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증왕 원년(500) 금용(金龍) 庚辰
元年 十一月五日 王卽位 于眞宮
立三宮 以蓮帝爲后 追尊考妃 爲太后
群臣及中外仙巫 享王及蓮帝 于南桃 王詔 曰
“寡人無德 承統太王 唯以太王好生之心 爲心 興爾臣民 其享泰平矣”
群臣皆 俯伏山呼
원년(500년) 11월 5일 진궁(眞宮)에서 왕이 즉위하였다.
삼궁(三宮)을 두고 연제(蓮帝)를 후로, 어머니 <조생鳥生>을 추존하여 태후로 하였다.
신하들과 나라 안팎 선무(仙巫)들이 남도(南桃)에서 왕과 <연제>에게 진헌을 드리니
왕이 조칙으로 이르기를
" 과인이 덕이 없어 태왕의 뒤를 이었으나
오직 태왕의 착한 마음으로 신하와 백성들과 함께 태평을 누리고자 한다."라고 하니
신하들 모두 부복하여 산호만세를 불렀다.
帝諱智度路 父曰習宝葛文王 母曰鳥生夫人也
鳥生夢見黃龍 而生 鴻壯沈毅 膽力過人
訥祗太王 常愛撫之 曰 “此兒必貴 可以扶國”
與毗處殿君 常在宮中 有過則 必自引而保之 以此情好異常 許同國家
及納厚凰 封以副君 托以太子
及其崩 以遺詔卽位 以天宮蓮帝爲后
蓮帝登欣女也 母曰牟梁夫人 卽訥祗太王女也
初帝以鴻陽 未得佳偶 所托已熟 宗女多有不堪 或生子女而退
比太公 以暖房燦凰 許之 生宣登宣世 而竟爲病沒
習宝王憂之 使氷人 求之三道
使至牟梁部 冬老樹下 見二狗嚙 一屎塊如鼓 大爭嚙其兩端
訪於里人 有一少女 告云 此部相公之女子 洗瀚于化 隱林而遺之者也
氷人乃至其家 檢之 乃登欣公女蓮帝 年十四 而身長七尺五寸
大喜 以聞 乃遣車邀入 行吉 于鮑石 宮中 始得浹洽 固天定也
由是情合德混 無有其二
毗處王旣卽位 乃以蓮帝爲朝霞 强幸之 然事帝 愈勤力 保其位 帝亦不以二貞
爲意愈有密 焉卽位 以功首 定坤位 以其子慕珍公爲太子 政事多出于后 盖亦天也
제(帝)의 이름은 <지도로智度路>이고
아버지는 <습보習宝> 갈문왕이고 어머니는 <조생鳥生>부인이다.
<조생鳥生>이 꿈에 황룡을 보고 낳았다.
신체가 크고 과묵하고 의지가 굳고 담력이 남보다 뛰어났다.
<눌지>태왕이 항상 그를 사랑하여 어루만지며 말하기를
" 이 아이는 반드시 귀하게 될 것이다.
가이 나라를 지탱할 것이다." 라고 하였다.
<비처> 전군(殿君)과 함께 항상 궁중에 같이 있어 잘 못이 있으면 반드시
스스로 자기의 잘 못으로 하여 전군(殿君)을 보호하니
서로 간의 정이 남달리 두터워 나라를 같이 다스리자고 하였다.
이에 <후황厚凰>을 받아들이고 부군(副君)으로 봉하고 태자를 부탁하였다.
<비처>가 붕하여 유조로 즉위하여 천궁 <연제>를 후로 하였다.
<연제>는 <등흔>의 딸이다.
어머니는 <모량>부인으로 <눌지>태왕의 딸이다.
처음에 제{지도로}는 양물이 너무 커서 좋은 배필을 만나지 못하였다.
이미 익숙한 여인을 부탁하니 종녀가 많이 있으나
감당하지 못하여 혹 자녀를 낳고 물러났다.
<비태比太>공이 난방(暖房) <찬황燦凰(440?-474)>으로 허락하여
<찬황燦凰>이 <선등宣登>과 <선세宣世>를 낳고는 병으로 죽었다.
<습보習宝>왕이 이를 걱정하여 빙인(氷人)을 삼도(三道)에 보내어 구하라고 하였다.
빙인(氷人)이 모량부에 이르렀다.
겨울인데 노인이 나무 아래에서 두 마리의 개가 으르렁대는 것을 보고 있었다.
한 똥 덩어리가 마치 북과 같아 양쪽에서 크게 으르렁대고 있었다.
마를 사람들을 방문하니 모량부 상공(相公)의 딸이
숲에 숨어서 똥을 누니 넓게 퍼진 것이라고 하였다.
이에 빙인(氷人)이 그 집에 이르러 조사하니
<등흔>공의 딸 <연제>로 나이 열 네살이고 신장은 7척 5촌이었다.
이를 듣고 크게 기뻐하며 거마를 보내어 맞아 들여 궁중 포석사에서 길례를 행하였다.
처음으로 고루 적시며 흐름을 얻으니 하늘이 정한 것이다.
정(情)을 합하고 덕(德)을 섞음은 이유가 있는 것이며
그 둘이 자체로 있는 것이 아니다.
<비처>왕이 이미 즉위하여 <연제>를 조하(朝霞)로 삼고
강제로 잠자리 시중을 들게하니 제를 사모하였으나
더욱 근면하여 그 직위를 보호하니 제(帝) 역시 정조(貞操)를 버리지 않았다.
의중을 더욱 비밀히 간직하다 즉위하니 <연제>는 공이 으뜸이라 곤위(坤位)에 오르고
그 아들 <모진>공을 태자로 하여 정사(政事)의 많은 것이 후(后)로부터 나오니
이 역시 모두가 하늘의 뜻이다.
十二月 大雪 慕珍公與魏花 如碧花宮
建善坪宮 合葬考妃 以祖宝海陵爲弘峴宮
12월, 큰 눈이 내렸다.
<모진>공과 <위화>가 벽화궁으로 갔다.
선평궁(善坪宮)을 세우고 어머니 <조생>을 합장하였다.
조부 <보해宝海>릉을 홍현궁(弘峴宮)으로 하였다.
이때 지증왕 <지도로> 64세, 왕후 <연제> 38세, <모진> 21세,
<벽화> 16세, <위화> 14세, <분종> 13세,
고구려 명치대제 <라운> 29세, 백제 무령왕 <사마> 40세,
대가야 왕 <겸지> 23세, 금관가야 왕 <성국> 59세이다.
지증왕 2년(501) 백사(白蛇) 辛巳
正月 新王上宮 受朝 眞宮
進王弟王子 爵一及 賜王妹 紫衣宮主
摩只生 慕珍女摩厚
行大帝 于善坪宮 以王妹園君爲祭主
命王子女 皆習孝經
정월, 신왕과 상궁이 진궁에서 조하를 받았다.
왕의 동생과 왕자의 작위를 일급씩 올리고 왕의 여동생에게 자의를 내렸다.
<마지摩只>가 <모진慕珍>의 딸 <마후摩厚>를 낳았다.
선평궁(善坪宮)에서 대제를 지내고 왕의 여동생 <원군園君>을 제주로 하였다.
왕의 자녀 모두에게 효경을 배우도록 명하였다.
二月 王庶兄乃宿卒 年六十五
公有風采 善姐宮中 位至伊伐飡
同妙心事 廢處 至是 以病卒
以其子勿力爲級飡 使屬神官
2월, 왕의 서형(庶兄) <내숙乃宿>이 죽었다. 나이 65세였다.
공은 풍채가 있었고 궁중에서는 아부를 잘하여 이벌찬의 직위에 이르렀다.
<묘심>의 사건에 연루되어 직위가 해제되고 이제와서 병으로 죽었다.
그 아들 <물력勿力>을 급찬으로 삼아 신관에 속하게 하였다
三月 葬太王 于伊同天宮陵 陵土自開 人以爲神 葬畢有聞神樂 自陵中出者
以遺詔 不行殉葬
太王性溫恭 若婦人 事太后至孝
及卽位 好內多寵 稍有損德目
厚凰承寵以來 不暇他愛 政令一出其意
及其崩 雖納碧花 而猶以患哀 度日而崩 其或天定 而然歟
加耶太后邦媛沒
3월, 태왕을 이동천궁릉에 장사하였다.
릉의 봉토가 스스로 열리니 사람이 신(神)이되었다.
장사를 마치니 릉에서 나온 자로부터 신락(神樂)을 들음이 있었다.
유조로 순장을 금하였다.
태왕은 성품이 온화하고 공손하여 마치 부인 같았다.
태후를 끝까지 효로 섬겼다.
즉위하여 내실을 좋아하여 많은 총애를 내리니 덕을 잃는 구실이 되었다.
<후황厚凰>을 총애한 이래 다른 이를 사랑할 겨를이 없었다.
정령(政令)이 그 의중에서 하나로 나왔다.
마침내 붕하니 비록 <벽화碧花>를 들이었으나 애환이 남아있어 어렵게 지내다 붕하니
그 역시 하늘이 정하였음인가!
가야 태후 <방원邦媛>이 죽었다.
四月 蓮帝召叔欣 議立慕珍爲太子 王不可之 曰 “不可 負約于吾女也”
蓮帝怒 批王 曰 “芬宗將祀汝 於汝女也” 王無言 而罷
群臣請 立慕珍爲太子 普仁號泣 于蓮帝 曰 “吾夫無罪 何欲廢之乎”
蓮帝笑 曰 “汝夫豈獨限于芬宗乎”
乃召芬宗諭之 曰 “王命所在 汝其讓之”
芬宗曰 “臣以天母爲母 有何不聽乎”
乃讓其印綬 于慕珍 蓮帝大喜 召宝器 立慕珍爲太子 王聞之 太息而已
蓮帝曰 “善知事太王 不可爲太子正妃也”
乃以淨凰爲新妃 行吉 于神宮 蓮帝與王 同車 而撫太子及妃 曰
“吾子雖爲太子 厚凰之女 亦爲太子妃 厚凰安敢怨我乎”
王曰 “吾妻可謂聖矣” 乃以芬宗爲殿君 慕珍爲太子
以慕珍公爲太子 以前太子芬宗爲殿君 出居勝院
以順都厚都宣登爲殿君 分居光院 皆在勝院之隣
后賜碧花牧丹衣 命爲太子華
時花閉宮 自守 太子累往 奪志 后爲太子 召慰之
納水入朝 請婚以出忠女淑姬 許之
弘峴宮聖明太后像成 行大祭
4월, <연제>가 <숙흔叔欣>을 불러 <모진>을 태자로 세울 것을 의논하니
왕이 불가하다고 하며 이르기를
" 불가하다. 내 딸에게 약속을 어기는 것이다."라고 하니
<연제>가 노하여 왕을 비난하며 말하기를
" 당신 딸의 사위인 <분종芬宗>이 장차 당신의 제사를 지내게 될 것이다."라고 하니
왕은 할 말이 없어 <분종芬宗>을 파하였다.
신하들이 <모진慕珍>을 태자로 세울 것을 청하니
<보인普仁>이 울면서 <연제>에게 말하기를
" 저의 남편이 무슨 죄가 있어 이를 폐하려 하십니까?"라고 하니
<연제가 웃으며 말하기를
" 너의 남편이 어찌 <분종> 혼자에 한하겠는가?"라고 하였다.
이에 <분종>을 불러 깨우치게 하여 말하기를
" 왕명이다. 너는 태자를 양보하겠는가?"라고 하니
<분종>이 말하기를
" 신이 천모(天母)를 어머니로 여기는데 어찌 듣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라고 하며
태자 인수(印綬)를 <모진>에게 양보하였다.
<연제>가 크게 기뻐하며 <보기宝器>를 불러 <모진>을 태자로 세웠다.
왕이 이를 듣고 크게 한숨지으니 <연제>가 말하기를
" <선지善知>는 태왕을 섬겨 태자 정비(正妃)로는 불가하다."라고 하였다.
이에 <정황淨凰>을 새로운 비(妃)로 하여 신궁에서 길례를 행하였다.
<연제>와 왕이 같은 수레를 타고 태자와 태자비를 어루만지며 말하기를
" 내 아들이 비록 태자가 되었지만 <후황厚凰>의 딸 역시 태자비가 되었다.
<후황厚凰>은 안심하여 감히 나를 원망하지 못할 것이다"라고 하니
왕이 말하기를
" 내 처는 소위 성인이다."라고 하였다.
이에 <분종>을 전군(殿君)으로 <모진>을 태자로 하였다.
<모진慕珍>공을 태자로 이전 태자 <분종芬宗>을 전군(殿君)으로 하여
승원(勝院)에 나가서 거주토록 하였다.
<순도順都>, <후도厚都>, <선등宣登>을 전군(殿君)으로 하여
나누어 광원(光院)에 거주토록 하니 모두가 승원(勝院)의 인근에 있었다.
후가 <벽화碧花>에게 목단의(牧丹衣)를 내리고 태자의 화(華)가 되도록 명하였다.
이때 화개궁(花閉宮)은 스스로 수절하니, 태자가 누차 가서 의지를 꺾을려고 하여
후가 태자를 위하여 불러서 위로하였다.
<납수納水>가 입조하여 충녀(忠女) <숙희淑姬>에게 청혼하니 허락하였다.
홍현궁(弘峴宮) <성명聖明> 태후상(像)이 완성되어 대제를 지냈다.
六月 宣登爲大元眞士 宣登有才好學 骨門子女 皆赴其門
其妻旱知 亦得宣登之學 其居與勝院同垣 芬宗普仁 事之如母
6월, <선등宣登>을 대원진사(大元眞士)로 하였다.
<선등宣登>은 재주가 있고 학문을 좋아하였다.
골문의 자녀 모두가 그 문중에 들어갔다.
그 처 <한지旱知> 역시 <선등宣登>의 학문을 배워 승원동단(勝院同垣)에서
<분종芬宗>과 <보인普仁>과 함께 기거하며 그녀를 어머니 같이 섬겼다.
七月 碧花生子三山
桂凰生 納水女桂花
7월, <벽화碧花>가 아들 <삼산三山>을 낳았다.
<계황桂凰>이 <납수納水>의 딸 <계화桂花>를 낳았다.
八月 太子飾魏花以金寶 骨女爭獻新錦
阿羅君小裊人 病卒 八海爲女君 以聖明爲夫
帝以古自爲國水門 命順都爲君 妻發胡 以白里爲相 命廢監國
以其軍屬君 召孝德父子 入京 妻以發惠
8월, 태자가 <위화>를 금보(金寶)로 치장하니 골녀들이 다투어 새 비단을 바쳤다.
아라군 <소뇨인>이 병으로 죽어 <팔해>가 여군이 되어 <성명>을 남편으로 하였다.
