀라 10-1로, 5-9로 물러난다.

 

'갑돌이와 갑순이는 모르는 척 했드래요'다.

 

이러한 물러남은 기쁜 마음으로 달려가 손을 마주잡기(恒) 위한 머뭇거림이다.

 

이것은 해가 뜨고 지는 것과 같이 지극히 자연스러운 행위이다.

 

청춘남녀의 사랑은 어느날 느닷없이 후다닥 감전되듯 느끼어(咸) 시작된다.

 

그들이 무엇을 생각하고 무엇을 염려하겠는가! (何思何慮.)

 

효위설을 설명하기 위해 시작한 계사(하) 5장의 첫번째 괘가 (느끼다)이다.

 

각각의 효들의 부딪치면서 생겨나는 관계, <應位>에 대한 해석을 주의깊게 살펴보자.

 

 

本   互   之(4효변)

☱   ☰   ☵

☶   ☴   ☶

咸     

         발이 묶이다.

     

 

처녀.총각(선녀와 나뭇꾼), 깊은 산속(山)의 연못 두레박(澤), 발이 묶이다.

 

☴는 8木으로 덩굴식물, 하늘의 끈, 두레박

 

이 단락의 주인공은 4효이니까 1효와 응한다.

 

1위는 陽의 자리이고,

4위는 陰의 자리인데 각각 서로 자리를 바꿔 앉아 있으니 좌석불안하다.

 

가슴이 두근두근(憧憧) 뛰는 까닭이다.

 

1효(陰)과 4효(陽)는 서로 끌어당겨 상박하는 형상이 되니 好應하고 있다.

 

게다가 4효는 소녀(澤)의 발바닥이요,

1효는 소년(山)의 발바닥이나 서로 만나고(往來-) 싶어 안달이 났다. 

 

 

 

精義入神 以致用也. 利用安身 以崇德也. 過此以往 未之或知窮神知化 德之盛也.

 

의(義)를 정밀히 연구하여 신묘(神妙)한 경지에 들어가는 것은

쓰는 것을 지극히 하기 위해서요,

 

쓰는 것을 순리롭게 하여 몸을 편안하게 하는 것은 덕(德)을 높이기 위해서이니,

이 부분을 지나 더 나아간다면 알 수가 없는 것이다

 

신(神)을 궁구(窮究)하여 조화를 아는 것은

덕(德)이 성(盛)한 [성인(聖人)의] 경지이다

 

뜻을 정미롭게 하여 신묘함에 들어감은

이로써 백성들에게 널리 쓰임을 이루게 하려 함이다.

 

씀(用)을 이롭게 하여서 몸을 편안하게 하는 것은 이로써 덕을 숭상하는 것이니,

이와같이 지난 일이 지나가나니 미래의 일을 미루어(或) 짐작하려 함이다.

 

신묘한 이치를 연구하여서 변화를 알아 (경세치용하는 것은) 성인의 덕의 성대함이라.

 

(계사상_11장) 聖人以此洗心 退藏於密. 吉凶與民同患. 神以知來 知以藏往.

 

성인(聖人)이 이로써 마음을 깨끗이 비워,

한 발 물러나 정밀한 속에 [이 이치를]감추어 두고 있다

 

길하고 흉한 일에 백성들과 근심을 함께 하여,

신통(神通)한 것으로 미래를 알고 지혜로 지나간 일을 기억한다

 

 


 

[澤水六3爻]

 

 

易曰 困于石 據于蒺蔾 入于其宮 不見其妻 凶.

子曰 非所困而困焉 名必辱. 非所據而據焉 身必危. 旣辱且危 死期將至 妻其可得見邪.

 

역(易)에 이르기를

 

“돌에 곤경을 당하며 가시넝쿨[蒺藜]에 앉아 있다 집에 들어가도

아내를 만나볼 수 없으니 흉하도다” 하니,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였다

 

“곤경을 당할 상대가 아닌데 곤경을 당하니 이름이 반드시 욕될 것이요,

앉아 있을 곳이 아닌데 앉아 있으니 몸이 반드시 위태로울 것이다

이미 욕되고 또 위태로워 죽을 때가 올 것이니, 아내를 만나볼 수 있겠는가”

 

本       互

☱ 澤   ☴ 風 乙木, 덩굴식물, 蒺蔾

☵ 水   ☲ 火 (그물에 갖히다)

困      家人

 

 

困은 감옥에 갖히고(囗) 나무십자가(木)에 메달리는 象이니 困하다.

 

연못(澤)에 물(水)이 머물지 못하고 아래로 모두 빠져버리니

허망하기 그지 없고 쓰일모도 없다.

 

이 문장의 주인공은 3효(- -)로 변방의 으뜸제후다.

 

위아래로 강력한 陽에 갖혀있다.

 

<乘承>에 대한 예제이다.

 

陰(- -)은 小人이요 부족한 자이며,

陽(一)은 大人이며 강건하며 세력이 굳건한 자이다.

 

困의 3효(- -)는 위로는 강력한 후원자(一)의 힘을 업고() 비호를 받고 있으며

아래로는 자기의 부족한 능력(- -)에 비하여서 과분한 큰 자리(一)에 앉아있다().

 

그러나 스스로는 그 자리를 감당하지 못할 소인(- -)이니

앉은 자리가 오히려 감옥이 되었다.

 

또한 3효(- -)는 6효(- -)와 같은 陰으로 서로 불응한다.

 

이렇게 上下不應, 陰陽不應, 二氣不合하니 어찌 곤경스럽지 않겠는가!

 

오행의 괘를 모두 구비하였다. ☱(金) ☵(水) ☴(木) ☲(火)

 

오행을 두루 갖추고 있어 곤할바가 아닌데도 곤하다.

(정치를 잘못하다, 말을 삼가하지 못하다)

 

 

互      之

☴      ☱

☲      ☴

家      大

人      過

 

☴(8木-덩굴식물-거칠다) ☲(言) = 거친말, 말을 삼가하지 못하여 화를 불러들이다.  (家人 - 愼言)

 

☱(서방 金-체벌), ☴(덩굴식물-묶이다) = 큰잘못(大過 - 큰죄를 지어 형벌을 받음

-반역을 모의함)

 

 

* 역사적으로 주공이 관숙과 채숙을 총독으로 나라를 맡겼는데

어린 왕을 몰아내려고 반역을 모의하다가 죽음을 당함

 

 

 

 

[雷水의 上6爻]

 

易曰 公用射隼于高墉之上 獲之 无不利. 子曰 隼者 禽也 弓矢者 器也 射之者 人也.

君子藏器於身 待時而動 何不利之有. 動而不括 是以出而有獲 語成器而動者也.

 

역(易)에 이르기를

 

“공(公)이 높은 담장 위에 있는 새매를 쏘아 잡으니, 이롭지 않은 것이 없도다” 하니,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였다

 

“새매[준(隼)]는 새이고, 궁시(弓矢)는 기물이며,쏘는 자는 사람이다

 

군자가 기물을 몸에 보관하였다가 때를 기다려 동하면,

어찌 이롭지 않은 것이 있겠는가 동하는 데에 막히지 않는다

 

이 때문에 나가면 얻는 것이 있는 것이니, 기물을 만들어서 동하는 자를 말한 것이다”

 

 

뢰수해의 상효(주공)와 3효(어린 왕의 숙부들인 관숙과 채숙)가 이 문장의 주인공이다.

 

3효는 下卦의 3번째로 자리로 담장으로 표현하고

그 자리(2,3,4爻)에 앉은 火象을 새뫼(隼)로 표현하였다.

 

5황제의 숙부이니 윗문장에서 만났던 承乘한 소인(--)이다.

 

능력과 지모가 떨어지는 이가 윗자리(一)에 앉아 세상을 어지럽히고 있다.

 

6爻는 각각 인간세상(天下)의 상하관계와 內外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上卦가 5黃帝의 자리에서 가까운 고위관직,

높은 윗분(관료-임금-상왕)의 자리라고 한다면

下卦는 변방의 제후-선비-백성으로 이루어진 자리(位)이다.