제가 고자(古自)를 나라의 수문(水門)으로 삼아 <순도順都>를 군(君)으로 삼고,
<발호發胡>를 <순도順都>의 처로 <백리白里>를 재상으로 삼아
감국(監國)을 폐지하도록 하였다.
고자국의 군사는 군(君)에 속하도록 하고 <효덕孝德>의 부자를 불러 입경하도록 하여,
<효덕孝德>의 처로 <발혜發惠>를 삼도록 하였다.
十月 王入冬宅 召碧花 幸之
未幾 以后之言 賜太子爲妃 以其子三山屬太子
命修龍宮復爲海宮
以淑姬妻鉗知 送之
叔欣角干 比智兵官 宝器骨門 剡臣神官伊飡 智登實竹智世路 階伊飡
伊宗水路將軍 河大南路將軍 鳥石北路 智世路西路將軍
10월, 왕이 동택(冬宅)으로 들어가 <벽화碧花>를 불러 잠자리 시중을 들게하였다.
얼마되지 않아 후의 말로 태자의 비로 내리고
그 아들 <삼산三山>을 태자에게 속하도록 하였다.
용궁을 보수하여 다시 해궁으로 하였다.
<숙희淑姬>를 <겸지鉗知>의 처로 하여 보냈다.
<숙흔叔欣>을 각간으로 <비지比智>를 병관이찬으로
<보기宝器>를 골문이찬으로 <염신剡臣>을 신관이찬으로
<지등智登>, <실죽實竹>, <지세로智世路>를 모두 이찬으로
<이종伊宗>을 수로장군으로 <하대河大>를 남로장군으로
<오석鳥石>을 북로장군으로 <지세로智世路>를 서로장군으로 하였다.
十二月 剡臣稟主 玉蘭祖主
以藥斗妻思明
行伊同宮大祭
牟大爲其臣所弑 斯摩繼之
12월, <염신剡臣>을 품주로 <옥란玉蘭>을 조주(祖主)로 하였다.
<약두藥斗>를 <사명思明>의 처로 하였다.
이동궁(伊同宮)에서 대제를 지냈다.
<모대牟大>가 그 신하에게 살해되어, <사마斯摩>가 왕위를 이었다.
지증왕 3년(502) 현구(玄駒) 壬午
正月 王與后及太子 受朝 眞宮
정월, 왕과 후 및 태자가 진궁(眞宮)에서 조하를 받았다.
三月 角干叔欣卒 登欣子也 母宝美
故容皃端麗 有言行 能政事 人望歸之
后以其有扶翼之功 臨其疾 曰 “兄何無一言 詔後乎”
叔欣曰 “臣爲 太子請 廢殉葬”
后嘉之 命太子 納叔欣女 欣執太子手 而卒 嘉其忠 厚葬之
叔欣妻洪壽 以叔欣弟智登 爲繼夫
王與后 行神宮大祭
命厚都 巡州郡 勅其主 勸農桑 獎牛耕 先是國俗重母牛 不用農耕 至是始用
后生女眞晩
3월, 각간 <숙흔叔欣(438-502)>이 죽었다.
<등흔登欣(416-483>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보미宝美(404-485)>이다.
용모가 단아하고 언행이 바르며 정사를 잘 처리하여 인망이 있었다.
후는 그가 보조를 잘 한 공이 있어 병이 났을 때 말하기를
" 오빠는 어찌 뒤에 남길 한마디 말이 없습니까?" 라고 하니
<숙흔叔欣>이 말하기를
" 신은 태자가 순장(殉葬)을 폐하기를 청하옵니다."라고 하였다.
후가 이를 가납하고, 태자에게는 <숙흔叔欣>의 딸을 받아 들이도록 명하였다.
<숙흔叔欣>이 태자의 손을 잡고 죽었다.
그 충성을 기리어 후하게 장사하였다.
<숙흔叔欣>의 처 <홍수洪壽(465- )>는
<숙흔叔欣>의 동생 <지등智登(445-507)>을 계부(繼夫)로 하였다.
왕과 후가 신궁(神宮)에셔 대제를 지냈다.
<후도厚都>에게 명하여 주군(州郡)을 돌아보도록 하고,
주군(州郡)의 주(主)에게 칙령을 내려, 농잠과 우경(牛耕)을 장려토록하였다.
이에 앞서 나라의 풍속은 어미 소를 중요시하여 농사를 짓는데 사용하지 않았는데,
이때에 이르러 처음으로 사용하였다.
후가 딸 <진만眞晩>을 낳았다.
四月 群臣議 以眞骨正統爲太子妃 乃以宮人保刀爲太子妃 行吉 桃山
保刀太王女也 母曰善兮
得罪閉 居大廟 太子私濡 生子浮君
善兮夢見 宝花發於保刀之首 言於太子 太子遂幸之
歲餘入宮 至是善兮私夫好助洪器筆贊 骨議 立之
仙徒奉 碧花爲源花 以召文爲花之源也 或曰太子爲花主 故妃爲花之源也
遣阿珍宗 于扶余 吊牟大
4월, 신하들이 진골정통(眞骨正統)을 태자비로 할것을 논하여
궁인 <보도保刀>를 태자비로 하여 도산(桃山)에서 길례를 행하였다.
<보도保刀>는 태왕{비처}의 딸이고 어머니는 <선혜善兮>이다.
<선혜善兮>는 죄를 지어 <대묘大廟>에 유폐되어 살고 있었는데
태자가 사통하여 아들 <부군浮君>을 낳았다.
<선혜善兮>가 꿈에 가지고 있는 칼 끝에 보화(宝花)가 피는 것을 보고
태자에게 말하니 태자가 드디어 잠자리 시중을 들게하여 낳았다.
세월이 흘러 궁에 들어와 이제 선혜의 사부(私夫) <호조好助>와 <홍기洪器>가
골(骨)을 논하여 찬성하여 태자비로 세운 것이다.
선도(仙徒)가 <벽화碧花>를 원화(源花)로 받드니
소문(召文)이 화(花)의 근원이 되었다.
혹은 태자가 화주(花主)가 되어 태자비가 화(花)의 근원이 되었다고 한다.
<아진종阿珍宗>을 부여에 보내어 <모대牟大>를 조의하였다.
<선혜(459-518)>는 <묘심>의 사건에 연루되어 대묘에 유폐되어 있었지만
<조생(418-487)>의 딸로 지증대제 <지도로>의 이부동모제로 진골정통이다.
이 진골정통 <선혜>와 소지명왕 <비처>의 딸인 <보도(485-528)>와
<모진(480-540> 사이에서 태어난 딸이
24대 진흥대제 <삼모진(534-576) 재위 540-575>의 어머니인 <지소(515- )>이다.
이때 지증대제 <지도로> 66세, 왕비 <연제> 40세, 태자 <모진> 23세,
<선혜> 44세, <보도> 18세, <부군浮君> 7세,
<호조> 44세, <홍기> 42세, <벽화> 18세, <위화> 16세, <아진종> 52세이다.
七月 王與后 入海宮
7월, 왕과 후가 해궁으로 들어갔다.
八月 命魏花 行嘉俳祭 于南桃 太子爲之
發羽林軍 盛其儀
以錦衣飾花母碧我 裁以高卒 觀光者萬計
行月歌 于南桃
心道生 聖明子明心
8월, <위화魏花>에게 명하여 태자를 위하여
남도(南桃)에서 가배제(嘉俳祭)를 지내게 하였다.
우림군(羽林軍)이 나아가니 그 의장이 성대하였다.
비단 옷으로 치장한 <벽화>의 어머니 <벽아碧我>의 옷 마름질이 뛰어났다.
구경꾼이 만명이었다.
남도(南桃)에서 월가(月歌)를 행하였다.
<심도心道>가 <성명聖明>의 아들 <명심明心>을 낳았다.
十月 太子與魏花 會骨女 于光院 問眞 于旱知宣登
仙徒奉碧花 行白羊大祭 于明活山
太子命 魏花爲花郞
散花空中 黃鵠來鳴
玉人監康澤 獻五花水晶盤 阿瑟良神山産也
順都發胡 入朝
淑姬生 鉗知子仇亥
10월, 태자와 <위화魏花>가 광원(光院)에 골녀들을 모아서
<한지旱知>와 <선등宣登>에게 진(眞)에대하여 물었다.
선도(仙徒)가 <벽화碧花>를 받들어 명활산(明活山)에서 백양대제를 지냈다.
태자가 <위화魏花>를 화랑(花郞)으로 명하였다.
신라 최초의 화랑인 <위화>가 화랑이 된것은
502년 10월 백양대제 때로 이때 위화는 16살이었다.
꽃이 공중에 흩날리고 누른 고니가 울며 날아왔다.
오화수정반(五花水晶盤)을 바쳐 옥인(玉人)이 강택(康澤)을 살펴보니
아슬라 신산(神山)에서 캐낸 수정이었다.
<순도順都>와 <발호發胡>가 입조하였다.
<숙희淑姬>가 <겸지鉗知>의 아들
<구해仇亥(502- ) 금관가야 10대 마지막왕 재위 521-531>를 낳았다.
十二月 命普仁 行伊同大祭
藥斗生 思明女科花
智登稟主 洪壽祖主
12월, <보인普仁>에게 이동대제(伊同大祭)를 지내라고 명하였다.
<약두藥斗>가 <사명思明>의 딸 <과화科花>를 낳았다.
<지등智登>을 품주로 <홍수洪壽>를 조주(祖主)로 하였다.
지증왕 4년(503) 흑양(黑羊) 癸未
正月 王有疾 后與太子 受朝 眞宮
大雪三日 都民樂太平 醉舞雪中 王爲之 扶疾賜酒
以阿時伊登爲太子舍人
정월, 왕이 병이 나서 후와 태자가 진궁에서 조하를 받았다.
대설(大雪)이 3일간 내렸다.
왕이 눈 속에서 술을 내려 병이 났지만
경도(京都)의 백성이 눈 속에서 술에 취하여 춤을 추며 태평함을 즐겼다.
<아시阿時>와 <이등伊登>을 태자 사인(舍人)으로 하였다.
二月 王與后 親祀登欣公 立其廟 于牟梁 壽于太太夫人
2월, 왕과 후가 친히 <등흔登欣>공을 제사 지냈다.
모량(牟梁)에 그 묘를 세우고 태태부인(太太夫人)의 장수를 기원하였다.
태태부인 <모량>의 70세 고희연(古稀宴)에 참석하여
모량에 등흔공의 사당을 세운 것이다.
三月 伊登爲其父叔欣 祝福 于桃山
王命剡臣 往誄之 剡臣因得疾 而卒 王深戾之 厚葬之
3월, <이등伊登>이 도산(桃山)에서 그 어버지 <숙흔叔欣>의 명복을 빌었다.
왕이 <염신剡臣>에게 명하여 가서 조문을 읽도록 하니 그것이 잘못되어
<염신剡臣>이 병이나서 죽었다.
왕이 <염신剡臣>에게 지나치게 치우쳐 후하게 장례를 치루었다.
四月 發胡生 順都子 賜米衣 名曰發山
旱知生 太子女 于光院 后往洗之 名以光兒尋 命旱知 入太子宮監事
普賢生 太子女梭失 帝洗之 賜衣
太子命 魏花爲宣登子 碧我爲宣登妻
靑華女明華生 太子子明公 后洗兒 賜米商魚 賜靑華聖明八海 衣馬
伊飡馬宿薨 久掌大畜 大有功績 其子宋宿 亦能繼業
4월, <발호發胡>가 <순도順都>의 아들을 낳아 쌀과 옷을 내리고
이름을 <발산發山>이라고 하였다.
<한지旱知(472- )>가 태자의 딸을 광원(光院)에서 낳아 후가 가서 아기를 씻고
이름을 <광아光兒>로 생각하여 <한지旱知>에게 태자궁에 들어가
아기 이름을 살펴보라고 하였다.
<보현普賢(482- )>이 태자의 딸 <사실梭失>을 낳아 왕이 아기를 씻고 옷을 내렸다.
<한지>는 소지명왕 <비처>의 딸이고 <보현>은 태자의 친동생이다.
태자가 <위화魏花>를 <선등宣登>의 아들로
<벽아碧我>를 <선등宣登>의 처로 명하였다.
<벽아>와 <선등>은 동갑으로 이때 35살이다.
<청화靑華>의 딸 <명화明華(486- )>가 태자의 아들 <명공明公>을 낳아
후가 아기를 씻고 쌀과 고기를 내리고
<청화靑華>, <성명聖明>, <팔해八海>에게 옷과 말을 내렸다.
이찬 <마숙馬宿(434-503)>이 죽었다.
오래도록 대축(大畜)을 관장하여 큰 공적을 남겼고
그 아들 <송숙宋宿> 역시 그일을 잘하였다.
<마숙>은 눌지왕의 서자이다.
七月 后與太子魏花祀 捺己神山
命息晉爲神山村主 統其衆
扶余入貢 明珠寶馬 答以白璧七雙
先是 翡凰女瑤凰 入扶余 至是 生斯摩子 請見翡凰許之
7월, 후와 태자, <위화魏花>가 날기(捺己) 신산(神山)에서 제사를 지냈다.
<식진息晉>을 신산촌주(神山村主)로 명하여 그 무리를 통솔토록 하였다.
식진(벽씨) - 벽아(염신) - 위화(487- )
<식진>은 <위화>의 외할아버지이다.
부여가 입조하여 명주(明珠)와 보마(寶馬)를 공물로 바치니
답으로 흰 구슬 7쌍을 보냈다.
이에 앞서 <비황翡凰>의 딸 <요황瑤凰>이 부여에 들어가
이제와서 <사마斯摩>의 아들을 낳으니 <비황翡凰>이 보기를 청해 허락하였다.
八月 新設 天臺
行大嘉俳 于南桃
8월, 천대(天臺)를 신설(新設)하였다.
남도(南桃)에서 대가배(大嘉俳)를 행하였다.
九月 行大場 于南郊
天臺博士等 曰 “我國神邦䙲域 宜以新羅定號 宜上神帝神后之號” 伊欣 以其議奏之
碧花生 太子子三夫 太子洗之
9월, 남교(南郊)에서 대장(大場)을 열었다.
천대(天臺)박사 등이 말하기를
“우리나라는 신방(神邦)의 지역에 있어 신라(新羅)라고 이름 지음이 마땅하며,
올리어 신제(神帝)와 신후(神后)로 불러야 마땅합니다.”라고 하니
<이흔伊欣>이 그 의견을 상주하였다.
<벽화碧花>가 태자의 아들 <삼부三夫>를 낳아 태자가 아기를 씻었다.
十月 築壇 于閼川之上 受帝號 賜酺 大赦
帝與神后 巡狩國中 恤民 視政
10월 단(壇)을 쌓고, 알천 위에서 제(帝)의 호(號)를 받았다.
잔치를 열어 술을 내리고 죄수를 대사면하였다.
제(帝)와 신후(神后)가 나라 안을 두루 살피며 백성을 구휼하고 정사를 살폈다.
十一月 牟梁夫人薨 以后禮葬之 命普賢公主爲祭主 立牟梁宮 承大元神統
洪壽女壽欣 生富達子叔達 帝達洪壽宅 賜米
帝與海梁 入海宮
后命太子 監國
11월, <모량牟梁>부인이 죽어 후의 예(禮)로 장례하였다.
<보현普賢>공주를 제주로 명하고 모량궁을 세워 대원신통(大元神統)을 잇게 하였다.
* 대원신통의 계보
보미(대원신통의 祖) - 모량 - 연제 - 오도(진골정통 선혜의 딸이나 연제의 딸이 됨) -
옥진 - 묘도 - 미실
사도(대원신통의 宗, 진흥대제 삼모진의 비)
<홍수洪壽>의 딸 <수흔壽欣>이 <부달富達>의 아들 <숙달叔達>을 낳아
제(帝)가 <홍수洪壽>의 집에 가서 쌀을 내렸다.
제(帝)와 <해량海梁>이 해궁으로 들어갔다.
후가 태자를 감국(監國)으로 명하였다.
十二月 阿珍宗稟主 宝玉祖主
伊飡德智卒 以角干禮葬之
德智善騎射 有將才 累建大功
其妻肜肜 有寵於太子 別立第宅 極其奢侈 以媚太子 論者欠之 國人聞其
其喪莫不惜之 有泫然泣下者
太子親臨 視葬 肜肜爲 太子不孝其夫 粉脂談笑 侍枕如常
其子肜吹亦然 阿珍宗亦姐 太子而不以禮 責反以爲忠 請加其爵
太子大喜 曰 “好稟主也”
肜吹年才十四 而位與其兄常德齊 常德不敢抗之
願以肜吹爲嗣 太子許之 肜吹以緋袴 爲主
12월, <아진종 阿珍宗>을 품주로 <보옥宝玉>을 조주로 하였다.
이찬 <덕지德智>가 죽어 각간의 예로 장례를 치루었다.
<덕지德智>는 기사(騎射)를 잘 하여 장군의 재능이 있어 여러차례 큰 공을 세웠다.
그 처 <융융肜肜>은 태자의 총애가 있어 특별한 집을 짓고
사치를 지극히 심하게하여 태자에게 아첨하였다.
논하는 자가 이를 흠결이 있다고 평하니 나라 사람들이 그 말을 들었다.
그 초상은 애석함이 없지 않으니 울면서 눈물을 흘리는 자가 있었다.
태자가 친히 왕림하여 장례를 살펴 보았다.
<융융肜肜>이 태자를 위하여 그 남편에게 불효하게 분지를 바르고 담소하며
평상시와 같이 태자에게 시침을 들었다.
그 아들 <융취肜吹> 역시 그리하고 <아진종阿珍宗>도 역시 아부하니
태자는 예(禮)가 아니라, 문책과 반대를 충성으로 여기고
그 작위를 더하기를 청하였다.
태자가 크게 웃으며 말하기를
" 좋은 품주이다."라고 하였다.
<융취肜吹>는 나이 14살로 재주가 있어 그 형 <상덕常德>과 직위를 나란히 하니
<상덕常德>은 감히 이를 막지 못하였다.
<융취肜吹>를 후사(後嗣)로 원하니 태자가 이를 허락하여
<융취肜吹>는 붉은 바지를 입고 주(主)가 되었다.
이때 <상덕> 28세, <융취> 14세이다.
지증왕 5년(504) 청원(靑猿) 甲申
正月 太子奉后 受朝 眞宮 賜酒骨老上仙
后與太子 謁桃山
滯雪 羽林除之不得 遂宿廟宮三日
后日食五雉 御廚乏雉 廚人欲自刎 以贖之 忽有群雉 走入 烹以進之
后佳其味 賜廚人爵一級
靑良南路將軍 河大北路將軍 鳥石兵官匝判
정월, 태자가 후를 받들어 진궁에서 조하를 받고
골노(骨老)와 상선(上仙)에게 술을 내렸다.
후와 태자가 도산(桃山)을 알현하였다.
눈으로 길이 막혀 우림군으로 하여금 눈을 치우게하고 부득이 묘궁에서 3일을 잤다.
후는 하루에 5마리의 꿩을 먹어 소주방(燒廚房)에 꿩이 모자라
소주방 사람들이 속죄로 스스로 자결코자하니
문득 꿩들이 달려 들어와 이를 구워서 진상하였다.
후가 그 맛이 좋아 소주방 나인들의 작위를 일급씩 올려 주었다.
<청량靑良>을 남로장군으로 <하대河大>를 북로장군으로
<오석鳥石>을 병관잡판으로 하였다.
二月 太子犒京路將士 命宣登阿時往 問北路將士 賜以征袍 皆太子宮所製也
善兮生 好助女兩花 賜米
角干伐智卒 有膽力 善兵事 與異父弟德智 久掌軍事 振起武風 大有功於國家
其妻成梁 叔欣之妹也 后事之如母 賜之城南田宅 加其子伐梁斗公 爵阿飡
洪壽生 智登女智壽
2월, 태자가 경로장사(京路將士)들에게 음식을 보내어 위로하고
<선등宣登>과 <아시阿時>를 북로장사(北路將士)들에게 보내어 위문토록하고
군복을 내리니 모두 태자궁에서 만든 것이다.
<선혜>가 <호조>의 딸 <양화兩花>를 낳아 쌀을 내렸다.
각간 <벌지伐智>가 죽었다.
담력이 있고 병사(兵事)를 잘하여 어버지가 다른 동생 <덕지德智>와 함께
오래도록 군사(軍事)를 관장하였다.
무풍(武風)을 일으켜 진작시켜 국가에 큰 공을 남겼다.
그 처 <성량成梁>은 <숙흔叔欣>의 여동생으로 후가 마치 어머니처럼 섬겼다.
성 남쪽에 밭과 집을 내리고
그 아들 <벌량伐梁> 두공(斗公)에게 아찬의 작위를 더하였다.
<홍수洪壽>가 <지등智登>의 딸 <지수智壽>를 낳았다.
이때 신후 <연제> 42세, 태자 <모진> 25세. <선등> 36세. <아시> 24세,
<벌지> 68세, <성량> 63세, <벌량> 40세, <홍수> 40세, <지등> 60세이다.
三月 帝自海宮還 洗保道保道子蔥公
太子巡狩國中 后與碧花從之
厚蒂生 帝女好彘
3월, 제(帝)가 해궁에서 돌아와 <보도保道>의 아들 <총공蔥公>을 씻어 주었다.
태자가 나라 안을 사냥하며 순찰하니 후와 <벽화碧花>가 따라갔다.
<후체厚蒂>가 제(帝)의 딸 <호체好彘>를 낳았다.
이때 신제(神帝) <지도로> 68세, <보도> 20세, <벽화> 20세, <후체> 21세이다.
四月 角干毗己薨 毗己妬帝 得罪 而帝寬恕之 命厚葬之
厚都殿君奏 曰 “臣之義父德智喪 其子緋(衤+非)袴
今毗己之喪 其子沈酒溺婢 宜制喪服之法 而施之” 帝許之
4월, 각간 <비기毗己>가 죽었다.
<비기毗己>는 제(帝)를 질투하여 죄를 지었으나
제(帝)가 관대히 용서하고 후하게 장례토록 명하였다.
<후도厚都> 전군(殿君)이 아뢰기를
" 신의 의부(義父) <덕지德智>의 초상은 그 아들이 붉은 바지를 입고
지금 <비기毗己>의 초상은 그 아들이 술에 취하여 노비에게 빠져 있습니다.
마땅히 상복의 법을 제정하여 이를 시행하여야 합니다." 라고 하니
제(帝)가 허락하였다.
六月 太子還都 奏事請築諸城 乃置城師大監 劃之
太子謂厚都 曰 “肜肜事我 而不素 兄何責之 以禮”
厚都叩頭 曰 “非禮 無以治衆臣 所以立禮者爲太子也
太子妾 公卿之妻已 非禮也 况其薦 枕於喪哀之中乎”
太子不悅 宣登曰 “禮者節文 庶人非節文 無以制 太子聖人
不可以禮言 肜肜以太子爲聖夫 安可爲私夫素之
但於一視之度 難可加減 太子可與肜肜行吉 以明不素之義可也”
太子大悅 曰 “宣兄聖人也 厚兄賢人也 二兄事我 我何憂乎”
厚都叩頭謝出 太子命 肜肜飾以金寶 吉于 鮑祠
改其宅爲宮 置者翁 其威儀一如妃嬪 厚都不敢再諫
6월, 태자가 경도(京都)로 돌아와 여러 성을 쌓도록 상주하니
성사대감(城師大監)을 두고 이를 계획하였다.
태자가 <후도厚都>에게 일러 말하기를
" <융융肜肜>은 나를 섬겨 순결하지 못한데 형은 예로서 어찌 그것을 문책하십니까?"
라고 하니
<후도厚都>가 머리를 조아리며 말하기를
" 비예(非禮)는 중신(衆臣)을 다스리지 못하고 예(禮)를 세우는 자는 태자입니다.
태자의 첩이 이미 공경의 처가 되었으니 비예(非禮)입니다.
하물며 그를 천거하여 초상의 슬픔중에 빠지십니까?"라고 하였다.
태자가 좋아하지 않으니 <선등宣登>이 말하기를
" 예(禮)가 있는 자는 문장을 절제하고 서인(庶人)은 문장을 절제하지 아니합니다.
절제함이 없으니 태자는 성인입니다.
예(禮)라는 말은 옳지 않습니다.
<융융肜肜>이 태자를 성부(聖夫)로 여겨
사부(私夫)를 위하여 가히 그 순결을 지킨다면
한번 보기에는 법도이지만 알맞은 정도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태자와 <융융肜肜>이 함께 길례를 치루어 순결하지 못함을 밝게하면
의로움이 될것입니다."라고 하니
태자가 크게 기뻐하며 말하기를
" <선등宣登> 형은 성인(聖人)이고 <후도厚都> 형은 현인(賢人)입니다.
두 형이 나를 섬기니 내가 무슨 걱정을 하겠습니까?"라고 하니
<후도厚都>가 머리를 조아리고 사례하며 나갔다.
태자가 명하여 <융융肜肜>이 금보(金寶)로 치장하여 포사에서 길례를 치루고
그 집을 궁으로 바꾸고 늙은이를 두고 비빈(妃嬪)과 같게 격식을 갖추니
<후도厚都>는 감히 다시는 간하지 않았다.
이때 태자 <모진> 25세, <후도> 37세, 덕지의 처 <융융> 35세?, <선등> 36세이다.
七月 立大元廟 以普賢爲主
太子與魏花吾道 遊尋尋院
院主尋尋夫人 剡臣之異母妹也 爲叔欣寵妾 專其房
叔欣卒 自言閑居爲福 別立新院 於蚊川之上
極其淸雅 藏花烏絲竹 使其子森欣 引骨門子女 耽樂荒淫 太子亦數幸之
尋尋初 納其女 尋又自薦 得寵而娠 重衣以脹其腹 欲媚于太子
時吾道亦與魏花私通 而娠 恐太子知 堅帶而減其脹
尋尋食瓜與太子 入寒泉 腹冷泄矢
太子爲之扶護 尋尋籍太子 而臥 求救呻吟太子愛之 如少女 吾道謂魏花 曰 “薄命人腹不冷 但吾腹中兒 不似老姑兒矣”
7월, 대원묘(大元廟)를 세우고 <보현普賢>을 묘주(廟主)로 하였다.
태자와 <위화魏花>, <오도吾道>가 심심원(尋尋院)에 유람을 갔다.
원주(院主) <심심尋尋(470?-530)>부인은 <염신剡臣>의 배다른 어머니 여동생으로
<숙흔叔欣>의 총첩(寵妾)이 되어 그 방(房)을 전용하였다.
<숙흔叔欣>이 죽자 복을 빌며 한가로이 살면서
문천(蚊川) 위에 특별히 새로운 원(院)을 세웠다.
지극히 청아하지만 화조(花烏)와 사죽(絲竹)을 몸에 지니고
그 아들 <삼흔森欣>을 시켜 골문의 자녀를 데리고 와서 황음을 즐기며 탐닉하였다.
태자 역시 수차례 잠자리 시중을 들게 하였다.
<심심尋尋>은 처음에 그 딸을 바치고
또 <심심尋尋>도 스스로 태자에게 시중을 들어 총애를 받아 임신을 하였다.
배가 불러오니 옷을 두껍게 입고 태자에게 아첨하고자 하였다.
이때 <오도吾道> 역시 <위화魏花>와 사통하여 임신하니 태자가 알까 두려워하여
복대로 그 배를 단단히 졸려 매었다.
<심심尋尋>이 태자와 함께 참외를 먹으며 한천(寒泉)으로 들어 가니
배가 차가워 설사를 하였다.
태자가 부축하여 보호하였다.
<심심尋尋>이 태자를 깔고 누워 신음소리를 내며 구조를 구하였다.
태자가 그녀를 사랑하니 마치 소녀같았다.
<오도吾道>가 <위화魏花>에게 일러 말하기를
" 복이 없는 사람은 배가 차갑지 않으니
내 배 속의 아이는 늙은 할미의 아이만도 못하구나!"라고 하였다.
이때 <오도>와 <위화>는 487년생으로 18살 동갑내기이다.
八月 行嘉俳
8월, 가배를 행하였다.
九月 徵州郡役夫 築波里彌實珍德骨火 四城
置羽林大將軍 統衛門護城 伊欣大將軍 哲夫副將軍
翡凰 自扶余還 上土物 曰
“牟大妻燕氏 斯摩之母也 燕氏妹爲苩加 加能媚于牟大 以其妻薦于牟大 又以其女薦之
故超授佐平 群臣以其不材 多不悅 告其私畜美女
牟大問之 加不敢諱 歸告其女 曰 ‘王將欲幸汝 王有陽疾 不若避之’
女曰 ‘何爲’
加曰 ‘汝宜垢面含臭 使王棄之’
其夕 王果至 見垢面臭口 異之 問曰 ‘此美女乎’
加曰 ‘讒臣者 欺吾君也’
王疑之 使女行酒 引其婢戲之 女妬之 露其臂 視其雪白
王知其詐 與之 浴而幸之 寵大加 加怨女 欲殺之 女訴于牟大 使加 出鎭加林
加乃怨牟大 乘其滯雪馬浦 遣賊刺之 事發 召之
加懼而叛 斯摩自將 出兵牛頭 使解明討之 甚急 加子栗 曰
‘今王與我 爲從兄弟 兒當說王’ 可許之
栗乃至 辨之 曰 ‘臣父無罪 兄弟何相窘乎’
斯摩曰 ‘若無罪 何不早降 朕爲 叔母赦汝父子’
加信之 出降載 以歸燕氏 殺父之仇不報 何以歸見地下
斯摩乃 訊其實 斬之投於白江 不問其子女
以加妻妻加弟如 子其子女 如素 與加妻相通 疾加
故皆以斯摩爲明君 不怨如 又以栗爲有功 而請加爵 栗之妻 乃如女也 斯摩許之
人以爲賣父爵 而不恥 加如皆 以美皃事牟大 加有飡智 而自賊 如以無智貴”
帝召太子 戒之 曰 “汝好色 如牟大 無奪人之所好
該曰 ‘父死爲 馬以載子 母死爲 魚以食子’
汝所可奪者 唯父母而已 他不可 奪智而自賊不如 無智而貴”
時太子烝后 故帝知之 而不問太子 乃泣而出
以靑華女誠華 妻契德 爲對山君 古自之屬島也
9월, 주군(州郡)에서 부역할 장정을 징발하여
파리(波里), 미보(彌實), 진덕(珍德), 골화(骨火) 4성을 축조하였다.