 

上卦는 적인 자리로 外卦가 되고 下卦는 인 자리로 內卦가 된다.

 

문제가 되고 있는 3효의 주인공은 內卦(숙부)의 위치에 자리하고 있어

<집안>의 문제꺼리다.

 

 

本   互   之

☳   ☵   ☲   

☵   ☲   ☵      

解   旣   未

      濟   濟

 

 

公用射隼于高墉之上 獲之 无不利.

 

높은 담장위에(于) 있는 새뫼를 쏘아 맞추어(射隼:석준) 잡았으니 이롭지 않음이 없다.

 

 

子曰 者 禽也                         

 

隼(南)으로 물질문명, 물질을 좋아하는 자를 비유함,

 

정신문명이 매우 위태로운 상황을 말함

 

 

弓矢者 也                              

 

射(弓矢-☳木)는 , 그릇-능력-힘-지혜로움-德을 갖추고 있는 군자

 

 

射之者 也. 其人,                    

 

其人, 지혜와 덕행이 완비되어 있는 군자

 

 

君子藏器於身 待時而動              

 

지혜와 덕행을 몸에 갖추어 두고 때에 맞추어(時中) 행하니, (智慧-乘勢-得時)

 

 

何不之有.                              

 

군자가 그릇을 몸에 감추고, 때를 기다려 움직인다면 어찌 이롭지 아니하겠는가!

 

 

動而不                                  

 

움직이는데 막히지(括-묶을 괄) 않음이라.

 

 

是以出而有獲 語成器而動者也.   

 

이로써 나아가서 획득함이 있으니, <그릇을 이루고 움직이다>함을 말함이라.

 

그런데, 우리는 이 문장에서 중의적인 또다른 의미를 알아차려야 한다.

 

(咸) 同人이 함께 일을 도모하여 새로운 나라를 건설함

(困) 내부에 반란자가 생김

(解) 시끄럽게 굴던 새뫼(隼)를 쏘아 맞춤

 

(咸) 음양이 만나다

(困) 만물의 죽음 (씨앗), 꽃에서 씨앗으로 向하는 것은 旣濟 (逆行)

(解) 만물의 소생 (싹틈), 씨앗에서 꽃으로 向하는 것은 未濟 (順行)

 

咸괘는 31번째 괘로 주역 하경을 시작하는 첫번째 괘이다.

 

水(남) 火(여)가 만나 만물을 낳는다.

 

땅의 출발점은 子方에 있다. 땅이 호흡하는 문이다.

 

(, 땅이 열리다) - (北斗-地戶一陽이 始生하다) - (, 陽이 잠장되다)

 

문득 땅속에 잠들어 있던 一陽(木)이 깨어나 動하려 하나 땅은 얼어있다(囗).

 

 

활시위를 당기고 있는자(弓矢)는 亥(水)에 위치하고 巳(火)를 향해 활을 쏜다.

 

隼, 十은 펼쳐지다,

 

隹(새)는 朱雀으로 午(火)의 상태가 된다. 만물이 활짝 펼쳐져 있다.

 

弓矢가 쏜 화살이 未濟강을 건넜다. 解이다.

 

하는 목표는 풍요로운 만물의 방창함(旣濟)이다.

 

隼 - 午 - 朱는 卜(화살)이 꽂혀있는 글자들이다.

 

이때는 亢龍有悔라 陽의 극대 발산점으로 散失될 위험이 있으니

금화교역(金-矢-추수-전쟁)의 때이다.

 

子午의 두 때는 자연의 2至點이니,

출발도 屯으로 힘들고 蒙도 다음 세대를 준비해야 하는 때이니 고달프다.

 

 

 

 

[火雷噬嗑의 初九爻와 上九爻]


 

子曰 小人 不恥不仁 不畏不義. 不見利 不勸 不威 不懲. 小懲而大誡 此小人之福也.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였다

 

“소인(小人)은 자신이 인(仁)하지 않은 것을 부끄러워하지 않고,

자신이 의(義)롭지 않은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이익을 보지 않으면 선을 하려고 노력하지 않고,

위엄으로 두렵게 하지 않으면 잘못에 대해 징계하지 않으니,

조금 징계하여 큰 잘못을 범하지 않도록 경계하는 것은 소인(小人)의 복이다

 

易曰 屨校 滅趾 无咎 此之謂也.
善不積 不足以成名 惡不積 不足以滅身. 小人 以小善 爲无益而弗爲也.

以小惡 爲无傷而弗去也.

故惡積而不可掩 罪大而不可解. 易曰 何校 滅耳 凶.

 

역(易)에 이르기를

 

‘발에 차꼬를 채워 발꿈치를 상하게 하니, 허물이 없다’ 하였으니,

 

이것을 말한 것이다.

 

선(善)이 쌓이지 않으면 이름을 이룰 수 없고,

악(惡)이 쌓이지 않으면 몸을 멸할 수 없다

 

소인(小人)은 작은 선(善)을 무익(無益)하다 하여 행하지 않고,

작은 악(惡)을 무방(無妨)하다 하여 버리지 않는다

 

그러므로 악(惡)이 쌓여 덮을 수 없고 죄(罪)가 커져서 해결할 수 없는 것이니,

역(易)에 이르기를 ‘목에 차꼬를 써서 귀가 덮어지니, 흉하도다’ 하였다”

 

 

本   

☲   

☳   

   

 

 

호랑이 이빨에 뼈다귀가 바스러지다, 이물질을 봐수다 - 형벌에 관련된 卦

 

屨校 滅趾 :  발에 형틀을 하여서(屨校구교: 신발구屨, 형틀교校) 발꿈치를 멸하니

                 (滅趾)

何校 滅耳 :  何校(=荷校 형틀에 메다), 형틀에 메어 귀를 멸하니 흉하다.

 

(掩)     :  가리다, 숨기다, 감추다, 붙잡다, 덮쳐 빼앗다

 

噬嗑의 卦는 형벌로 다스림을 받는 자에 대한 이야기이다.

 

초효는 아래에 있는 거만한 小人이니 그 작은 죄를 다스려 큰 죄를 예방하며

상효는 윗자리에 있는 교만한 小人이니 그 죄가 감당하지 못할만큼 자란 상태이다.

 

큰 벌을 면치 못할 것이다.

 

여기서 爻의 위치(位)는 初爻부터 차례로 시간이 더해짐을 나타내고 있다.

 

일의 시작과 끝,

 

싹틈과 자라남을 비유하여 효의 位에 따른 물상과 시간의 經過를 보여주고 있다.

 

 

 

 

[天地의 九五爻]


子曰 危者 安其位者也. 亡者 保其存者也. 亂者 有其治者也.

是故君子安而不忘危 存而不忘亡 治而不忘亂. 是以身而國家可保也.

易曰 其亡其亡 繫于包桑.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였다

 

“위태롭게 여기는 것은 그 지위를 편안하게 하는 방도이고,

망하지 않을까 걱정하는 것은 그 생존을 보존하는 방도이고,

혼란스러워질까 염려하는 것은 그 다스려지는 상태를 유지하는 방도이다

 

이 때문에 군자는 편안할 때에도 위태로워질 수 있다는 것을 잊지 않고,

보존되어도 망할 수 있다는 것을 잊지 않고,

다스려져도 혼란스러워질 수 있다는 것을 잊지 않는다

 

이 때문에 몸이 편안하고 국가(國家)가 보존될 수 있는 것이니,

 

역(易)에 이르기를

‘망하지 않을까 망하지 않을까 하고 두려워하여야

총생(叢生)하는 뽕나무에 매어놓듯 튼튼하다’ 하였다

 

 

하늘은 위로, 땅은 아래로 천지가 서로 반복하니 모든 것이 비색하여 막힌 상황이다.

 

九五爻는 임금의 자리이니, 어려움에 처한(休否) 나라를 다스리는 왕의 처신으로,

대인이라야 험난하고 위태로운 상황(비색한 상황)을 극복할 수 있음을 말하고 있다.