우림대장군을 두고 궁문과 궁성을 지키도록 하고
<이흔伊欣>을 대장군으로 <철부哲夫>를 부장군으로 하였다.
<비황翡凰>이 부여에서 돌아와 토산물을 바치며 말하기를
“<모대牟大>의 처 <연씨燕氏>는 <사마斯摩>의 어머니로,
<연씨燕氏>의 여동생이 <백가苩加>에게 속해 있습니다.
<백가苩加>는 모대에게 아첨하기에 능숙하여,
아내를 <모대牟大>에게 바치고, 또한 딸도 <모대牟大>에게 바쳤습니다.
그런 연유로 분수에 넘치게 좌평(佐平)의 직위를 받았으며,
군신들이 재목이 아니라하며 따르지 않는 이가 많았는데,
사사로이 미녀를 모으고 있다고 고하였습니다.
<모대牟大>가 사실을 묻자, <백가苩加>가 감히 숨기지 못하였습니다.
돌아와 그 딸에게 고하여 말하기를
'왕이 장차 너에게 행차하려 한다.
왕의 양기에 병이 들었으나 이에 피할 수 없다’라고 하자,
딸이 말하기를
‘어찌하여야 합니까?’ 라고 하고,
이에 <백가>가 말하기를
‘네가 마땅히 진흙투성이 얼굴에,
냄새가 나게 하여 왕으로 하여금 포기하게 하여야 한다.’라고 하였습니다.
그날 밤 왕이 마침내 도착하여,
진흙투성이 얼굴에 냄새나는 입을 보고 괴이하게 여겨 물어 말하기를
‘이 미녀인가.’라고 묻자,
<백가>가 말하기를
‘신을 헐뜯는 이들이 우리의 임금님을 속였나이다.’라고 대답하였습니다.
왕이 의심하며 딸로 하여금 술을 따르게 하며,
그 비첩을 끌어안고 농탕질을 하였습니다.
딸이 시새움하여 팔뚝이 드러나자 그 눈처럼 하얀 피부가 보였습니다.
왕이 백가가 딸과 함께 속인 것을 알고, 행하려 하였습니다.
총애가 크게 더해졌는데, <백가>가 딸을 원망하여 딸을 죽이려 하였습니다.
딸이 <모대>에게 하소연하여
<백가>로 하여금 밖으로 나가 가림(加林)을 지키도록 하였습니다.
<백가>가 이에 모대를 원망하였습니다.
마포(馬浦)에서 눈에 막혀 있는 틈에, 역적을 보내어 찔렀습니다.
일이 발생하자 <백가>를 불렀는데, <백가>가 두려워 반란을 일으켰습니다.
<사마斯摩>가 스스로 장수가 되어, 우두(牛頭)의 병사를 출병하고,
<해명解明>으로 하여금 토벌하도록 하였습니다.
심히 급하게 되자 <백가>의 아들 <백율苩栗>이 말하기를
‘지금의 왕과 저는 종형제가 됩니다.
아들이 마땅히 왕에게 설득하여 보겠습니다.’라고 말하자 <백가>가 허락하였습니다.
<백율>이 이에 도착하여 변명하여 말하기를
‘신의 아버지는 죄가 없나이다. 형제가 어찌 서로 얽매임이 있겠습니까.’
라고 하였습니다.
<사마>가 말하기를
‘만약 죄가 없다면 어찌 일찍 항복하지 않느냐.
짐이 숙모로 하여금 사면하게 해 주겠다.’라고 하자,
<백가>가 그 말을 믿고 밖으로 나와 항복하였습니다.
이런 까닭으로 <연씨>에게 돌아왔는데,
<연씨>가 아버지를 죽인 원수에게 보답함이 없느냐.
어찌 지하로 돌아가 뵐 수 있겠느냐 라고 하자,
<사마>가 이에 그 사실을 조사하여, <백가>를 베어 백강(白江)에 던졌습니다.
<백가>의 자녀들에게는 죄를 묻지 않았습니다.
<백가>의 처는 <백가>의 동생 <백여苩如>에게 시집보내고,
<백가>의 자식은 <백여苩如>의 자녀로 하였는데,
<백여苩如>는 질박하여, <백가>의 처와 상통하게 되자, 괴로움이 커졌습니다.
그런 연유로 모두 <사마>를 명군이라 하였습니다.
<백여>를 원망하지 않았고,
또 <백율>이 공이 있다 하여 작위를 더하여 줄 것을 청하였습니다.
<백율>의 처는 이에 <백여>의 딸입니다.
<사마>가 허락하였는데, 사람들이 아버지를 판 작위라고 하였으나,
부끄러워하지 않았습니다.
<백가>와 <백여>는 모두 미모를 바쳐 모대를 섬겼으며,
<백가>는 <모대>가 저녁 먹은 일까지 알고 있었는데, 스스로 역적이 되었습니다.
<백여>는 이로써 존귀함을 알지 못합니다.”라고 하였다.
왕이 태자를 불러 타이르며 말하기를
“네가 호색함은 <모대>와 같다.
다른 사람이 좋아하는 것을 뺏음이 없어야 한다.
<해該>가 말하기를
‘아비를 죽인 자는 말처럼 수레를 끌게 하고,
어미를 죽인 자는 젓갈로 만들어 먹어야 한다.’라고 하였다.
네가 빼앗으려는 것은 오직 부모이기 때문에 가능할 뿐, 다른 사람에게는 불가하다.
빼앗은 것을 알면 스스로 도적인 것보다 못하여, 존귀함을 알지 못한다.”라고 하였다.
당시 태자가 <연제>를 증(烝)하였음을 왕이 알고 있었으나 태자에게 캐묻지 않았다.
이에 태자가 울면서 밖으로 나갔다.
<청화靑華>의 딸 <성화誠華>를 <계덕契德>에게 시집보내고,
<계덕契德>을 대산군(對山君)으로 삼았는데, 대산(對山)은 고자(古自)에 속한 섬이다.
十月 命厚都 行大場
元臣妻妙蘭 生太子子妙公 太子與剡花 洗兒賜米 加元臣 爵一級 賜妙蘭紫衣
10월, <후도厚都>에게 명하여 대장(大場)을 열게하였다.
<원신元臣>의 처 <묘란妙蘭>이 태자의 아들 <묘공妙公>을 낳아
태자와 <염화剡花>가 아기를 씻고 쌀을 내렸다.
<원신元臣>에게 작위 일급을 더하고 <묘란妙蘭>에게 자의(紫衣)를 내렸다.
十一月 尋尋生子尋公 太子洗之 人以爲尋 非太子子也 其狀皃酷肖森欣故也
玉蘭生 魏花女紫蘭 太子洗之
行牟梁夫人大祭 后自爲祭主 帝以后震滿 恐有損 命普仁妙紅 扶而行之
剡花生 太子女慕花 太子洗之
11월, <심심尋尋>이 아들 <심공尋公>을 낳아 태자가 아기를 씻었다.
사람들이 <심심尋尋>을 위하여 태자의 아들이 아니다라고 하였다.
그 얼굴 모습이 <삼흔森欣>을 닮았기 때문이다.
<옥란玉蘭>이 <위화魏花>의 딸 <자란紫蘭>을 낳아 태자가 아기를 씻었다.
<모량牟梁>부인의 대제를 지냈다.
후가 스스로 제주가 되니 제는 후가 임신으로 배가 불러 아기가 떨어질까 걱정하여
<보인普仁>과 <묘홍妙紅>에게 명하여 이를 도우도록 하였다.
<염화剡花>가 태자의 딸 <모화慕花>를 낳아 태자가 아기를 씻었다.
十二月 好助稟主 牟淵祖主
帝與海梁保刀宝玉 入海宮
12월, <호조好助>를 품주로 <모연牟淵>을 조주로 하였다.
제와 <해량海梁>, <보도保刀>, <보옥宝玉>이 해궁으로 들어갔다.
지증왕 6년(505) 벽계(碧鷄) 乙酉
正月 太子與后 受朝 眞宮
后入桃山 生子玉宗 太子洗之
정월, 태자와 후가 진궁에서 조하를 받았다.
후가 도산에 들어가 아들 <옥종玉宗>을 낳아 태자가 아기를 씻었다.
<옥종>은 태자 <모진>이 어머니 <연제>를 증하여 낳은 아들이다.
二月 宝玉生帝女 于海宮
帝名之以宝浪 加阿珍宗爵一級 賜宝玉紫錦衣白大馬
竹仁生 太子子竹公
吾道生女玉珍 初吾道爲保刀媵 得寵于太子
太子以魏花爲枕臣 起臥同之 吾道心悅之
時保刀有寵于帝 故太子不肯近
保道常自歎 肥滿而不得太子寵 盖太子嘲 其肥而牝狗 呼之故也
吾道憐其無寵 每引太子 而入其室 太子輒命 魏花合保刀
吾道曰 “兄是眞統 非太子不可 妾非正妃 可與魏偕”
太子知 其悅之 不許 及巡國中 魏花有疾 不得隨吾刀 逐日來視 聯膝而坐 手縫魏衣 曰
“法兄玉膏 吾父不及”
魏亦悅之 而未得太子許 故不敢近吾刀 不能自去 與之同衾 徹夜不眠 玉蘭問之
勸魏花濡之 遂相通 有異香滿身 光明大發 玉蘭曰 “殆生貴人之兆 奈無震詔何”
吾刀曰 “天已定矣 何懼之”
有遂相交 好如夫婦 太子以其娠 非其時黙之 吾道乃實告之 曰 “妾之罪也 非魏爲之”
太子乃 命魏花洗之 而許以妻之
帝命阿珍宗 定州郡縣界 親自名之
以水路將軍朴伊宗爲悉直州軍主 統東北路軍事 伊宗有智略 多奇功
太子特加其爵 而拔之 伊宗入闕 受符 太子命 謁神后 於桃山
后以玉宗視之 曰 “朕所以用汝者 爲此子也 有事卽 來乃授紫衣白馬” 呼吸密符
2월, <보옥宝玉(452?-521)>이 제(帝)의 딸을 해궁에서 낳았다.
제(帝)가 이름을 <보랑宝浪>이라하고
<아진종阿珍宗>에게 작위를 일급 더하고 <보옥宝玉>에게 자금의와 백대마를 내렸다.
<보옥>은 백제 개로왕 <경사>의 딸로서 <아진종>의 처이다.
<죽인竹仁>이 태자의 아들 <죽공竹公>을 낳았다.
<오도吾道>가 딸 <옥진玉珍>을 낳았다.
처음에 <오도吾道>는 <보도保刀>의 몸종이 되어 태자의 총애를 받았다.
태자가 <위화魏花>를 침신으로 삼아 같이 자고 일어나니 <오도吾道>는 기뻐하였다.
이때 <보도保刀>는 제(帝)의 총애가 있어 태자가 가까이 접근하지 못하였다.
<보도保刀>는 늘 살이 쪄서 태자의 총애를 받지 못하여 자신을 탄식하니
태자는 어찌하지 못하여 조롱하며 그녀를 살 찐 암캐라고 불렀다.
<오도吾道>는 태자가 <보도保刀>를 총애함이 없는 것을 가련히 여겨
매번 태자를 데리고 그 내실로 들어가니
태자는 번번이 <위화魏花>와 <보도保刀>가 합궁토록 명하였다.
<오도吾道>가 말하기를
" 오빠는 진골정통입니다. 태자가 아니면 <보도保刀>와 합궁하는 것은 불가합니다.
첩은 정비(正妃)가 아니니 <위해魏偕>와 함께함이 옳을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태자가 알고 기뻐하였으나 허락하지 않았다.
이에 나라안을 순찰하다 <위화魏花>가 병이나니
부득이 <오도吾道>가 따라가 매일매일 와서 보고
무릎을 나란히 하여 앉아 <위화魏花>의 옷을 손으로 잡으며 말하기를
" 사형(師兄) 옥고(玉膏)는 내 아버지에 미치지 못합니다."라고 하니
<오도(487-539)>는 <묘심>과 <선혜>의 딸로 <위화>와 동갑이다..
<위화魏花> 역시 기뻐하였으나 태자의 허락을 받지 않아
감히 <오도吾道>에게 접근하지 못하고 스스로 가서 동침하지 못하고
밤새 잠을 이루지 못하였다.
<옥란玉蘭>이 이를 물어 <위화魏花>가 <오도吾道>를 적시기를 권하여
마침내 상통하니 신기한 향내가 온 몸에서 나고 광명이 크게 비추었다.
<옥란玉蘭>이 말하기를
" 귀인이 태어 날 조짐이다. 어찌 임신한것을 아뢰지 못하는가?"라고 하니
<오도吾道>가 말하기를
" 하늘이 이미 정하였으니 어찌 두려워하겠는가?"라고 하였다.
마침내 서로 교제하니 마치 부부 같았다.
그때 태자가 그 임신한 사실을 알고 묵시하지 않으니
<오도吾道>가 사실대로 고하기를
" 첩의 죄이지 <위화魏花>의 죄가 아닙니다."라고 하니
이에 태자는 <위화魏花>에게 아기를 씻어주라고 명하고
<오도吾道>를 처로 허락하였다.
제(帝)가 <아진종阿珍宗>에게 명하여 주군현(州郡縣)의 경계를 정하도록 하고,
몸소 주군현(州郡縣)의 이름을 지었다.
수로장군 <박이종朴伊宗>을 실직군주로 삼아, 동북로군사를 총괄하도록 하였다.
<이종伊宗>은 지략이 있고 뛰어난 공로가 많아,
태자가 특별히 그 작위를 더하여 뽑았다.
<이종伊宗>이 입궐하여 부절(符節)을 받았다.
태자가 명하여 도산(桃山)에서 신후(神后)를 알현하도록 하였다.
후가 <옥종玉宗>을 보여주며 말하기를
“짐이 너를 쓰고자 하는 바는 이 아이 때문이다.
섬김이 있는 즉, 장래에 자의와 백마를 내리겠다.”라고 하였다.
숨을 들이 쉬며 밀부(密符)를 받았다.
내물(방단) - 방석(이씨: 백제녀) - 이종(454-524)
<이종伊宗>의 계보를 보면,
<내물>이사금의 손자로 성이 김(金)씨가 되어야 하나,
박(朴)씨라 기재하여 혼란을 주고 있다.
삼국유사에도 우산국을 정벌한 사람을 <박이종>이라 적고 있다.
<이종伊宗>은 454년 8월에 내물의 아들인 <방석方石>과 백제녀 이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474년 8월 백제 문주왕을 따라 종군하여 백제로 간 뒤 기록이 없다가
497년 6월에 와서야 비로소 관산성주로 신라의 관직을 하사 받는데,
여기에서 박이종으로 나오니 이때 박씨 성을 하사 받은 것일까?
三月 太子與后 抱玉宗 謁神宮 誓天 翌日 詣海宮 謁帝
帝命太子 行副君事
富世比烈城主
太子以肜吹立宗爲左右枕臣 罷左枕臣魏花爲衛監 右枕臣比梁爲舍人
先是吾道娠 漸高而憂 魏花乃告 於星兄阿時 而乞救 阿時許救之 强通吾道
吾道欲免禍 而事之甚恭
太子以吾道娠 非其時 將詰之 阿時曰 “聖人不問 衆妾之私者 愛人如己故也”
太子賢其言 而不問 赦之
阿時乃 以其功 欲通玉蘭 魏花乃 迎阿時 于其家 使玉蘭奉酒 而姐 蘭拒之 曰
“太子愛吾夫 而赦之 豈阿兄之功乎”
阿時不悅而起 魏花問之 使蘭挽之 蘭猶豫未決 阿時出 謂太子 曰
“魏花有罪 不宜侍枕 恐有不虞”
太子然之 乃罷之 魏花乃 泣謂玉蘭 曰 “汝不聽阿兄之言 我至于此”
玉蘭乃 自詣宝兮宅 謝之 阿時遂引玉蘭 于其寢 而濡之
3월 태자와 후가 <옥종玉宗>을 안고 신궁을 알현하여 하늘에 맹세하였다.
다음날 해궁에 이르러 왕을 알현하였다.
제(帝)가 태자를 부군사(副君事)에게 가도록 명하였다.
<부세富世>를 비열성주로 하였다.
태자가 <융취肜吹>와 <입종立宗>을 좌우 침신으로 하고
좌 침신 <위화魏花>를 위감(衛監)으로 우 침신 <비량比梁>을 사인(舍人)으로 하였다.
이에 앞서 <오도吾道>가 임신하여 배가 불러오니 걱정하여
<위화魏花>가 성형(星兄) <아시阿時>에게 구하여 달라고 하니
<아시阿時>는 <오도吾道>를 강제로 사통하고 구하여 줄 것을 허락하였다.
<오도吾道>가 화를 면하고자 하여 매우 공손히 <아시阿時>를 섬겼다.
태자가 <오도吾道>의 임신이 그때가 아니라 힐책코자 하였다.
<아시阿時>가 말하기를
" 성인은 애인을 자기와 같이 여기니 첩의 사자(私者)를 묻지 않습니다."라고 하니
태자가 그 말을 현명하다고 여겨 묻지 않고 그를 사면하였다.
이에 <아시阿時>는 그 공으로 <옥란玉蘭>과 사통하고자 하니
<위화魏花>가 <옥란玉蘭>의 집에 <아시阿時>를 맞아들였다.
<옥란玉蘭>을 시켜 <아시阿時>에게 술을 올려 교태를 부리도록하니
<옥란玉蘭>은 거절하며 말하기를
" 태자가 내 남편을 사랑하여 사면한 것이지 어찌 아형(阿兄)의 공인가?"라고 하였다.
<아시阿時>는 불쾌하여 일어나 <위화魏花>에게 그 일을 믈으니
<옥란玉蘭>을 시켜 <아시阿時>를 당기도록 하였으나 <옥란玉蘭>은 미루었다.
<아시阿時>가 나가 태자에게 일러 말하기를
" <위화魏花>에게 죄가 있습니다.시침(侍枕)을 시켜서는 안됩니다.
뜻하지 않은 일이 생길까 염려됩니다."라고 하니
태자가 그렇다고 여겨 파면한 것이다.
이에 <위화魏花>는 울며 옥란<玉蘭>에게 말하기를
" 당신이 아형(阿兄)의 말을 듣지않아 나는 여기서 끝이다."라고 하니
이에 <옥란>은 스스로 <보혜>집으로 가서 <아시阿時>에게 사례하니
<아시阿時>는 마침내 그 잠자리에서 <옥란>을 데리고 들어가 그녀를 적시었다.
이때 태자 <모진> 26세, <옥란> 28세, <아시> 25세, <보도> 21세,
<위화> 19세, <오도> 19세, <비량> 18세, <융취> 17세, <입종> 16세이다.
四月 帝自海宮還都 命放魏花 于天鏡林
魏花自屬衛監 涕泣呼 救於太子 太子乃命待罪 于其家
至是帝召太子 命恤保道 而治吾道魏花
太子乃愛保道之有大器 不似吾道之輕薄 始有琴瑟
保道大喜 力救魏花於帝 曰
“非魏花之過 妾安得太子之寵 魏花之自娛者 實爲妾而捨身也”
帝怒解 命輕其罪 使置林中 命看鳥獸 黜吾道 爲遊花
阿時以爲雲人不可黜泥 請贖爲婢 太子乃賜阿時 爲妾 吾道抱阿時 泣曰
“妾非夫公 則落溷矣 浩恩如天 奈魏郞之放何”
阿時笑 曰 “汝尙癈矣 自足而已 復何望蜀”
玉蘭亦泣 兄于阿時 曰 “兄公以爲護我夫 而濡我 禍愈大何”
阿時曰 “汝不早順 而至此 久何怨我 恩譴無 常順受 而待可也”
阿時乃別魏花于途 曰 “有風便歸 不自傷也 吾與玉蘭吾道 待君之歸也”
遂娶玉蘭 吾道以理魏家 宣登碧我 亦不敢爭之
4월, 제(帝)가 해궁에서 경도(京都)로 돌아와
천경림(天鏡林)에 <위화魏花>를 방면토록 명하였다.
<위화魏花>는 위감(衛監)에 소속한 이래 울면서 태자에게 구원을 호소하였다.
이에 태자는 그 집에서 대죄(待罪)토록 하였다.
이제와서 제(帝)가 태자를 불러 <보도保道>를 가엾이 여겨
<오도吾道>와 <위화魏花>를 다스리도록 명하였다.
이에 태자는 <보도保道>의 큰 그릇을 사랑하니
<오도吾道>의 경박(輕薄)함만 못지 아니하여 처음으로 금슬(琴瑟)이 있었다.
<보도保道>가 크게 기뻐하며 제(帝)에게 <위화魏花>의 구원을 힘써 아뢰기를
" <위화魏花>의 잘 못이 아닙니다.
첩이 태자의 총애를 받고자 <위화魏花>가 스스로 즐겨 그리한 것입니다.
실은 첩이 몸을 버린 것입니다." 라고 하니
제(帝)가 노여움을 풀고 그 죄를 가볍게 하여
천경림을 설치하여 <위화>에게 조수(鳥獸)를 살피도록 명하고
<오도吾道>를 내쫓아 유화(遊花)가 되도록 하였다.
<아시阿時>가 떠돌이가 되어 진흙탕에 내쫓음은 불가하니
노비가 되어 속죄토록 청하였다.
이에 태자가 <아시阿時>의 첩으로 내렸다.
<오도吾道>가 <아시阿時>를 포옹하며 울며 말하기를
" 첩은 남편이 아니면 어지럽게 떨어진 낙엽입니다.
하늘과 같은 넓은 은혜로 어찌 <위화>랑을 내칩니까?"라고 하니
<아시阿時>가 웃으며 말하기를
" 너는 이미 버려진 것이다.
스스로 이미 만족하였는데 어찌 다시 혼자이기를 바라느냐?"
<옥란玉蘭>도 역시 울면서 <아시阿時>에게 말하가를
" 형공(兄公)이 나의 남편을 보호하여 나를 적시었으니 잘 못이 얼마나 큰가?"
라고 하니
<아시阿時>가 말하기를
" 당신은 일찌기 순종하지 않고 이제와서 오래도록 어짜 나를 원망하느냐?
은혜도 꾸지람도 없으니 항상 순종을 받아들여 기다리는 것이 옳을 것이다."
라고 하였다.
이에 <아시阿時>는 별도로 <위화魏花>게 말하기를
" 풍류가 있으면 돌아오기 편하고 스스로 다치지 아니한다.
나와 <옥란>과 <오도>는 군(君)이 돌아오기를 기다릴 것이다."라고 하였다.
마침내 <옥란玉蘭>에게 장가들고 <오도吾道>는 위화의 집을 거느리니
<선등宣登>과 <벽아碧我> 역시 감히 그 일을 다투지 않았다.
五月 太子閱羽林 于北川 試五士 各取百人
太子舍人守知 能通大書天文 可任博士 且爲普賢之夫 故神后愛之 賞賜甚富
至是立其院 曰 “寶文 使帝子女就學之” 后亦自至 而講習不怠
5월, 태자가 북천(北川)에서 우림군을 사열하고
오사(五士)를 시험하여 각 백 명을 선발하였다.
태자 사인(舍人) <수지守知>가 대서(大書)와 천문에 능통하여 박사로 임명하고
또한 신후가 그를 사랑하여 <보현普賢>의 남편으로 하고
많은 부(富)를 상으로 내렸다.
이제와서 그 원(院)을 세우고 말하기를
" 보문(寶文)에 제(帝)의 자녀를 취학토록 하라."고 하였다.
후 역시 지금까지 강습(講習)에 태만하지 않았다.
六月 后與太子 遊尋尋院 宴骨女宝兮洪壽等
妙紅生 太子女妙燕 后往洗之 賜米衣 賜勿力 爵一及
帝與碧花入凉宮
6월, 후와 태자가 심심원(尋尋院)으로 유람하여
골녀 <보혜宝兮>와 <홍수洪壽> 등에게 잔치를 열었다.
<묘홍妙紅>이 태자의 딸 <묘연妙燕>을 낳아 후가 가서 아기를 씻고
<물력勿力>의 작위를 일급 올려주었다.
제와 <벽화>가 양궁으로 들어갔다.
七月 大雨十日 后與太子滯雨 於弘峴宮 歌仙冒雨來聚 獻歌 于神后及玉宗
大元廟宝美像成 命好知書之 廟主普賢與好知 入牟梁舊宮 誦經
又命伊欣俊明 行牟梁夫人齋福 于舊宮 芬宗普仁亦 往行登欣公齋福
心道生 宝元女元心 而疾 命藥師 赴其宅 治之
7월, 큰비가 10일간 내렸다.
후와 태자가 홍현궁(弘峴宮)에서 비로 체류하였다.
가선(歌仙)들이 비를 무릅쓰고 와서 모여 신후와 <옥종玉宗>에게 노래를 바쳤다.
대원묘(大元廟) 보미상(宝美像)이 완성되어 <호지好知>가 그것을 쓰고
묘주 <보현普賢>과 <호지好知>가 모량구궁으로 들어가 경(經)을 암송하고
또 <이흔伊欣>과 <준명俊明>에게 명하여 구궁에서 모량부인의 명복을 빌도록 하였다.
<분종芬宗>과 <보인普仁> 역시 가서 <등흔登欣>공의 명복을 빌게 하였다.
<심도心道>가 <보원宝元>의 딸 <원심元心>을 낳았으나
병이 나서 약사(藥師)에게 명하여 그 집에 가서 치료토록 하였다.
八月 命肜吹 行嘉俳 骨女之慕魏花者 泫然流涕 太子聞之 亦有凄愴之色
保道乃奏 曰 “魏花性不好色 雖與妾同膚而臥 猶不犯 妹自誤之 身以進妾也”
太子曰 “吾豈一女之事 黜五年之寵臣 只以父皇之詔 譴之也”
聖明妻心道薨 聖明悲哀 命靑華歸之 以慰
胡都生 順都子都斗 入朝
8월, <융취肜吹>에게 명하여 가배를 행하도록 하였다.
골녀들이 <위화魏花>를 사모하여 눈물을 흘렸다.
태자가 이를 듣고 역시 처절하게 고통스러워 하는 빛이 얼굴에 나타났다.
이에 <보도保道>가 상주하여 이르기를
" <위화魏花>의 성품은 색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비록 첩과 살을 맞대고 누워도 범하지 않습니다.
<오도吾道> 스스로 오해하여 몽이 첩에게로 다가온 것입니다."라고 하니
태자가 말하기를
" 내 어찌 한 여자의 일로 5년을 같이한 총신(寵臣)을 버리겠는가?
단지 부황(父皇)의 조칙으로 그를 꾸지람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성명聖明>의 처 <심도心道>가 죽었다.
<성명聖明>이 슬퍼하니 <청화靑華>에게 가서 위로토록 하였다.
<호도胡都>가 <순도順都>의 아들 <도두都斗>를 낳고 입조하였다.
九月 太子與后 獵于天鏡林 阿時送駿馬于魏花
命會獵場 魏乃騎其馬 馳騁如飛 射殪大猪 后壯之 曰
“朕知 魏花一玉冠 其英勇若此 何可居外”
乃召執手 慰之 魏花大感 進抱聖頸 而號哭 后乃 抱以與太子 曰 “可復和也”
太子亦揮淚 抱之 曰 “浮雲之弊也 無傷爾心” 遂復愛之如初 以爲枕臣頭上
9월, 태자와 후가 천경림(天鏡林)에서 사냥하였다.
<아시阿時>가 <위화魏花>에게 준마를 보냈다.
사냥터로 모이도록 명하니 <위화魏花>가 준마를 타고 날으듯이 이리 저리 달려
큰 멧돼지를 활로 쏘아 쓰러뜨리니 후가 그 씩씩함을 말하기를
" 짐은 <위화魏花>의 한 옥관(玉冠)을 알고 있다.
그 영특하고 용맹함이 이와 같다면 그 외에 누가 있겠는가?"
이에 불러 손을 잡으며 그를 위로하니
<위화魏花>는 크게 감동하여 나아가 신후의 목을 안고 통곡하였다.
이에 후는 태자와 함께 안고 말하기를
" 가히 또 다시 화목하다."라고 하니
태자 역시 눈물을 흘리며 그를 안고 말하기를
" 뜬 구름의 병폐다. 너는 상심하지 말라."