 

本    互   之

☰    ☴   ☲

☷    ☶   ☷

否    漸   晉

 

繫于苟(包)桑 : 우묵한, 뿌리가 단단한 뽕나무(包桑)에 메어두다(繫).

 

 

 

 

 

[火風4九爻]

 

子曰 德薄而位尊 知小而謀大 力小而任重 鮮不及矣.

易曰鼎折足 覆公餗 其形 渥 言不勝其任也.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였다

 

“덕(德)이 작으면서 지위가 높고, 지혜가 작으면서 계획하는 것이 크며,

힘이 작으면서 짐이 무거우면, 화를 당하지 않을 자가 드물다

역(易)에 이르기를 ‘솥이 발이 부러져서나라의 음식을 뒤엎었으니,

그 얼굴이 무안하여 땀이나는 것이다 흉하도다’ 하였으니,

그 임무를 감당하지 못하는 것을 말한 것이다”
 

 

本   互   之

☲   ☱   ☶

☴   ☰   ☴

鼎   夬   蠱

 

夬는 다 된 밥을 쏟아버리다.

 

蠱은 벌레가 들끓어 내부에 문제가 생기다.

 

5효는 어린 왕, 6효는 섭정하는 주공

 

4효는 음의 자리에 양이 자리를 차지하고 있어,

제 힘을 믿고 어린왕의 자리를 넘보는 상황이다.

 

 

 

 

[雷地의 六2효]

 

子曰 知幾其神乎. 君子上交不諂 下交不瀆 其知幾乎. 幾者 動之微吉之先見者也.

君子見幾而作 不俟終日.

易曰 介于石 不終日 貞吉. 介如石焉 寧用終日 斷可知矣.

君子知微知彰 知柔知剛 萬夫之望.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였다

 

“기미(幾微)를 아는 것은 신묘(神妙)하다 할 것이다

 

군자는 윗사람과 사귈 때 아첨하지 않고 아랫사람과 사귈 때 함부로 하지 않으니,

기미를 아는 것이다

 

기미란 은미하게 동하는 것이니, 길(吉)ㆍ흉(凶)보다 먼저 나타나는 것이다

 

군자는 기미를 보면 당장 일어나 떠나, 그 날 하루가 다가기를 기다리지 않는다

 

역(易)에 이르기를

 

‘절개가 돌과 같아하루가 끝나기를 기다리지 않고 떠나가니, 정(貞)하고 길(吉)하다’

하였다

 

절개가 돌과 같으니, 어찌 하루가 끝나기를 기다리겠는가 결단을 내릴 것을 알 수 있다

 

군자는 은미한 것을 알고 드러난 것을 알며, 유(柔)할 줄을 알고 강(剛)할 줄을 아니,

만부(萬夫)가 우러러 바라보는 대상이다”

 

 

本    互    之

☳    ☵    ☳(春)

☷    ☶    ☵(冬)

豫    蹇    解

 

豫 : 땅의 미세한 흔들림을 통해 상황을 예견하여 미리 준비하다. 기쁘다. 즐겁다. 음악

蹇 : 겨울에 은둔하여(艮) 자신을 수양하는 군자이니, 근심하지 않음이라.

解 : 봄이 오면, 때에 이르면 吉하다.

 

 

 

 

[地雷의 初九爻]

 

子曰 顔氏之子 其殆庶幾乎. 有不善 未嘗不知 知之 未嘗復行也.

易曰 不遠復 无祗悔 元吉.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였다

 

“안씨(顔氏)의 아들 안회(顔回)는 거의 도(道)에 가깝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자기에게 선(善)하지 못한 점이 있으면 알지 못한 적이 없고,알면 반복한 적이 없다

 

역(易)에 이르기를

 

‘멀리 가지 않고 돌아와후회하는데 이르지 않으니, 크게 선(善)하여 길(吉)하다’ 하였다

 

 

☷地   

☳雷   

 

 

困과 復(부활, 소생)의 관계는 그리스도 신앙의 모티브가 숨어있다.

 

주역의 64괘의 핵심어는 困이며 復이다.

 

죽음을 이겨내고 蘇生한 一陽(木)에 대한 스토리가 주역이다.

 

이 아름다운 순간에 공자는 자신보다 먼저 세상을 떠난 제자 안회를 생각했다.

 

그만큼 안타깝고 가슴아픈 떠나보냄이었던가 보다.

 

내 곁을 떠난 죽은이가 봄날의 새싹처럼

그리 밝고 환한 웃음으로 돌아와 줄 수 있다면 얼마나 좋으랴! 

 

 

 

 

[山澤의 六3爻]

 

天地絪縕 萬物化醇. 男女構精 萬物化生.

易曰 三人行 則一人 一人行 則得其友 言致一也.

 

천지(天地)의 기운이 얽히고 설키니, 만물(萬物)이 화(化)하여 뭉쳐진다

 

남녀(男女)가 정(精)을 맺으니,만물(萬物)이 화생(化生)한다

 

역(易)에 이르기를

 

‘세 사람이 갈 때에는 한 사람을 덜고,한 사람이 갈 때에는 그 벗을 얻는도다’ 하였으니,

하나에 지극히 하는 것을 말한 것이다”

 

 

☶山

☱澤


三人行 則損一人 

 

삼인이 행하면 한명을 잃고,         

(解) 음양이 상박하여 품었던 자식을 출산하고,

 

 

一人行 則得其友  일인이 행하면 그 벗을 얻음이니,  

(咸) 일인일때는 음양이 서로를 끌어당기다.

 

 

 

 

[風雷의 上九爻]

 

子曰 君子安其身而後動 易其心而後語 定其交而後求.

君子脩此三者 故全也. 危以動 則民不與也.

懼以語 則民不應也. 无交而求 則民不與也.

莫之與 則傷之者至矣. 易曰 莫益之 或擊之 立心勿恒 凶.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였다

 

“군자는 자신의 몸을 편안하게 한 뒤에 동하며,

자기의 마음을 화평하게 한 뒤에 말하며, 남과 사귀는 것을 안정되게 한 뒤에 구한다

 

군자는 이 세 가지를 닦으므로 온전한 것이다

 

자신이 불안한 처지에 있으면서 동하려 하면 백성들이 따라주지 않고,

두려워하면서 말하면 백성들이 응하지 않고,

교분이 없는데 요구하면 백성들이 들어주지 않으니,

아무도 따라주지 않으면 해롭게 할 자가 이를 것이다

 

역(易)에 이르기를

 

‘유익하게 해주는 이가 없다 혹은 공격할 것이니,

마음을 세움에 항상하지 말아야 하니, 흉(凶)하다’ 하였다”

 

 

☴風

☳雷

 

 

弘益의 정신, 損은 아래에서 덜어서 위를 보태고,

益은 위에서 아래에 보태는 것을 말함

 

(身) 君子安其身而後動        

군자는 그 몸이 편안한 후에 움직이고    

 

(心) 易其心而後語             

그 마음이 밝혀 정해진(易) 후에 논의하며   

 

(交) 定其交而後求.            

그 사귐의 관계를 가지런히 한 후에 구하나니 (현인을 등용하다)

 

 

 

 

 

 

 

第六章, 書易을 통해 하늘이 뜻이 펼쳐지다

 

 

 

子曰 乾坤 其易之門邪. 乾 陽物也 坤 陰物也. 陰陽合德 而剛柔有體.

以體天地之撰 以通神明之德也.

 

撰 : 지을 찬, 가릴 선

 

 

공자(孔子)께서 이르시기를

 

“건(乾)ㆍ곤(坤)은 역(易)의 문(門)인가?

 

건(乾)은 양물(陽物)이고, 곤(坤)은 음물(陰物)이니

음(陰)ㆍ양(陽)이 덕(德)을 합하여 강(剛)ㆍ유(柔)의 체(體)가 있게 되었다

 

이로써 천지(天地)의 일을 체행(體行)(체험)하고,

신명(神明)의 덕(德)을 통(通)한다.

 

 

건곤이 道의 문으로 易道를 통해서 건곤지도가 밝혀진다.

 

음양합덕은 건곤합덕으로 음양이 體가 되고, 柔剛는 用이 된다.

 

用九用六원리에 의해서 주역이 밝혀짐을 분명하게 알 수 있다.(존재론적 언급)

 

①‘撰’(지을 찬)(근본, 엑기스)은 도道이다.

②‘物’은 도덕적인 昇華를 거친 것으로 존재이다.

 

天地之道는 천지의 성정을 나타낸 것이며, 天地之撰도 천지의 성정을 드러낸 것이다.

 

人道적 입장으로 通神明之德의 德은 人格的문제로서

乾坤도 天地의 本性을 인격적으로 표상한 것이다.

 

그로므로 인간의 심성내면적 존재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天人合一이 이루어지는 곳이 인간 심성내면임을 드러나게 된다.

 

撰은 천지의 대표적인 물건이나 법칙을 말한다. 

 

주역의 이치를 체득하면 모든 이치를 알 수 있다는 것이다.

 

천지의 조화를 체험한다는 것이다.

‘撰’은 지을 찬으로 일(事), 짓는다, 갖추다 (具)의 뜻이고,

‘體'란 형용해서 본받는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주역 64괘로써 천하의 모든 일을 형용해서 갖춘다는 뜻이다.

 

 

以通神明之德

① 易을 통해서 은미한 곳에 존재하는 이치는 물론이고,

모든 사물의 이치를 귀신처럼 알 수 있어 밝은 덕에 까지 통달 할 수 있다는 것이다.

② ‘神明之德’이란 乾의 강건한 덕과 곤坤의 유순한 정덕靜德을 뜻하며,

이러한 德은 형태가 없으므로 그 이치를 궁구히 해서 ‘通’한다고 한 것이다.

 

즉 64괘의 乾坤動靜에 통하면 神明의 조화를 모두 알 수 있다는 뜻이다.

 

 

其稱名也 雜而不越. 於稽其類 其衰世之意耶.

 

稽 : 상고할 계, 머무를 계

 

( 내용을 살펴 볼 때) 그 이름을 稱함이 잡란하면서도 어그러지지(넘지) 아니하나,

그 종류를 상고함에는 쇠퇴한 세상의 뜻이 아니겠는가?

 

주역卦순서가 복희伏羲씨 때의 자연적인 순서로 놓인 것과는 달리 섞어 놓았으나

64괘 밖을 넘어가지 않았고,

그 음양의 섞인 뜻을 상고해 볼 때

殷나라 말엽의 紂王과 文王의 일을 엮어 놓은 것이다.

 

복희伏羲씨 때의 易은 ‘일건천一乾天, 이태택二兌澤, 삼리화三離火……

팔곤지八坤地’의 자연적인 순서로 이루어졌고,

또 이를 거듭한 복희伏羲64괘 역시 자연적인 순서로 되어있으나, 

주역은 건乾·곤坤·둔屯·몽蒙... 의 순서로 섞어 놓았다.

 

그러나 64괘라는 틀 밖으로는 넘어가지 않았음을 말한다.

 

또 괘명에 있어 鼎· 井등과 같이 사물의 이름으로 표현한 것도 있고,

屯· 蒙등과 같이 일의 변화로써 이름한 것도 있지만,

양의 德이나 剛柔에서 벗어나지 않음을 뜻한다.

 

 

夫易 彰往而察來 而微顯闡幽 開而當名.辨物 正言 斷辭 則備矣.

 

闡 : 열 천 

 

무릇 易은 지나간 것을 밝혀서 오는 것을(미래를) 살피며,

드러남을 은미하게 하고 그윽함을 밝히며,

(괘와 효를) 열어서 명칭에 마땅하게 하고, 사물을 분별하며,

말을 바르게 하고 말을 결단(판단)하니 곧(위의 6종류를) 구비한 것이다.

 

易의 내용은

 

①음양소장하는 천지의 이치를 밝혀서 미래의 길흉회린을 살피며,

人事의 드러나 있는 일이 天道의 미미한 조짐에 근본하여 발생한 것이며

 

天道의 그윽한 조짐에서 앞으로 드러날 일을 밝힐 수 있게 하며,

 

③각 爻位에 해당하는 명칭을 하고,

 

卦象에 해당하는 사물을 分別하며,

 

⑤‘當名’ ‘變物’에 따른 상황및 象을 바로 표현하며,

 

⑥ 그 길흉을 판단하는 말을 했으니 (彖辭)에 易에 모든 것이 다 갖추어진 것이다.

 

 


 

其稱名也小 其取類也大 其旨遠 其辭文.

其言曲而中 其事肆而隱. 因貳濟民行 以明失得之報.

 

肆 : 진열할 사, 가계 사, 궁구할 사, 베풀 사, 방자할 사

貳 : 의심할 이, 두 이 

濟 : 건질 제, 건널 제

報 : 갚을 보, 보고할 보, 알려줄 보

 

 

(易은) 그 이름을 칭함은 작으나 類를 취함은 크며,

그 뜻이 원대하고 말이 문채하며, 말이 곡진하면서도 (모든 사물에)맞으며,

(역이 설명하고 있는) 일이 진열되어 있으면서 (이치는) 은미하니,

(이러한) 의문으로 인하여 백성의 행함을 (불선에서) 구제하여

실득(길흉)의 응보를 밝힌 것이다.

 

세상의 모든 이치가 건곤으로부터 나와 주역 속에 갖추어졌으며,

이러한 이치를 백성에게 가르침으로써

백성에게 일어나는 모든 일에 원인이 있음을 깨닫게 하여,

올바른 길로 인도하는데 있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第七章, 君子의 9德3陳

 

 

 

易之興也 其於中古乎 作易者 其有憂患乎.

 

역의 흥함은 그 中古시대인져!

 

역을 지은 자는 어떤 우환이 있었을까?

 

 

作易者는 文王과 周公을 말한다.

 

문왕이 세상을 근심하면서 주역을 연역하였으니 우환이 있다고 하였다.

 

上古의 복희伏羲씨 때는 64괘만 있었고 괘·효사가 없던 것을

문왕과 주공이 괘사효사를 붙였다.

 

 

계사 제6장의 내용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德으로써 행하여 한다.

따라서 제7章에서는 64괘중에서 덕행을 갖추어 모운 것을 3차례를 통해

의 특징과 작용과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그러므로 三陳九德卦라고 한다.

乾卦를 기본으로 하여 天道인 하도 九德卦(用九원리)가

낙서원리를 통해서 드러나고 있다. 體十用九원리이다.

 

乾卦 三爻에서 四爻(선후천원리)로 利涉大川하기 위해서는

進德修業한 군자만이 후천으로 갈 수 있다.

 

이때는 위험하여 조심해야할 처지이며(履卦),

겸손한 군자(謙卦)만이 이섭대천의 주역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是故

履 德之基也. 譧 德之柄也. 復 德之本也.

恒 德之固也. 損 德之修也. 益 德之裕也.

困 德之辨也. 井 德之地也. 巽 德之制也.

 

그러므로

이(履)는 덕(德)의 터요,

겸(謙)은 덕(德)의 자루요,

복(復)은 덕(德)의 근본이요,

항(恒)은 덕(德)의 굳이요,

손(損)은 덕(德)의 닦음이요,

익(益)은 덕(德)의 넉넉함이요,

곤(困)은 덕(德)의 분별함이요,

정(井)은 덕(德)의 땅이요,

손(巽)은 덕(德)의 지음이다.

 

 

九德괘의 특징을 설명하고 있다.

 

1) 德之基也

天澤履禮를 실천하는 卦이다.

 

예절이 기초가 되어야 다른 활동이 이루어지므로 履는 德의 터가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德之基也란 履卦는

항상 두려워하고 조심, 반성하는 수양하는 뜻을 가지고 있다.

 

2) 謙 稱物平施

地山謙은 군자지도를 말하며,

德之柄也란 德을 실행하는데는 자루처럼 하라는 것이다.