마침내 그를 처음과 같이 사랑하여 침신두상(枕臣頭上)으로 삼았다.
十月 置舟津暑 命集舟木製舟楫 又置藏氷司 命常德爲舟津監 勿力爲藏氷
伊飡毗羅薨 羅以太王胞弟 不附于毗己 而忠于帝 終始不二帝 甚賢之 以角干禮葬之
以比智爲角干 智登爲兵官伊飡 毗己妻悅凰 毗羅妻眉闌 各賜年穀百石
10월, 주진서(舟津暑)를 설치하고 나무로 주즙(舟楫)을 만들어 배를 모우도록 명하고
또 장빙사(藏氷司)를 설치하여
<상덕常德>을 주진감(舟津監)으로 <물력勿力>을 장빙(藏氷)으로 하였다.
이찬 <비라毗羅>가 죽었다.
<비라毗羅>는 태왕의 포제(胞弟)이다.
<비기毗己>에게 붙지 않고 제(帝)에게 충성하여
시종 두 임금을 섬기지 않으니 심히 현명하였다.
각간의 예로 장례를 치루도록 하였다.
<비지比智>를 각간으로 <지등智登>을 병관이찬으로 하고
<비기毗己>의 처 <열황悅凰>과 <비라毗羅>의 처 <미란眉闌>에게
각각 년곡 백석을 내렸다.
十一月 碧花生 帝子三智 帝與后洗之 賜酺百官 太子爲之 進花車 于帝
11월, <벽화碧花>가 제(帝)의 아들 <삼지三智>를 낳아 제와 후가 아기를 씻고
백관에게 잔치를 열어 술을 내리고 태자는 이를 위해 제(帝)에게 꽃수레를 진상하였다.
十二月 行伊同大祭
智世路稟主 宝壽宮祖主
12월, 이동대제(伊同大祭)를 지냈다.
<지세로智世路>를 품주로 <보수宝壽>궁을 조주로 하였다.
지증왕 7년(506) 화구(火狗) 丙戌
正月 帝與后及太子碧花保道 受朝 眞宮 賜宴宗老
角干車宿妻好梁尹己 比智妻妙梁翡凰 各賜衣馬
帝與三智碧花 謁神宮 又謁善坪弘峴
정월, 제와 후 및 태자, <벽화碧花>, <보도保道>가 진궁에서 조하를 받고
왕실 노인에게 잔치를 열었다.
각간 <거숙車宿>의 처 <호량好梁>과 <윤기尹己>,
<비지比智>의 처 <묘량妙梁>과 <비황翡凰>에게 각각 옷과 말을 내렸다.
제와 <삼지三智>, <벽화碧花>가 신궁을 알현하고 또 선평궁과 홍현궁을 알현하였다.
선평궁(善坪宮)은 지증대제 <지도로>의 부모인 <습보>와 <조생>을 모신 종묘이고
홍현궁(弘峴宮)은 지증대제 <지도로>의 조부모인 <보해>와 <성명>을 모신 종묘이다.
二月 后爲魏花 行赤兎祭 于宮中
2월 후가 <위화魏花>를 위하여 궁중에서 적토제(赤兎祭)제를 지냈다.
<위화魏花>는 적토(赤兎=丁卯, 487)년에 태어났다.
三月 淺璜爲源花
哲夫南路將軍 靑良西路將軍 武斗護城將軍
3월, <천황淺璜>을 원화(源花)로 하였다.
<철부哲夫>를 남로장군으로 <청량靑良>을 서로장군으로
<무두武斗>를 호성장군으로 하였다.
四月 不雨 后與魏花 茅身暴露 七日七夜 天乃大雨
命開倉廩 恤民賑貧 命畏山 求仙于海上 不得
誠國病 召聖明還 爲靑巤夫
4월, 비가 내리지 않았다.
후와 <위화魏花>가 띠를 두른 몸을 드러내어
큰 비가 내리도록 하늘에 七日七夜 기도하였다.
창고를 열어 가난한 백성을 진휼토록 명하고
<외산畏山>에게 명하여 해상(海上)에서 선(仙)을 구하도록 하였으나 얻지 못 하였다.
<성국誠國>이 병이나서 <성명聖明>을 소환하여 <청렵靑巤>의 남편으로 하였다.
六月 以息臣爲大舍 凉宮監 仙院翁 乃碧我之兄子 初爲宣登家臣 至是拔之
命魏花 巡問北邊將士
6월, <식신息臣>을 대사(大舍)로 삼아 양궁감(凉宮監) 선원옹(仙院翁)으로 하였다.
<식신息臣>은 <벽아碧我> 오빠의 아들이다,
처음에 <선등宣登>의 가신(家臣)이 되었는데 이제와서 발탁한 것이다.
<위화魏花>에게 명하여 북쪽 변방 장군과 병사를 순찰하고 위문토록 하였다.
七月 誠國殂 靑巤立
7월 <성국誠國>이 죽어 <청렵靑巤(476-524) 대가야 18대왕 재위 506-520>이 섰다.
十二月 馬欣稟主 俊朔祖主
眞姬生 太子女眞昭 昭明后夢託也
帝與保道淨凰 入海宮
12월, <마흔馬欣>을 품주로 <준삭俊朔>을 조주로 하였다.
<진희眞姬>가 태자의 딸 <진소眞昭>를 낳았다.
꿈에 소명후(昭明后)의 부탁이 있었다.
제와 <보도保道>, <정황淨凰>이 해궁으로 들어갔다.
지증왕 8년(507) 화시(火豕) 丁亥
正月 上仙沛覽卒
碧我生 宣登子碧登
정월, 상선(上仙) <패람沛覽>이 죽었다.
<벽아碧我>가 <선등宣登>의 아들 <벽등碧登>을 낳았다.
三月 督宅師二十人 創別洞仙院九曜之宮
玉蘭生 魏花女白蘭
3월, 택사(宅師) 20인이 별동선원(別洞仙院)과
구요궁(九曜宮)을 짓는 것을 감독하였다.
구요궁은 해와 달과 북두칠성을 상징하는 궁궐이며
9개의 전각으로 이루어진 궁궐이다.
后天乾坤配合 生一白水 二黑土 三碧木 四綠木 五黃土 六白金 七赤金 八白土 九紫火
- 최치원의 천부경 해설
후천의 건(하늘)과 곤(땅)이 서로 짝이 되어 합하여,
一(일)의 흰 수를 만들고, 二(이)의 검은 토를 만들며,
三(삼)의 푸른 목을 만들고, 四(사)의 초록 목을 만들고,
五(오)의 누런 토를 만들고, 六(육)의 흰 금을 만들고,
七(칠)의 붉은 금을 만들고, 八(팔)의 흰 토를 만들고,
九(구)의 자주 빛의 화를 만드는 것으로 변화한다.
<구요궁의 전각 위치도>
※ 구요궁(九曜宮)과 주역
一白殿 : 坎(水)은 한겨울 하얗게 대지에 내린 서리와 흰 눈을 상징하니 백색이다.
二黑殿 : 坤(地)은 하추(夏秋) 교대기 8, 9월의 염열에 불기운에 타버린
검은 흙을 상징한다.
三碧殿 : 震(雷)은 봄철 옥돌처럼 맑고 푸른 새싹의 기상이 대지를 덮는 것을 상징한다.
四綠殿 : 巽(風)은 맹춘의 바람을 맞으며 점차 짙은 녹색으로 변한
푸르른 대지를 상징한다.
五黃殿 : 中宮은 모든 것이 조화되어 그 속에 간직하고 있는 황토 흙의 색상이다.
六白殿 : 乾(天)은 늦가을 백색 서리를 상징하는 백색이다.
七赤殿 : 兌(澤)는 가을철 붉게 익은 나무의 열매의 색깔을 상징한다.
八白殿 : 艮(山)은 눈 덥힌 겨울 산을 의미하니 흰색이다.
九紫殿 : 離(火)는 여름의 붉은 기운과 지하의 푸른 기운이 합쳐져 생기 자색이다.
<옥란玉蘭>이 <위화魏花>의 딸 <백란白蘭>을 낳았다.
五月 大閱京路軍士
阿羅太后阿兮 歸朝命 爲仁陽妻
5월, 경로군사를 크게 사열하였다.
아라(阿羅)태후 <아혜阿兮>가 돌아와서 <인양仁陽>의 처로 명하였다.
九月 馬欣以疾免 畏山稟主 質淵祖主
9월, <마흔馬欣>이 병이 나서 파면하고
<외산畏山>을 품주로 <질연質淵>을 조주로 하였다.
十月 碧花生 太子女三葉
剡花生 肜吹女肜花
10월, <벽화碧花>가 태자의 딸 <삼엽三葉>을 낳았다.
<염화剡花>가 <융취肜吹>의 딸 <융화肜花>를 낳았다.
十二月 伊欣稟主 俊明祖主
帝與善知淨凰 入海宮
伊飡智登卒 命爵其子智升
12월, <이흔伊欣>을 품주로 <준명俊明>을 조주로 하였다.
제와 <선지善知>, <정황淨凰>이 해궁으로 들어갔다.
이찬 <지등智登>이 죽어 그 아들 <지승智升>에게 작위를 명하였다.
지증왕 9년(508) 황서(黃鼠) 戊子
正月 太子與后及妃碧花 受朝 賜酒上仙
后生眞宗殿君 於三碧殿 帝自海宮歸 洗之
后以芬宗有辨子之功 命宅師 立芬宗仙院
保道生 帝子启君
정월, 태자와 후 및 태자비 <벽화碧花>가 조하를 받고 상선(上仙)들에게 술을 내렸다.
후가 삼벽전(三碧殿)에서 <진종眞宗> 전군(殿君)을 낳아
제가 해궁에서 돌아와 아기를 씻었다.
후는 <분종芬宗>이 아들을 분별하는 공이 있어
택사(宅師)에게 명하여 분종선원(芬宗仙院)을 세우도록 하였다.
<보도保道>가 제의 아들 <계군启君>을 낳았다.
三月 靑巤生子聖腦
3월, <청렵靑巤>이 아들 <성뇌聖腦>를 낳았다.
四月 上仙山兼卒
以太子爲副君 委以軍國大政
4월, 상선(上仙) <산겸山兼(438-508)>이 죽었다.
태자를 부군(副君)으로 하여 군국대정(軍國大政)을 맡겼다.
七月 雲梯水宮三聖殿成 帝與后 享仙巫
以善知妻畏須
芬宗沙嵩西遊 太白諸山 獻白羊 於后
7월, 운제수궁(雲梯水宮) 삼성전(三聖殿)이 완공되어
제와 후가 선무(仙巫)들을 대접하였다.
<선지善知>를 <외수畏須>의 처로 하였다.
<분종芬宗>과 <사숭沙嵩>이 태백의 여러 산을 유람하여 후에게 백양을 바쳤다.
十一月 帝與及沙龍宮入海宮 好含比烈城主
11월, 제가 <사룡沙龍>궁과 함께 해궁으로 들어갔다.
<호함好含>을 비열성주로 하였다.
十二月 洪器稟主 善兮祖主
12월, <홍기洪器>를 품주로 <선혜善兮>를 조주로 삼았다.
지증왕 10년(509) 토우(土牛) 己丑
正月 太子與碧花妃 受朝 仙徒朝后 于海宮
開新市於城東 命蛙皮子 劃其地域 以其妹羊皮奾子爲市巫
先是后微行 而聞民情故也
玉蘭生 魏花女皐蘭
정월, 태자와 <벽화碧花> 妃가 조하를 받고 선도(仙徒)는 해궁에서 후를 조하하였다.
성동(城東)에 신시(新市)를 열었다.
<와피蛙皮>의 아들에게 명하여 그 지역을 계획하게하고
그 여동생 <양피羊皮> 선자(奾子)를 시무(市巫)로 하였다.
이에 앞서 후가 미행하여 백성의 사정을 들은 적이 있었기 때문이다.
<옥란玉蘭>이 <위화魏花>의 딸 <고란皐蘭>을 낳았다.
三月 設窂于四山 捕虎五十頭 以其皮分賜仙院
苔玉源花
3월, 네 곳의 산에 짐승 우리를 설치하여 호랑이 50마리를 잡아
그 껍질을 나누어 선원(仙院)에 내렸다.
<태옥苔玉>을 원화(源花)로 하였다.
五月 上仙布萇卒 仙仁陽代之
以淨凰妻非西
5월, 상선(上仙) <포장布萇>이 죽어 <인양仁陽>이 상선(上仙)을 대신하였다.
<정황淨凰>을 <비서非西>의 처로 하였다.
六月 別洞仙院皐王宮成
宋宿大畜令 田檍司牧監 車夫內丞
帝與后 入芬宗仙院 洗普仁女芬兒 加魏花郞爵沙飡
以布萇妻蟾京 妻徒頭羊秀 以宗室女嫁無骨人 自京始 秀年二十五 京五十八
京自願爲其妻 有娠 帝奇之 而許行吉 命羊秀爲理方大舍 賜七品骨
淺璜生 太子女璜仙
6월, 별동선원(別洞仙院)과 고왕궁(皐王宮)이 완공되었다.
<송숙宋宿>을 대축령(大畜令)으로 <전억田檍>을 사목감(司牧監)으로
<거부車夫>를 내승(內丞)으로 하였다.
제와 후가 분종선원(芬宗仙院)으로 들어가 <보인普仁>의 딸 <분아芬兒>를 씻고
<위화魏花>랑에게 사찬의 작위를 더하였다.
<포장布萇>의 처 <섬경蟾京>을 도두(徒頭) <양수羊秀>의 처로 하고
종실 딸을 골품이 없는 자에게 시집가도록하니 <섬경蟾京>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양수羊秀>는 나이 25살이고 <섬경蟾京>은 58살이다.
<섬경蟾京>이 스스로 <양수羊秀>의 처가 되기를 원하여 임신하니
제가 이를 기이하게 여겨 길례를 치루도록 허락하였다.
<양수羊秀>를 이방대사(理方大舍)로 명하고 7품의 골을 내렸다.
<천황淺璜>이 태자의 딸 <황선璜仙>을 낳았다.
七月 隕霜 命中外仙巫 行齋 于別洞
仁陽妻阿兮 上書 請伐阿羅 曰
“先帝以妾嫁于外夷者 服遠之計 而今賊女八海 橫暴淫其子八國 欲爲嗣
妾之子阿崙 勢孤難保 願我副君 陛下照妾之情 速出大兵 判此匈女 以答慈悲大帝之心”
太子謂祖主善兮 曰
“汝兄之情 亦可憐 朝廷多事 不可用兵 可使仙花 誘以大義”
乃命仁陽阿兮與魏花立宗等 使阿羅
八海大宴 仙徒願以阿崙爲夫 奉阿兮仁陽爲父母 許之
7월, 서리가 내려 곡식이 상하니
나라 안팎 선무(仙巫)에게 명하여 별동선원에서 재(齋)를 올리도록 하였다.