 

물건을 잡는데는 그 자루(柄)를 잡아야 바로 쓸 수 있듯이

군자가 사람이나 일에 있어서 겸손을 잡아야 稱物平施할 수 있는 것이다.

 

 

3) 德之本也

地雷復은 本性의 회복을 말하며,

德之本也란 겸손과 예를 행하여 道를 회복하다면

德의 근본이 된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4) 恒 德之固也

雷風恒은 恒常함을 말하며,

德之固也란 恒心으로 하면 德을 공고히 할 수 있음을 말한다. 즉, 恒德이다.

 

 

5) 損 德之修也

山澤損이다.

 

德之修也란 修는 수신이며, 인간육신의 욕구와 욕망을 덜어내는 德의 수양을 말한다.

 

 

6) 益 德之裕也

풍뇌익風雷益이다.

 

德之裕也란 위를 덜어 아래가 넉넉해 짐을 말한다.

 

德을 실천함에 항상 남에게 유익되기를 힘쓰는 것이다.

 

 

7) 困 德之辨也

澤水困이다.

 

德之辨也란 德의 분별이다. 곤궁할 때 사람의 德을 잘 分辨할 수 있음을 말한다.

 

 

8) 井 德之地也

水風井은 낙서원리, 왕도정치이다.

 

德之地也란 우물이 땅처럼 움직이지 않고 만물을 길러주는 확고부동한 德을 말한다.

 

 

9) 巽 德之制也

重風巽이다.

 

德之制也란 木道원리로 德을 마름질(制裁)함을 말한다.

 

즉, 巽은 申命行使의 德으로 모든 일을 끝내야함을 말한다.


 

 

履 和而至. 譧尊而光. 復 小而辨於物.

恒 雜而不厭. 損先難而後易. 益 長裕而不設.

困 窮而通. 井 居其所而遷. 巽 稱而隱.

 

履는 和하되 지극하고,

謙은 높되 빛나고,

復은 작되 물건을 분별하고,

恒은 섞이되 싫어하지 아니하고,

損은 먼저는 어렵되 나중은 쉽고,

益은 길고 넉넉하되 베풀지아니하고,

困은 궁하되 통하고,

井은 그 장소에( 거할 바에) 거하되 옮기고,

巽은 맞추되 (저울질 하되) 숨기니라.

 

九德卦의 작용을 설명하고 있다.

 

1) 履 和而至

履卦의 和而至는 禮로써 몸가짐을 조심하기 때문에 남들과 和合하고,

履로서 자기가 지켜야 할 바를 도달할 수 있다.

① 履는 神과 人의 만남의 원리이다.

② 和는 和合, 合德을 의미한다.

 

 

2) 謙 尊而光

謙卦의 尊而光은 남을 존중함으로써 더불어 그 德이 빛나는 것이다.

 

謙괘 단사 에서 “謙 尊而光, 卑而不可踰, 君子之終也.” 라고 한 뜻이 이것이다.

 

 

3) 小而辨於物

復卦一陽이 始生하는 것은 미미한 것이나,

사물을 분별하여 중정지도를 회복하는 덕이 있다.

 

① 復은 인간 본성을 말한다. 小는 씨를 말한다.

辨於物은 주체적 자각이며, 형이상·하를 다 내포하고 있다.

③ 이때 物은 = 道(本) + 器(末)이다(형이상·하를 전부 말함).

 

 

4) 恒 雜而不厭

잡란한 것과 서로 섞여 있으나(雜= 착종錯綜= 합덕合德의미),
이를 싫어하거나 꺼리지 않고 應하며,

그 속에서도 중정지도를 지켜 立不易方한다는 것이다.

① 外互卦는 兌金이고, 內互卦는 乾金으로 단단한 德이 숨어 있다.

② 一德은 성인지도를 말한다.

 

 

5) 先難而後易

① 자신을 덜어내며, 덕을 닦는 것은 어렵고 힘든 일이나 (선천은 難),

그 덕이 닦일수록 이치에 순응하여 행동하니 쉽게 되는 것이다 (后天은 이易).

② 덕을 닦아 천명에 순종하는 것이 彖辭에서 말한 '損益盈虛 與時偕行'인 것이다.

 

 

6) 益 長裕而不設

① 남을 유익하게 하되 함부로 드러내지 않음을 말한다.

② 그 덕을 넉넉하게 하되, 억지로 베풀지 않는 것이다.

 

 

7) 困 窮而通

① 困은 곤궁의 극치에 이름을 말하나 변화로 통하는 것이다.(선천의 終)

② 주자는 “몸은 곤궁하나 도는 오히혀 형통하다.(身困以道亨)” 고 하였다.

 

 

8) 井 居其所而遷

사람과 물건은 다른 곳으로 옮길 수 있지만 우물은 옮길 수가 없다.

 

다만, 사람과 만물에 물을 공급하는 덕을 행한다.

 

 

9) 巽 稱而隱

① 巽은 神明· 天命의 卦로서 사람은 命에 따라 실천한다는 것이다.

② 天命에 순종하여 매사를 輕重大小에 따라 저울질하여 시의성에 맞도록

적절히 처리하지만 겸손하여 자신을 드러내지 않고 은밀히 한다는 것이다.


 

 

 

履 以和行. 譧以制禮. 復 以自知.

恒以一德. 損以遠害. 益以興利.

困以寡以怨. 井以辨義. 巽以行權.

 

履로써 행함을 화려하게 하고,

謙으로 예를 따르고,

復으로서 스스로 알고,

恒으로서 한결같이 하고,

損으로서 해로움을 멀리하고,

益으로서 이로움을 일으키고,

困으로서 원망을 적게하고,

井으로서 義를 분별하고,

巽으로서 저울질하면서 은미하게 행한다.

 

 

九德로 利涉大川의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1) 履以和行

德의 기틀인 履가 和以知하니, 이것이 바로 화합하여 행하는 것이다.

 

禮를 행함이 和行이다.

 

 

2) 謙以制禮

德의 자루인 謙이 尊而光하니,

그 높고도 빛나는 德으로 事物을 접대하는 禮를 따른다는 것이다.

 

겸손함으로 예를 따를 수 있다는 것이다.

 

 

3)復以自知

덕의 근본인 復이 '所以辯於物'하니,

그 분별하는 德으로 하늘로부터 부여받은 性品(본성)을 회복함이 스스로 아는 것이다.

 

復은 선한 본성을 자각하는 것이다.

 

 

4) 恒以一德

德의 견고함인 恒이 섞여서 조화를 이루되 본래의 굳건한 德을 잃지 않아

하나로 보존하는 까닭에 全一한 德이 되는 것이다.

① 恒卦는 乾卦의 대행자이다.

 

하나님의 덕성은 恒괘를 통해서 드러난다.

 

體十用九의 바탕이 된다.

② 乾은 十數로서 작용은 하지 않는다.

 

 

5) 損以遠害

덕의 닦음인 損이 자신을 닦으니, 덕을 손상시키는 인욕을 멀리할 수 있는 것이다.

 

즉, 구덕괘로 하여 모든 덕이 갖추어 졌으니,

덕의 지음인 損이 九德의 일을 마무리하는 것이다.

 

어려움을 헤쳐 나가는 아홉 가지 德이 이루어짐에,

하늘의 命을 받아 펼치는 것이 '神明行事'하는 것이다.

 

 

6) 益以興利

德의 넉넉함인 益이 하늘의 덕을 더하여 베푸니

덕의 利益인 天理를 興盛하게 하는 것이다.

 

바른 생각과 행동을 할수록 이로움이 생긴다는 것이다.

 

 

7) 困以寡怨

德의 분별함인 困이 '窮以通'하여 자신의 위치를 잃지 않으니,

樂天知命하여 곤궁한 처지에 대한 원망을 적게하는 것이다.

 

 

8) 井以辨

德의 터전인 井이 만물을 끊임없이 기르니, 天理의 마땅한 義理를 분별하는 것이다.

 

즉 모든 德의 베풂은 井에서 이루어지니,

음양이 서로 조화하여 만물을 이루어 서로를 이익되게 하는 것이다.

 

 

9) 巽以行權

巽으로써 때를 맞추어 행하는 道이다.

 

權은 저울추로써 저울로 輕重을 재는 것처럼

그 마땅함에 벗어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

 

 

九德괘는 體十用九원리로 乾이 體가 된다.

 

九德을 통해서 성인지도, 천도운행원리를 표상한다.

 

恒을 바탕으로 성인지도를 밝히고 있다.


 

履-----謙-----複----------損·益-----困·井-----巽(七日來復원리)
↳-----(3宮)---↲                    ↳--------(3宮)-----↲

 

 

 

 

 

 

 

 

第八章, 주역의 글을 법도로 삼아 살아가다

 

 

 

易之爲書也 不可遠 爲道也 屢遷. 

 

屢 : 여러 루, 거듭 루, 창 루 

 

易이 글이 됨은 가히 멀지 아니함이요,

(역이) 道됨은 여러 번 옮김이라(변화지도)

 

 

계사편 전체의 결론부분으로 中道를 근거로 육효중괘 형성의 근거를 서술하고 있다.

易道와 인간의 관계를 연결한 것이 군자지도이다.

 

易道는 변동하여 한곳에 머물러 있지 않고 六虛(上下四方, 六爻卦)의 세계를

두루 흐르는 것으로 형이상과 형이하의 세계를 度數로 출입함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屢遷, 變動不居, 无常, 唯變所適이라 하는 것이다.

 

따라서 易道가 變化之道임을 알 수 있다.

 

 

 

變動不居 周流六虛.上下无常 剛柔相易. 不可以典要 唯變所適.

 

變하고 움직여서 머물지 않아 여섯 빈자리에 두루다니며

오르고 내림에 항상함이 없으며, 剛柔가 서로 交易하여 典要를 삼을 수 없고

오직 변화하여 나아가는 바이니,

 

 

괘효역학의 측면으로 보면 卦爻가 陰과 陽이 변동하여 일정한 자리에 있지 않고,

卦의 여섯 자리를 두루 다니며, 혹 오르기도 하고 혹 내리기도 하며,

剛柔가 변동하여 바뀌니, 恒常하게 구함(일정한 법칙)을 삼지 못하고,

오직 그 변함에 따라 나아갈 뿐이다.

 

變動 : 공간적인 변화원리
變通 : 시간적인 변화원리

 

六虛란 卦의 여섯爻를 뜻한다.

 

그 자리에 陽爻가 올지 陰爻가 올지 모르고, 일정한 實相이 없으므로 ‘虛’라고 하였다.

 

여섯位는 四方·上下를 뜻하기도 한다.

 

즉, 易道가 時空과 육허(六爻)속에 흐르고 있다.

 

 

剛柔相易

剛이 바뀌어 柔가 되고, 柔가 바뀌어 剛이 되는 變易(變通)을 말한다.

 

즉, 剛柔의 상호변화이다.

 

上下无常

항상함이 없다. 즉 交易함을 말한다.

 

 

不可爲典要

변화원리이다.

 

다시 말하면 육효가 相雜하여 고정된 목표를 세울 수가 없다는 것이다.

 

 

唯變所適

주역 의 이치는 오직 변하여 나아가는 것뿐이다.

 

 

 

其出入以度 外內使知懼.

 

나가고 들어오는 것을 (주역의) 법도로서 하여

(사람으로 하여금)밖과 안에 두려움을 알게 하며

 

 

 

 

又明於憂患與故 无有師保 如臨父母.

 

또한 憂患과 연고(所以然)를 밝힘이라 師保가 없다하나, 부모가 臨한듯하니

 

 

우환과 연고를 밝힌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剝卦 六四에
“상(牀)을 깎아 살갗에 미침이니, 흉하니라.(剝狀以膚, 凶)"라고 하였다.

 

그러므로 우환을 밝히고,

 

小象辭에서는 ‘剝牀以膚’는 재앙에 매우 가까운 것이다.

 

“ 剝牀以膚, 切近災也”라고 하여, 그 연고를 밝혔다는 것이다.

 

 

 

初率其辭而揆其方 旣有典常. 苟非其人 道不虛行.

 

苟 : 진실로 구

 

처음에 그 말을 따라 그 방법을(이치를, 도리를) 헤아려 보건데는

이미 일정한(떳떳한) 법칙과 항상함이 있거니와

진실로 그 사람이 아니면 道가 헛되이 행해지지 않는다.

 

 

卦辭및 爻辭(其辭)에 쓰여 있는 방법, 이치대로 살피

그 말 자체가 이미 일정한 법칙으로 갖추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는 것이다.

 

 

苟非其人

그 道를 실천할 사람이란 易道를 자각한 艮君子를 말한다.

 

 

 

 

 

 

第九章, 書易의 변화의 도는 2.4효, 3.5爻의 관계에서 이루어진다

 

 

 

易之爲書也 原始要終 以爲質也. 六爻相雜 唯其時物也.

 

易의 글됨이 始를 근원으로하여 終을 요구하여,

이로써(괘의) 바탕으로(卦體)삼고,

六爻가 서로 섞임은 오직 그 때의 사물일(時物=시의성을 드러내는 존재(物)) 뿐이다.

 

始(초효, 씨, 과거) 終(상효, 열매, 미래)에 근원해서 終始원리를 밝힌다는 것이다.

 

 

其初難知 其上易知 本末也. 初辭擬之 卒成之終.

 

처음은 알기 어렵고, 그 上은 알기 쉬우니, (이것이) 本과 末이라,

처음 말은 어떤 사물에 비겨서 설명하고, (上은) 나중(끝)에는 마치는 것(終)을 이룬다.

 

처음에는 사물의 기미를 알 수 없으니 그 근본을 알아내기 어렵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왜냐하면 씨와 뿌리는 땅 속(형이상학)에 있고,

말엽인 나뭇가지와 잎은 눈에 보이기 때문이다.

 

 

若夫雜物 撰德 辨德 辨是與非 則非其中爻 不備.

 

(처음(始)과 마지막(終)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나) 만약 무릇 물건의 뒤섞는 일과

(卦)덕을 가리는 것과 (천하의 사물을 모아서) 是와 非를 分辨하는 것은

中爻가 아니면 갖추지(구비하) 못하리라.

 

二爻와 五爻에 대한 설명이다.

 

이는 성인군자지도 대한 의미이다.

 

육효중괘에 대해 말하고 있다.

 

雜은 合德을 의미한다.

 

雜物· 撰德은 二爻에서 五爻까지를 말한다.

 

 

 

噫亦要存亡吉凶 則居可知矣. 知者觀其彖辭 則思過半矣.

 

噫 : 탄식할 희

 

 

희라, 또한 (모든 사물에 대한) 存亡과 吉凶을 (알려고) 살피고자 할진댄,

즉 ( 卦辭와 爻辭)居해서 알 수 있으며,

知慧로운 者가 그 彖辭를 보면 곧 생각의 半은 지나리라.

 

 

괘효사의 중요성을 말한다.

 

吉凶, 存亡, 盛衰등 모든 사물의 이치가 내포되어 있으며,

우리가 행할 바를 제시하고 있다.

 

 

 

二與四同功而異位 其善不同. 二多譽 四多懼 近也.

柔之爲道 不利遠者. 其要无咎 其用柔中也.

 

陰爻인 二爻와 四爻에 대한 설명이다.   

 

二爻와 四爻는 功(작용)이 같으나 자리가 달라 善함이 같지 않으니,

二爻는 명예가 많고 四爻는 두려움이 많음은 君主의 자리와 가깝기 때문이다.

(二爻와 四爻는 모두 陰의 자리로 그 작용은 같으나,

人君인 五爻와 가깝고 먼 遠近의 차이를 두고 설명하고 있다.

四爻에 두려움이 있어 조심하는 마음이 많다.

왜냐하면 五爻인 君位가 가까이 있고, 中德이 없기 때문이다.)