<인양仁陽>의 처 <아혜阿兮>가 글을 올려 아라(阿羅)를 토벌하기를 원하며 말하기를
" 선제(先帝)는 첩을 바깥 오랑캐에게 출가시켜 먼 곳을 복종시키는 계책으로 하였는데
지금 적녀(賊女) <팔해八海>는 횡폭하고 음탕하여
그 아들 <팔국八國>을 후사로 하고자 하니
첩의 아들 <아륜阿崙>은 세력이 없어 보전키 어렵습니다.
우리 부군에게 원하오니 첩의 사정을 굽어 살피시어 속히 대병을 출병하여
이 흉녀를 판가름하여 주시면 자비롭고 큰 제의 마음에 보답코자 합니다."
라고 하였다.
태자가 조주 <선혜善兮>에게 일러 말하기를
" 당신 언니의 사정도 가련하나 조정에 일이 많아 용병이 불가하여
선화(仙花)를 보내어 대의(大義)로 달래고자 한다."라고 하였다.
이에 <인양仁陽>과 <아혜阿兮>와 함께 <위화魏花>, <입종立宗> 등을
아라(阿羅)에 보내도록 명하였다.
<팔해八海>는 크게 잔치를 열고 선도(仙徒)는 <팔해>가 <아륜>을 남편으로 삼아
<아혜>와 <인양>을 부모로 받들기를 원하니 <팔해>가 이를 허락하였다.
이때 <인양> 60세, <아혜> 54세, <선혜> 51세, 태자 <모진> 30세,
<팔해> 38세, <팔국> 16세, <아륜> 32세, <위화> 23세, <입종> 19세이다.
八月 行大嘉俳 于別洞
武斗南路 常德護城
8월, 별동선원에서 대가배를 행하였다.
<무두武斗>를 남로장군으로 <상덕常德>을 호성장군으로 하였다.
十二月 宣登稟主 碧我祖主 哲夫西路 靑良北路 河大神官伊飡
12월, <선등宣登>을 품주로 <벽아碧我>를 조주로
<철부哲夫>를 서로장군으로 <청량靑良>을 북로장군으로
<하대河大>를 신관이찬으로 하였다.
지증왕 11년(510) 백호(白虎) 庚寅
正月 帝與后及太子碧花妃保道妃 受朝 眞宮
정월, 제와 후 및 태자, <벽화碧花>妃, <보도保道>妃가 진궁에서 조하를 받았다.
二月 以山帝公主妻魏花異母弟剡梁
2월, <산제山帝>공주를 <위화魏花>의 배다른 어머니 동생인
<염량剡梁>의 처로 하였다.
염신(벽아) - 위화(487- )
염신(옥량) - 염량(494- )
비처(연제) - 산제(494- )
五月 地震 壞東市家屋 命恤其死傷者
東市旣設 謀利者不築基 而亂成 家屋於凍期故也
命左軍主伊宗密領 水路軍夜襲八海擒之 以阿崙爲其君 以八海女八明妻崙
妙蘭生 太子女鼻蘭
5월, 지진이 일어나 동쪽 시가지 가옥이 무너져 그 사상자들을 구휼하라고 명하였다.
이미 시설한 동쪽 시가지는 모리꾼들이 기초를 하지않고 함부로 완공하여
얼음이 어는 기간에 지은 가옥이기 때문이다.
좌군주(左軍主) <이종伊宗>에게 명하여,
수로군(水路軍)이 밀령으로 야습하여 <팔해八海>를 사로잡았다.
<아륜阿崙>을 그 군주로 삼고 팔해의 딸 <팔명八明>을 <아륜阿崙>의 처로 하였다.
<묘란妙蘭>이 태자의 딸 <비란鼻蘭>을 낳았다.
七月 帝與后 入皐王宮 大享仙徒
時后酷愛魏花 自稱仙妻 不入天宮 與花同居皐宮 娠花女
愛花尤甚 願以后位 讓于碧花 帝亦愛碧花 而許之
至是碧花生 帝子三彘 于天宮
帝乃復幸后 於皐宮 洗后 於神池
宮人多 以三彘爲太子子 帝崩 遂爲太子子
未詳屬誰 時人議之 曰 “后歟妻歟子歟孫與”
7월, 제와 후가 고왕궁(皐王宮)으로 들어거 선도(仙徒)들을 크게 대접하였다.
이때 후는 <위화魏花>를 지극히 사랑하여 스스로 선처(仙妻)라 칭하고
천궁(天宮)에 들어가지 않고 <위화魏花>와 함께 고궁(皐宮)에서 동거하다
<위화魏花>의 딸을 임신하였다.
<위화魏花>를 사랑함이 더욱 심하여 후의 지위를 <벽화碧花>에게 양보코자하니
제 역시 <벽화碧花>를 사랑하여 이를 허락하였다.
이제와서 <벽화碧花>가 제의 아들 <삼체三彘>를 천궁(天宮)에서 낳았다.
이에 제가 다시 고궁(皐宮)으로 후에게 행차하여 신지(神池)에서 후를 씻어 주었다.
궁인들 대부분은 <삼체三彘>를 태자의 아들로 여기고
제가 붕하니 마침내 태자의 아들이 되었다.
누구의 아들인지 자세하지 않으니 이때 사람들이 의논하여 말하기를
" 후(后), 처(妻), 자(子), 손(孫)이 함께다."라고 하였다.
八月 大設月歌 于仙院
后命非西剡梁等 率仙門子女七十人 行奏 九衍八荒之曲 以賞之
以八海妻院翁息臣
登宗妻田門生 妙山子人山 登之嬖也
8월, 선원(仙院)에 월가(月歌)를 크게 설치하였다.
후가 <비서非西>와 <염량剡梁> 등에게 명하여 선문(仙門) 자녀 70인을 이끌고
구연팔황곡(九衍八荒曲)을 연주하며 행진토록하고 이를 포상토록 하였다.
<팔해八海>를 원옹(院翁) <식신息臣>의 처로 하렸다.
<등종登宗>의 처 <전문田門>이 <묘산妙山>의 아들 <인산人山>을 낳았다.
<묘산妙山>은 <등종登宗>의 폐신(嬖臣)이다.
十月 大場祭 于南郊
后與魏花 入海宮 天大雷 后曰 “此何不時之雷乎”
花曰 “時與不時汝何之乎 雷者陰陽之動也 汝陰動則我陽生 何嘗有時乎”
后曰 “雷非其時 三公退 乃古之法也 冬乾而夏濕此 豈雷時乎”
花曰 “三公者 雲師雨師風伯也 三者爲雷 乃陰陽相撲也 陰陽相撲則去
舊生新此 所以易三公也 夏多冬少 故爲非時而已 汝常濕而我常乾 豈有冬夏乎”
后曰 “仙夫之言 可以奏於天子”
乃命大書書之 太子聞之笑 謂碧我曰 “汝子爲汝 而辨雷 若是 汝不可辭也”
遂復留之 時人曰 “此國不測之雷”
剡花生 肜吹子吹碧
10월, 남교(南郊)에서 대장제(大場祭)를 지냈다.
후와 <위화魏花>가 해궁으로 들어갔다.
하늘에서 큰 천둥이 쳐서 후가 말하기를
" 이 무슨 때 아닌 천둥인가?" 라 하니
<위화魏花>가 말하기를
" 때와 때가 아니란 것은 무엇인지요?
천둥은 음양의 움직임입니다.
당신의 음이 움직인 즉 내 양이 생기는 것인데
어찌 늘 때가 있습니까?"라고 하였다.
후가 말하기를
" 때 아닌 천둥이 치면 삼공(三公)이 물러나는 것이 옛 법이다.
겨울은 건조하고 여름은 습하다.
어찌 지금이 천둥이 칠 때인가?라고 하니
<위화魏花>가 말하기를
" 삼공(三公)은 운사(雲師), 우사(雨師), 풍백(風伯)입니다.
구름과 비와 바람이 천둥이 되니 음양이 서로 치는 것입니다.
음양이 서로 치니 옛것은 가고 새로운 것이 생깁니다.
이것이 소위 역(易)의 삼공(三公)입니다.
천둥은 여름에 많고 겨울에 적어 때가 아닌 것이 됩니다.
당신은 항상 습하고 나는 항상 건조하니 어찌 겨울과 여름에만 있겠습니까?"
라고 하였다
후가 말하기를
" 선부(仙夫)의 말을 천자(天子)에게 아뢰는 것이 옳다."라고 하였다.
이에 대서(大書)에게 명하여 이를 기록토록 하니
태자가 이를 듣고 웃으며 <벽아碧我>에게 일러 말하기를
" 너의 아들이 너를 위하여 천둥을 이와같이 분별하니 너는 할 말이 없을 것이다."
라고 하였다.
마침내 다시 그곳에 머무니 이때 사람들이 말하기를
" 이 나라는 천둥을 미리 헤아리지 못한다." 라고 하였다.
<염화剡花>가 <융취肜吹>의 아들 <취벽吹碧>을 낳았다.
十一月 帝與碧花 入海宮 洗后及魏花
行眞經會 于海宮 仙徒會者八百人
11월, 제와 <벽화碧花>가 해궁으로 들어가 후와 <위화魏花>를 씻어 주었다.
진경회(眞經會)를 해궁에서 행하니 모인 선도(仙徒)가 8백명이었다.
十二月 無雪
苩興自夫余還 獻靑玉床 于后及魏花
角干智弗路薨 以太公禮葬之 公以皇弟
淡於名慾 不問大政 素有膽力 出將入相
多有勳功 亦未嘗自矜
妃俊宜宮主 炤智王胞妹 而或云 巴胡太后通嬖臣宣兒 而生也
好淫多亂 行公 不以爲意 帝卽位 以公功大 親厚賜奴婢田園及先朝寵姬 命掌軍政
時俊宜與其子智淸 出居一善 帝以皇女宣世妻之 乃宣登胞妹也
生子皆幼 帝命爲智淸妻 俊宜妬之 抱帝而號哭不止 群臣請罪俊宜
帝曰 “朕有此 數人妹 安可罪之乎”
命捀仙臣之美者賜之 俊宜乃悅 托言 行福 華飾齋行
后乃命俊宜爲仙臣息仁妻 仁年十九 而俊年五十五
12월, 눈이 내리지 않았다.
<백흥苩興>이 부여에서 돌아와 후와 <위화魏花>에게 청옥상(靑玉床)을 바쳤다.
각간 <지불로智弗路>가 죽어 태공의 예로 장례토록 하였다.
공은 황제의 동생이다.
명욕(名慾)에 담담하여 대정(大政)을 묻지않고 소박하였으나
담력이 있어 나가서는 장수가 되고 들어와서는 재상이 되었다.
훈공(勳功)이 많았어도 일찍이 자긍(自矜)한 적이 없었다
비(妃) <준의俊宜>궁주는 <소지炤智>왕의 포매(胞妹)이다.
혹은 <파호巴胡>태후가 폐신(嬖臣) <선아宣兒>와 사통하여 낳았다고 한다.
음탕함을 좋아하고 난잡하였으나
공적인 일을 행함에는 태만하지 않아 제의 즉위에 공의 공이 커서
친히 후하게 노비와 전원과 선조(先朝)의 총희(寵姬)를 하사 하였다.
군정(軍政)을 관장토록 명하였다.
이때 <준의俊宜>와 그 아들 <지청智淸>을 일선(一善)에 내보내 살게하고
제가 황녀 <선세宣世>를 처로 삼게하니 <선등宣登>의 포매(胞妹)이다.
낳은 아들이 모두 어려서 제(帝)가 <지청智淸>의 처로 삼기를 명하니
<준의俊宜>가 이를 질투하여 제(帝)를 안고 통곡하며 그치지 않으니
신하들이 <준의俊宜>에게 죄를 청하였다
제가 말하기를
" 짐에게는 이와같은 여동생이 몇 명있는데 편안히 죄를 가하겠느냐?"
라고 하였다.
선신(仙臣)의 아름다운 자를 뽑아 <준의俊宜>에게 내리도록 명하니
이에 <준의俊宜>는 기뻐하며 복을 빌러간다는 핑계로
화려하게 치장하여 재(齋)를 행하였다.
이에 후는 <준의俊宜>를 선신(仙臣) <식인息仁>의 처로 하니
<식인息仁>은 나이 19살이고 <준의俊宜>는 나이 55살이었다.
지증왕 12년(511) 백토(白兎) 辛卯
正月 帝與后太子碧花保道 受朝 眞宮
以皇弟智世路爲角干 命掌軍政
정월, 제와 후 태자, <벽화碧花>, <보도保道>가 진궁에서 조하를 받았다.
제의 동생 <지세로智世路>를 각간으로 하여 군정(軍政)을 관장토록하였다.
二月 帝入仙院 洗芬宗子 是爲覺德
2월, 제가 선원(仙院)에 들어가 <분종芬宗>의 아들 <각덕覺德>을 씻었다.
三月 后生 魏花女柳眞 於皐王宮 仙徒會禱者千數
帝命魏花洗之 加花爵阿飡
花以后倖臣 亦得寵於帝及太子 其起居出入 一擬王公
元通生 帝女玩氏 帝洗之 以其子元實爲太子舍人
3월, 후가 <위화魏花>의 딸 <유진柳眞>을 고왕궁(皐王宮)에서 낳았다.
선도(仙徒)가 모여 기도하는 자가 천명이었다.
제가 <위화魏花>에게 아기를 씻어라고 명하고
<위화魏花>에게 아찬의 작위를 더하였다.
<위화魏花>는 후의 행신(倖臣)이 되어 제와 태자의 총애를 받았다.
그 출입 기거(起居) 하는 것이 왕공(王公)과 같았다.
<원통元通>이 제의 딸 <완씨玩氏>를 낳아 제가 아기를 씻고
그 아들 <원실元實>을 태자 사인(舍人)으로 하였다.
五月 伊飡宝器卒 以角干禮葬之
帝與后 大享仙徒 以牛公爲仙宮衛幢 苩眞爲柳眞乳母
5월, 이찬 <보기宝器>가 죽어 각간의 예로 장례를 치루었다.
제와 후가 선도(仙徒)를 크게 대접하고
<우공牛公>을 선궁위당(仙宮衛幢)으로
<백진苩眞>을 <유진柳眞>의 유모(乳母)로 하였다.
七月 伊飡阿珍宗薨 以角干禮葬之 公以皇弟 善文章 能通古今 其母宝梁美海王女也
麗好平請降 命好含 厚待之 以不納
7월, 이찬 <아진종阿珍宗>이 죽어 각간의 예로 장례를 치루었다.
공은 제의 동생이다.
문장을 잘하고 고금에 능통하였다.