 

柔의 道는 멀리 있는 것이 이롭지 않지만은 그 중요한 요지에 허물이 없음이요,

그 씀은 柔로써 中에 있기 때문이다.

(二爻는 칭찬과 명예가 많다는 것은 二爻는 五爻에게서 먼 것이 불리하지만

허물이 없고 榮譽가 많다는 것은

柔順得中한 正位의 爻로 中德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三與五同功而異位. 三多凶 五多功 貴賤之等也. 其柔 危 其剛勝耶.

 

三爻와 五爻는 功(작용)이 같으나 位(자리)가 달라서,

三爻는 凶이 많고, 五爻는 功이 많음은 貴賤의 차등이 있음이니,

그 柔는 위태롭고 그 剛은 빼어남(이김)인져!

 

陽爻인 三爻와 五爻에 대한 설명이다.

 

三爻와 五爻는 陽爻로써 그 쓰임은 같다.

 

그러나 三爻는 신하의 자리이고, 五爻는 人君의 자리이므로 그 지위가 다르다

 

三爻는 신하의 地位로 下卦의 제일 위에 있어 위태롭고 凶이 많으며,

五爻는 人君의 위位로 正位得中하면 功이 많다는 것이다.

 

二爻와 四爻는 유순한 陰爻로 五爻에 대한 遠近의 差異로 구분하지만

三爻와 五爻는 陽剛正位한 爻이므로 貴賤으로 구분하였다.

 

五爻가 비록 功이 많은 자리지만 책임이 막중한 자리이다.

 

그러므로 不正位면 위태하고, 正位면 그 책임을 다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9장은 6爻位의 구성과 성격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다.

 

1효(初爻)와 6효(上爻)는 시간과 공간(物象)의 시작과 끝을 알려주는 것으로

시간으로는 초효는 현재가지의 일을 상효는 미래의 결말을 이룸을 표상하고

물상으로는 초효는 일의 발단으로 숨어있으니 알기가 어렵고

상효는 일의 드러난 결말이니 알기가 쉽다.

 

실질적인 변화는 2효~5효에서 이루어진다.

 

四象이며 震巽艮兌가 서로 상박하며 변화를 만들어낸다.

 

2효와 4효는 陰位(--)로 신하의 자리이며,

3효와 5효는 陽位(一)로 임금, 다스리는 자의 자리이다.

 

이 변화로 만들어지는 변화의 象을 互卦에 담았다.

 

서책을 다루어 얻어지는 괘의 속마음이라 하겠다.

 

 

 

易之爲書也 原始要終 以爲質也. 六爻相雜 唯其時物也.

 

《주역(周易)》 글은 처음을 찾고 끝을 구하여,

이것을 괘의 바탕[괘체(卦體)]으로 삼는다

 

육효(六爻)가 서로 섞이는 것은, 오직 그 때와 사물을 표현한 것이다

 

 

 

其初難知 其上易知 本末也. 初辭擬之 卒成之終.

 

(物之變) 주역의 초효[初]는 알기 어렵고 상효[上]는 알기 쉬우니,

본(本)과 말(末)이다.

 

(時之變) 초효의 말[辭]은 앞으로의 일을 설정해서 말하고[擬之],

끝의 상효는 결말[終]을 이룬다


 

 

若夫雜物 撰德 辨德 辨是與非 則非其中爻 不備.

 

사물을 복잡하게 나열하고, [효(爻)의] 덕(德)을 기술하며,

잘하고 못하고를 분변하는 것은,

가운데 효(爻)가 아니면 구비되지 못할 것이다


 

 

噫亦要存亡吉凶 則居可知矣. 知者觀其彖辭 則思過半矣.

 

아! 또한 존망(存亡)과 길흉(吉凶)에 대해 살피고자 한다면, 쉽게 알 수 있다

 

그러나 지혜로운 자는 단사(彖辭)만 보아도, [전체에 대해] 생각이 반을 넘을 것이다

 

 (互卦의 下卦 - 陰, 신하의 道 - 부림받는 자)

 

 

二與四功而異位 其善不同. 二多譽 四多懼 近也.

柔之爲道 不利遠者. 其要无咎 其用柔中也.

 

이(二)와 사(四)는 공(功)이 같으나 자리가 달라, 그 선(善)이 같지 않다

 

이(二)는 칭찬이 많고 사(四)는 두려워해야 한다는 말이 많은 것은,

군주의 자리와 가깝기 때문이다

 

유(柔)의 도(道)라는 것은, 군주의 자리와 멀리 있는 것이 이롭지 않다

 

그러나 그 요점은 허물이 없다는 것인데,

이것은 모두 유(柔)로써 중(中)을 쓰기 때문이다

 

(互卦의 上卦 - 陽, 군주의 道 - 부린는 자)

 

 

 

三與五同功而異位. 三多凶 五多功 貴賤之等也. 其柔 危 其剛勝耶.

 

삼(三)과 오(五)는 공(功)이 같으나 자리가 달라,

삼(三)은 흉(凶)한 것이 많고 오(五)는 공(功)이 많다

 

이것은 귀천(貴賤)의 차등이 있기 때문이니,

그 자리에 유(柔)가 있으면 위태롭고 강(剛)이 있으면 이겨낼 것이다

 

 

 

 

 

 

 

第十章, 주역의 기본바탕은 三才사상이다

 

 

 

제 十章은 공간성을 같이 설명하고 있다.

 

육효를 요약 설명하고 있다,

 

역학은 三才之道學이며, 역학이 聖學이다.

 

그러므로 易道와 三才之道가 中正之道이다.(易道與之才之道= 中正之道)

 

三極의 天과 三才의 天은 근원적으로는 같으나 三才의 天은 공간적이고,

現象的인 표현이며, 兼三才兩地(天道, 地道, 人道를 말함)는

천지인의 원리로서 작용을 전제로 한 것이다.

 

地道的인 입장이다.

 

왜냐하면 ‘无極’, ‘人極’, ‘地極’이 아니다.

 

다만, 天의 體度數가 十數요 ‘无極’이다.

 

또한 인간의 人道의 원리로서의 五數는 ‘皇極’이다.

 

‘三極’은 순수한 天道의 性情인 시간성의 개념인 曆數的인 입장이다.

正易에서는 주역은 三才易이고, 三極은 圖書易으로 규정하고있다.

 

圖書易은 九·八·七·六을 표상하지만 괘효역은 아니다.

 

그러므로 “六爻之動은 三極之道也” 라고 하는 것이다.

 

이것은 육효를 통해서 三極之道가 드러난다는 것이다.

 

시간적인 차원에서 易理를 말씀하신 것은 圖書易이고,

공간적인 작용에서 易理를 말씀하신 것은 卦爻易이다.

 

그러므로 用九는 用六에서 드러난다.

 

이것은 九六의 합덕을 의미한다.

 

원리의 측면에서 河圖의 작용은 九로, 洛書의 작용은 六으로 드러나고,

后天은 河圖원리로 드러난다.

 

 

 

 

易之爲書也 廣大悉備. 有天道焉 有人道焉 有地道焉.

兼三才而兩之. 故六 六者 非他也 三才之道也.

 

易의 글됨이 광대하여 (세상의 理致를) 모두를 구비해서

天道도 있고 人道도 있고 地道도 있으니, 三才를 겸하여 둘로 하나니라.

 

그러므로 六이니, 六은 다름이 아니라 삼재三才의 道이다.

 

 

원래의 바탕은 三才之道이지만 三才를 兼하여 天道에는 陰陽이 있고,

人道에도 陰陽이 있고, 地道에도 陰陽이 있으니,

이러한 兩之작용이 合하여 六爻가 생성되는 것이다.

 

 

 

 

道有變動 故曰爻. 爻有等 故曰物. 物相雜 故曰文.文不當 故吉凶生焉.

 

道가 변동이 있음이라, 그러므로 가로되 爻이라,

爻는 차등이 있음이라, 그러므로 가로되 物이오,

物은 서로 섞임이라 그러므로 가로되 文(문채)이오,

文이 자리에 마땅하지 않음이라 吉凶이 생기는 것이다.

 

文은 得失位, 正․不正位, 應非, 親比관계의 마땅함을 말한다

 

 

 

 

 

 

 

第十一章, 卦.爻辭 글들의 역사적 배경

 

 

易之興也 其當殷之末世周之盛德邪 當文王與紂之事邪.

是故其辭危 危者使平 易者使傾.

其道甚大 百物不廢.懼以終始 其要无咎. 此之謂易之道也.

 

易이 일어남이 殷末과 周나라가 덕이 성할 때 해당되는가 보다.

 

문왕과 주(紂)의 일에 해당하는 것인가?

 

그러므로 그 말이 위태로워, 위태롭게 여기는 자를 평안하게 하고,

쉽게 여기는 자를 기우러지게 하였으니,

그 道가 매우 커서 온갖 일을 폐하지 않으나 두려워하여

마치고 시작하는 것은 그 필요할 때(요체가) 허물이 없으리니,

이것을 일러 易의 道라 한다.

 

 

終始는 선후천변화원리이다.

 

역도의 요체가 懼以終始이다.

 

구체적인 歷史를 通해서

시간성의 원리인 終始의 선후천변화 계기를 넘김으로써 无咎를 밝히고 있다.

 

卦爻로 말하면 三·四爻사이의 終始변화는 四爻를 中心으로 역도易道가 集約된다. 

 

변화와 자각이다.

 

인간에서 있어서는 小人 紂와 聖人문왕을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서

소인지도에서 군자지도로 변화하는 것이 선후천변화원리임을 밝히고 있다.

 

文王이 후세 사람들을 경계하기 위하여 卦辭를 지었으므로 그 말이 위태한 것이다.

 

말씀을 두려워하는 자(문왕)는 평안하게 하고,

쉽게 생각하여 자만하고 경솔한 자(紂)는 위태롭게 한다

 

두려워하면서 始作부터 끝까지 順天의 道理를 다하면 허물이 없게 하는 것이 易道이다

 

 

이 장은 恒常 조심하고 경건한 마음으로 살아가는 것이

易道와 合致된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第十二章, 사람이 하늘을 품다

 

 

 

天下之至也 德行以知.

天下之至也 德行以知.

 

阻 : 험할 조 

 

乾은 천하의 지극히 굳셈이니 덕행이 항상 쉬움으로서 험함을 알고,

坤은 천하의 지극히 順함이니 덕행이 항상 간략함으로서 막힘을 안다.

 

 

(태양의 昇降 = 易 = 理)

(氣-易) 乾道 - 健 - 易 - 險 : 낮과 밤

(質-簡) 坤道 - 順 - 簡 - 阻.: 시간, 마디, 규칙


 

 

能說諸心 能硏諸侯之慮. 定天下之吉凶 成天下之亹亹者.

 

說 : 기쁠 열, 말씀 설

侯 : 징조 후, 날씨 후, 과녁 후, 제후 후 

亹 : 힘쓸 미

 

저 마음으로 능히 기뻐하고

저 (징후에 대한) 생각으로 능히 연구하여 천하의 길흉을 정하며,

천하의 노력하고 힘씀을 이루는 것이니,


 

 

 

是故 變化云爲 吉事有祥. 象事 知器 占事 知來.

 

이런 까닭으로 변화(음양변화)하고,

운위云爲(말함과 일함)함에 길한 일에 상서로움이 있다.

 

(어떤)일을 형상하여 기물器物을 알며, (어떤)일을 점쳐서 미래를 안다 하니.

 

 

 

일을 형상해서 기물(器物)을 알고,일을 점쳐 미래를 안다

 

(사계절 변화 = 變 = 氣)

(氣-자연) 能說諸心 - 定天下之 吉凶     -  變化云爲 吉事 有祥 (幾微)

(質-인간) 能硏諸慮 - 成天下之 亹亹者  -  象事知器 占事 知來 (決斷)

 

 

 

 

天地設位 聖人成能 人謀鬼謀 百姓與能.

 

천지가 자리를 베풂에 성인이 능함을 이루니,
사람에게 도모하고 귀신에게 도모함에 백성이 능히 참여한다.

 

 

천지(天地)가 자리를 베풀고 있는데,

성인(聖人)이 [역(易)을 지어 그 기밀(機密)을 밝히는] 공능(功能)을 이루었다

 

그리하여 사람이 계획하는 것과 귀신이 계획하는 것에 대해

어리석은 백성조차도 참여하여 알 수 있게 되었다

 

(與天地參 = 人乃天)
(氣-성인) 天地設位 聖人成能 : 성인이 書易을 세워 하늘의 뜻을 땅에 규칙으로 삼다 (冊曆)

(質-백성) 人謀鬼謀 百姓與能 : 자연과 인간의 합일, 與參

 

 

 

 

八卦 以象告 爻彖 以情言. 剛柔雜居而吉凶 可見矣. 

 

팔괘는 象으로써 告하고, 爻와 彖은 情으로써 말하니,

剛과 柔가 섞이어 거함에 吉과 凶을 볼 수 있음이라.

 

 

(象)    - 팔괘(八卦)는 상(象)을 나타내 알려주고,

(言)    - 효사(爻辭)와 단사(彖辭)는 실정(實情)으로 말해준다

(變)    - 강(剛)과 유(柔)가 섞여 있어서, 길(吉)한지 흉(凶)한지를 볼 수 있다

(其人) - 변동(變動)해야 하는 것은 이롭다(利)고 말하고,

               길흉(吉凶)은 [점치는 자의] 실정(實情)에 따라 달라진다

 

 

 

變動 以利言 吉凶 以情遷.

是故 愛惡相攻而吉凶生. 遠近相取而悔吝生. 情僞相感而利害生.

凡易之情 近而不相得. 則凶或害之 悔且吝.

 

움직이는 것은 이로움으로서 말하고, 길흉은 효가 처해 있는 상황에 따라 옮겨감이라,

이 때문에 사랑함과 미워함이 서로 공격하여 길흉이 생기며,

 

멀고 가까움이 서로 취하여 뉘우침과 부끄러운 일(悔吝)이 생기며,

 

참됨과 거짓이 서로 교감하여 이로움과 해로움이생겨나니,

무릇 역의 모든 뜻이 가까우면서 서로가 얻지 못하면 흉하거나 혹은 해害로우며,
뉘우치고 또 부끄럽게 된다. 

 

 

 

遷은 변화하는 것이다.

 

情은 효가 처해있는 상황에 따라 길흉이 변하는 것을 말한다.

 

이에 대하여 주역 절 중에서는

 “사랑하는 것과 미워하는 것이 서로 공격한다는 ‘愛惡相攻’ 이하는

모두 ‘吉凶以情遷’ 에 관한 일을 말하는 것으로 육효의 상황과 효사로 밝히고 있다.

(愛惡相攻以下, 皆言, 吉凶以情遷之事, 而以六爻之情與辭明之)” 라고 하였다.

 

 

 

將叛者 其辭慙 中心疑者 其辭枝. 吉人之辭
寡 躁人之辭 多. 誣善之人 其辭游 失其守者 其辭屈.

 

慙 : 부끄러울 참 

躁 : 성급할 조

 

장차 배반할 자는 그 말이 부끄럽고, 중심이 의심스러운 자는 그 말이 산만하고,

길한 사람의 말은 적고, 조급한 사람의 말은 많고,

선을 모함하는 사람은 말이 왔다 갔다 하고, 그 지킴을 잃은 자는 그 말이 비굴하다.

 

 

 

- 주역과 소통하다(STB 상생방송)

 

 

'古典(홍익학당) > 주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괘전(說卦傳) 하  (0) 2017.05.31
설괘전(說卦傳) 상  (1) 2017.05.28
계사 상편(繫辭 上篇)  (1) 2017.05.25
주역과 맞장뜨기  (0) 2017.05.24
인간의 몸의 율동 - 12경락  (1) 2017.05.23
Posted by 띨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