그 어머니 <보량宝梁>은 <미해美海>왕의 딸이다.
습보(조생) - 지도로(437-514)
자비(조생) - 지불로(446-510)
지세로(452-516)
습보(보량) - 아진종(451-511)
고구려가 화평코자 항복을 청하니
<호함好含>에게 명하여 후하게 대우하게 하였으나 받아들이지는 않았다.
十月 行大場祭 于東市
剡花與肜吹子吹碧 歸比梁
10월, 동시(東市)에서 대장제(大場祭)를 행하였다.
<염화剡花>와 <융취肜吹>의 아들 <취벽吹碧>을 <비량比梁>에게 보냈다.
十一月 伊飡馬欣卒 后胞兄也 其妻俊朔 捨身仙院
帝與后 入海宮
以太子女慕竹 妻肜吹
11월, 이찬 <마흔馬欣>이 죽었다.
후의 포형(胞兄)이다.
그 처 <준삭俊朔>은 선원(仙院)으로 들어갔다.
제와 후가 해궁으로 들어갔다.
태자의 딸 <모죽慕竹>을 <융취肜吹>의 처로 하였다.
十二月 以厚惠妻魏花 行吉 海宮
善坪宮主園君薨
善牟稟主 宝兮祖主
山帝生 剡梁子山梁 后與玉梁 洗之
12월, <후혜厚惠(497-532)>를 <위화魏花>의 처로 하여 해궁에서 길례를 행하였다.
선평궁주 <원군園君(439?-511)>이 죽었다.
<원군>은 <지도로>의 친동생이다.
<선모善牟>를 품주로 <보혜宝兮>를 조주로 하였다.
<산제山帝>가 <염량剡梁>의 아들 <산량山梁>을 낳아
후와 <옥량玉梁>이 아기를 씻었다.
지증왕 13년(512) 흑룡(黑龍) 壬辰
正月 太子與保道妃 受朝 眞宮
정월 태자와 <보도保道>妃가 진궁(眞宮)에서 조하를 받았다.
三月 玉帳宮成 后與魏花 大享仙徒
后爲花 役別洞 凡數年 而成
其一曰九曜宮 二曰雲梯水宮 三日皐王宮 四曰玉帳宮也
引水鑿山 其規甚大彫 玉塡金制作精巧 有國以來 初有之宮室也
貯以珍禽異獸奇花瑤草而娛之
以肜山爲源花
3월 옥창궁(玉帳宮)을 완공하였다.
후와 <위화魏花>가 선도(仙徒)를 크게 대접하였다.
후가 <위화魏花>를 위하여 별동(別洞)의 부역을 부림이 무릇 수년이었는데,
이제야 완성되었다.
그 첫째는 구요궁(九曜宮), 둘째는 운제수궁(雲梯水宮),
셋째는 고왕궁(皐王宮), 넷째는 옥창궁(玉帳宮)이다.
물을 끌어들이고 산을 깎았으며 그 규범을 심히 크게 새기었는데,
옥으로 메우고 금으로 제작함이 정교하였다.
나라가 있은 이래로 초유의 궁실이었다.
진귀한 새, 기이한 짐승, 기이한 꽃, 아름다운 풀을 모아서 즐거워하였다.
<융산肜山>을 원화(源花)로 삼았다.
六月 命伊宗 伐于山國
別洞之役 命于山獻其異材 不納
至是伊宗 以木偶師子 脅之 乃降
玉蘭生 帝子籃君
6월, <이종伊宗>에게 우산국(于山國)을 치도록 명하였다.
별동(別洞)의 부역으로 우산국에 기이한 재료를 바치도록 명하였는데 바치지 않았다.
이제와서 <이종伊宗>이 목우사자(木偶師子)로 위협하니 이에 항복하였다.
지증왕 13년
여름 6월, 우산국이 귀순하여, 매년 토산물을 공물로 바치기로 하였다.
우산국은 명주의 정동쪽 바다에 있는 섬인데, 울릉도라고도 한다.
그 섬은 사방 1백 리인데, 그들은 지세가 험한 것을 믿고 항복하지 않았었다.
이찬 이사부가 하슬라주의 군주가 되었을 때,
우산 사람들이 우둔하고도 사나우므로, 위세로 다루기는 어려우며,
계략으로 항복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곧 나무로 허수아비 사자를 만들어 병선에 나누어 싣고,
우산국의 해안에 도착하였다.
그는 거짓말로 “너희들이 만약 항복하지 않는다면
이 맹수를 풀어 너희들을 밟아 죽이도록 하겠다”고 말하였다.
우산국의 백성들이 두려워하여 곧 항복하였다.
<삼국사기 신라본기>
(중략) 또 아슬라주(阿瑟羅州, 지금의 명주溟州) 동쪽 바다에
순풍(順風)으로 이틀 걸리는 곳에 우릉도(于陵島, 지금의 우릉羽陵)가 있다.
이 섬은 둘레 2만 6,730보(步)이다.
이 섬 속에 사는 오랑캐들은 그 바닷물이 깊은 것을 믿고 몹시 교만하여
조공(朝貢)을 바쳐 오지 않았다.
이에 왕은 아찬(伊飡) 박이종(朴伊宗)에게 명하여 군사를 거느리고 가서 치게 했다.
이때 이종은 나무로 사자(獅子)를 만들어 큰 배에 싣고 위협했다.
"너희가 만일 항복하지 않으면 이 짐승을 놓아 버리겠다."
이에 오랑캐들은 두려워하여 항복했다.
이에 이종에게 상을 주어 주백(州伯)을 삼았다.
<삼국유사 지증왕 기사 발췌>
우산국을 찾으면 아슬라주를 찾는 것과 연관되기에 매우 중요하다.
지금 동해에 울릉도 말고는 달리 섬이 없다.
현재의 울릉도는 신라에 대항하기엔 면적도 좁고,
인구도 턱없이 모자라며, 인근에 의지할 지역도 없다.
별동(別洞)의 선원(仙院)과 궁궐을 짓는데
다량의 옥(玉)과 금(金)이 소모되었음은 분명하다.
신라가 우산국에 요구한 목록은 금(金)이다.
일본에 혼슈에 있는 사도(佐島)섬은 한때 골드러시가 이루어졌던 지역으로,
인근 혼슈섬 지역인 니이기타현 인근에 신라왕의 비문이 있다고 한다.
우산국은 삼국사기나 삼국유사에서 말하는 지금의 울릉도가 아니고
일본의 사도(佐島)섬을 말하는 것이다.
<옥란玉蘭>이 제의 아들 <람군籃君>을 낳았다.
七月 白里稟主 玉梁祖主
7월, <백리白里>를 품주로 <옥량玉梁>을 조주로 하였다.
八月 行大嘉俳 于九曜宮
以眞丸公主 妻剡蘭 立其宮曰眞面
8월, 구요궁(九曜宮)에서 대가배를 행하였다.
<진환眞丸>공주를 <염란剡蘭>의 처로 하고 그 궁을 세워 진면(眞面)이라 불렀다.
十月 上仙仁陽卒 畏山代之
后與魏花 行雲梯山大祭
麗以六百丹院爲方藏宝黃二寺
10월, 상선(上仙) <인양仁陽>이 죽어 <외산畏山>이 대신하였다.
후와 <위화魏花>가 운제산(雲梯山) 대제를 지냈다.
고구려가 6백 단원(丹院)을 방장(方藏)과 보항(宝黃) 2사(二寺)로 하였다.
十二月 保道妃 行伊同大祭
帝與玉蘭公主 入桃山仙院
12월, <보도保道(485-528)>妃가 이동(伊同)대제를 지냈다.
<보도>는 <비처>와 <선혜>의 딸이다.
이동궁은 소지명왕 <비처>와 <후황>을 모시는 종묘이다.
제와 후 <옥란玉蘭>공주가 도산(桃山) 선원(仙院)으로 들어갔다.
지증왕 14년(513) 흑사(黑蛇) 癸巳
正月 太子與后及碧花保道 受朝 眞宮
정월, 태자와 후 및 <벽화碧花>, <보도保道>가 진궁에서 조하를 받았다.
三月 仙徒 上帝號 于太子及后 尊帝爲太上老帝智證天王
太子 大享仙徒 于南桃
剡花生 比梁女梁花
置元通宮奴婢 以英失爲璽臣
契德入朝 以明刀妻之
3월, 선도(仙徒)가 제를 태상노제(太上老帝) 지증천왕(智證天王)으로 높여서
태자와 후에게 제호(帝號)를 올렸다.
태자가 남도(南桃)에서 선도(仙徒)를 크게 대접하였다.
<염화剡花>가 <비량比梁>의 딸 <량화梁花>를 낳았다.
<원통元通>궁에 노비를 두고 <영실英失>을 새신(璽臣)으로 하였다.
<계덕契德>이 입조하여 <명도明刀>를 <계덕契德>의 처로 하였다
五月 太子與后 行神宮大祭
5월, 태자와 후가 신궁(神宮) 대제를 지냈다.
七月 伊欣稟主 俊明祖主
流剡梁 于臨汀 妬其妻 通嬖故也
阿崙與八國爭亂 命哲夫領 兵入之 廢阿崙八明
改營仙院爲勝光仙院
7월, <이흔伊欣>을 품주로 <준명俊明>을 조주로 하였다.
<염량剡梁>을 임정(臨汀)에 유배하였다.
그 처를 질투하여 패신과 사통하였기 때문이다.
<아륜阿崙>과 <팔국八國>이 다투어 난을 일으켰다.
<철부哲夫>를 우두머리로 명하고, 병사를 아라로 들여보냈다.
<아륜阿崙>과 <팔명八明>을 폐하였다.
선원(仙院)을 운영하여 승광선원(勝光仙院)으로 고쳤다.
八月 行大嘉俳
碧花妃生 太子女三蓮
金官入貢 磁器七事 貝器八事 于仙院
后命仙臣亥牟 往金官 習其事
長門公主薨 于葛川 春秋六十三
8월, 대가배를 행하였다.
<벽화碧花>비가 태자의 딸 <삼연三蓮>을 낳았다.
금관이 입조하여 선원(仙院)에 자기(磁器) 7개와 패기(貝器) 8개를 공물로 바쳤다.
후가 선신(仙臣) <해모亥牟>에게 명하여 금관으로 가서 그 일을 배우도록 하였다.
<장문長門(451-513)>공주가 갈천(葛川)에서 죽었다. 나이 63세였다.
<장문>은 금관가야 8대왕 <질지(428-492)>의 딸이다.
九月 行月歌 于別洞
聖明與靑巤不和 欲入朝 巤沮之
9월, 별동(別洞)에서 월가를 행하였다.
<성명聖明>과 <청렵靑巤>이 화목하지 못하여 입조코자 하였으나
<청렵靑巤>이 이를 저지하였다.
十二月 實竹稟主 牟泄祖主
芬宗使扶余 授眞經 于斯摩
12월, <실죽實竹>을 품주로 <모설牟泄>을 조주로 하였다.
<분종芬宗(488- )>을 부여에 보내어
<사마斯摩(461-523)>에게 진경(眞經)을 전수토록 하였다.
지증왕 15년(514) 청마(靑馬) 甲午
正月 太子與后 受朝 行靑馬祭
以阿羅爲小京
정월, 태자와 후가 조하를 받고 청마제(靑馬祭)를 지냈다.
아라(阿羅)를 소경(小京)으로 삼았다.
二月 后生女杵眞 太子洗之
靑巤生 異腦子虎腦
2월, 후가 딸 <저진杵眞>을 낳아 태자가 아기를 씻었다.
<청렵靑巤>이 <이뇌異腦>의 아들 <호뇌虎腦>를 낳았다.
四月 后與魏花 大享仙徒
4월, 후와 <위화魏花>가 선도를 크게 대접하였다.
七月 命六部及南地 選饒戶 充阿羅國中
帝以暑疾 崩於凉宮
太子卽祚 與后行祥 大赦天下 進白官爵一級
奉諸殿君公主 以碧花爲天后 保道爲地后
7월, 육부(六部)와 남쪽에 넉넉히 살고 있는 집을 골라
아라국(阿羅國)을 채우도록 하였다.
제가 더위와 병으로 양궁(凉宮)에서 붕하였다.
태자가 후와 함께 즉시 즉위하여 나라 안에 크게 사면하고 백관의 작위를 일급 올렸다.
여러 전군(殿君)과 공주를 받들고 <벽화碧花>를 천후로 <보도保道>를 지후로 하였다.
지증왕 15년
봄 정월, 아시촌에 소경을 설치하고,
가을 7월에 6부와 남쪽 지방의 주민들을 옮겨 살게 하여,
이 곳에 도시의 면모를 갖추었다.
왕이 붕어하였다. 시호를 지증이라하였다.
신라의 시호법이 이로부터 시작되었다.
<삼국사기 신라본기>
九月 葬帝 于智證陵 諸侯會者七國仙徒萬計
帝禀有德 行寬仁 有大度
及卽位 政在后及太子
束手無爲 國人惜之 春秋七十八
9월, 제를 지증릉(智證陵)에 장례하였다.
여러 제후들과 7국(七國) 선도(仙徒)가 모이니 만명이었다.
제는 덕이 있고 행실은 관대하고 인자하였으며 큰 도량을 지니고 있었다.
이에 즉위하니 대정(大政)이 후와 태자에게 돌아갔다.
손을 놓고 무위(無爲)로 돌아가니 나라 사람들이 이를 애석해 하였다.
춘추 78세였다.
十一月 立智證廟曰平立宮 行大祭
以宝海王弘峴宮 慈悲王葛川宮 習宝王善坪宮 炤知王伊同宮 智證王平立宮 爲五帝大祀
各置典翁一人 大舍二人 史二人 舍知八人 以宗女爲祭主 骨仙爲法
令羽林兵官各一人 率衛卒 交遞守寢
11월, 지증묘를 세워 평립궁(平立宮)이라 하고 대제를 지냈다.
보해왕 홍현궁, 자비왕 갈천궁, 습보왕 선평궁, 소지왕 이동궁, 지증왕 평립궁을
오제대사(五帝大祀)로 하고
전옹(典翁) 1인, 대사(大舍) 2인, 사(史) 2인, 사지(舍知) 8인을 두고
종녀(宗女)를 제주(祭主)로 골선(骨仙)을 법(法)으로 하였다.
우림병관 각 1인이 군졸을 인솔하여 교대로 능침을 지키도록 하였다.
'남당유고 > 신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화진경(魏華眞經)(1) (0) | 2016.11.01 |
---|---|
금천대제 법흥(法興)진왕기 (0) | 2016.10.17 |
소지(炤知)명왕기 (1) | 2016.09.23 |
자비(慈悲)성왕기 (0) | 2016.09.18 |
눌지(訥祇)천왕기 (0) | 2016.09.12 |